약초와효능

수세미

영지니 2008. 1. 22. 20:58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한국에는 일본이나 중국에서 도입된 것으로 추정.


줄기는 덩굴성으로 녹색을 띠고 가지를 치며 덩굴손이 나와서 다른 물체를 감아올라간다.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갈라지고 긴 잎자루가 있는데,


줄기 밑부분의 잎은 깊게 패어진 모양이 얕으나 위쪽에 붙는 잎은 깊게 갈라진다.


암수한그루이다.


꽃은 5개로 갈라지는 합판화관으로 노란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달려서 늦여름에 핀다.
수꽃에는 5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에는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9~10월에 익는데, 긴 자루가 있어서 밑으로 늘어져 매달리고 짙은 녹색을 띠며 길이 30∼60cm,

때로는 1∼2m인 품종도 있다.


과육의 내부에는 그물 모양으로 된 섬유가 발달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검게 익은 종자가 들어 있다.
성숙한 열매를 물에 담가 두면 먼저 표면의 과피가 과육에서 떨어지기 쉽게 된다.


종자와 물을 빨아들여 끈적끈적하게 된 과육을 씻어내면 그물 모양으로 된 섬유만이 남게 된다.

 

[비염] 등으로 고름 같은 콧물이 나오고 냄새를 잘 맞지 못할 때 수세미 줄기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젓이 부족한 산모는

수세미 덩굴을 태운 후 가루내어 한 번에 4g씩 하루 한 번 3일 동안 먹는다.



기관지염에는

수세미와 알로에를 같은 량으로 즙을 내어 먹는다.



천식에는

수세미를 달임약 아니면 즙을 내어 먹으면 효과가 높다.



피부가 투실 트실 하면서 살갗이 트는 데는

8 ∼ 9월 중에 수세미 줄기에서 뽑아낸 물 500ml에 꿀 5 ∼ 6숟가락을 섞어 바르면 좋다.


옆구리가 결리거나 팔다리가 쑤시는 데 붓는 데,

장염 등에 수세미 오이 속을 하루 5 ∼ 10g씩 달임약으로 먹는다.


목덜미, 어깨 등이 결릴때(오십견)

수세미 열매를 가루내어 매일 10g씩 먹는다.


축농증에는

적당한 양의 수세미덩굴(땅에서부터 1.5m되는 곳을 베어낸 것)을 불에 태운 후 보드랍게 가루 내어 찬물에 타서 하루에 3번 먹는다.


헛배가 부를 때

수세미오이씨를 약한 불에 말린 다음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 번에 3~5g씩 술 한잔에 타서 먹는다.

수세미오이는 복수도 잘 빠지게 할 뿐 아니라 헛배 부른 것도 잘 낫게 한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고사리  (0) 2008.01.22
봉선화 (봉숭아 )  (0) 2008.01.22
삼지구엽초  (0) 2008.01.22
닭개비풀  (0) 2008.01.22
쇠비름  (0) 2008.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