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쑥의성분및뜸작용

영지니 2008. 1. 23. 22:33

 

 

쑥의 성분과 뜸 작용


뜸쑥의 기본 재료인 약쑥잎은 국화과에 속하며 여러해살이 풀로서 우리나라 산과 들 어디서나 널리 자란다.

그중에서도 강화약쑥은 효능이 탁월함이 알려져 궁중에서도 많이 이용되어 온기록들이 전해지고 있는데 뜸쑥으로 이용하는방법은 일반적으로 쑥의 형태는 깃 모양으로 깊이 갈라졌으며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형인데 대개 모양이 일정하지 않아서 쭈그러지거나 부서져 있다.

잎 윗면에는 잿빛 풀색의 연한 털이 있고, 뒷면에는 흰색의 솜털이 깔려 뽀얀 회색을 띤다. 

연하고 잘 부서지며 특히한 방향성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쓰다. 

잎은 부드럽고 향기로운 냄새가 강하게 나며 뒷면에 흰 솜털이 많은 것이 좋다.

약쑥은 건조한 상태로 보관 돼는데 마른 약쑥을 잎부분과 연한 줄기 부위을 절구에넣은후 잘게 부서 지도록  분쇄를 한후에 채로 치면 쑥가루는 믿으로 나오고 채 안에는 쑥의 섬유질이 남는데 이 섬유질 로 쑥뜸을 하는것인데  예전에는 직접 쑥을 보통 쌀알 만큼씩 비벼서 아픈부위에 붙인후 불을붙혀서 뜸을하였는데 이렇게 직접 살갖위에 쑥뜸을 뜬것을 직접구라 하였으며 . 쑥의 열기가 뜨겁게 느껴져 노약자들 한테는 간접적인 열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기구을 이용해 쑥뜸을 시술하여 온방식이 간접구로 요즘에 많이 보편적으로 쑥뜸을 이용하는 방식이 간접구로 보면 된다.   


약쑥잎에는 약 0.02%의 정유가 들어 있는데 정유의 주성분인 치네올(50% 정도), α-투존, 시스키테르펜 등이다. 

이 밖에 극히 적은 양의 탄닌, 비타민 A, B, C, D, P, 아밀라아제, 아데닌(0.02%), 콜린(0.01%) 등이 들어 있다.

또한 마른 약쑥잎 섬유에는 약 2.3%의 납이 들어 있으며 트리고자날, 헤우트리아콘타네, 가프린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등 혼합물질로 된 지방산들이 들어 있다. 


회분은 4~6%이며 질이 좋은 것일수록 회분이 적다.

약쑥잎의 작용에 대하여 한방 고전에서는 “약쑥잎의 약성은 맵고 쓰며 생것은 따뜻하고 덖은 것은 더우며 순양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양기가 몹시 쇠약한 것을 회복시키며 12경맥을 통하게 하고 기혈을 잘 돌아가게 하며 한습을 내몰고 자궁을 따뜻하게 해준다. 


그러므로 쑥을 끓여서 많이 복용하면 쑥에 함유된 영양소가 몸의 바란스를 조화롭게 유지 시켜줌은 물론 해독작용이 뛰어나 천연해독제로도 잘알려진것이 쑥이다.

그리고 특히 강화약쑥에는 이런 성분들이 일반적인 쑥보다 함유량에서 월들하게 함유된 것으로 많은 논문에 발표되어

강화약쑥에 대한 중점적 연구을 하기위한 강화군 농업기술센터내에 특화작목연구소가 설립되어 혈당 조절및 항당료 기능성 검정연구가 마무리단계로 진행중인데 !~~


이 밖에도  항고지혈증/ 항동맥경화 활성검증 에 관한 연구또한 한국 생명공학 연구원 지질대사조절소제 연구실 정태숙박사께서 연구중애 있으며  이런 강화쑥으로    뜸을 뜨면 모든 경맥으로  좋은 성분들이 유입되어 여러 가지 병을 낫게 한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뜸쑥으로 뜸을 뜨면 경락을 잘 통하게 하며 음한을 없애고 양기를 보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또한 약쑥잎은 수렴 및 피를 멎게 하는 약으로 자궁출혈, 코피 날 때 등에 써왔으며 그밖에 소염, 지통(止痛), 강장보혈의 목적으로 써왔다.


약쑥잎의 해열 작용은 그 가운데 들어 있는 염화칼륨 등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옛날에 민간에서는 간질이나 무도병(舞蹈病)을 약쑥잎으로 치료하였다는 기록도 있는데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약쑥잎에는 여러 가지 약성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뜸쑥이 탈 때에는 모카인이라는 물질이 발생하는데 이 모카인은 가벼운 마비작용을 하기 때문에 뜸을 뜬 뒤에 덴 자리가 화상 때보다 덜 아픈 것이다. 

뜸쑥이 탈 때 생기는 불빛은 적외선과 같은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자외선과 공통적인 성질을 가진다. 

또한 최근 연구자료에 의하면 뜸쑥에는 다당체로 된 보체활성화 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그 밖에 뜸쑥의 작용에서 치료효과가 지속적이라는 것도 중요한 측면의 하나이다. 

설험자료에 의하면 뜸쑥 연기는 일부 세균에 대하여 억균작용이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어떤 연구자는 뜸쑥 연기가 세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뜸대뜸 연기의 살균 특성연구에 쓴

험세균들은 다음과 같다.


병원성 포도상구균, 대장간균, 녹농간균, 플렉스네르적균, 가성 디프테리아균 등이다. 

위의 세균의 1주야 배양액으로부터 1ml에 10억균체 되게 소금물 용액의 부유액을 만들어 실험은 고형 배양기에서

(2% 아미노펩티드 한천) 진행하였다.


배양기 표면에 0.05ml 양의 배양액 부유액을 옮긴 다음 백금으로 배양기 표면에 분포하였다. 

그후 배양기 표면에 뜸대뜸 연기를 시간을 달리하여(5~20분) 쏘였다. 

대조 배양기는 뜸대뜸 연기를 쏘이지 않았다.

관찰 결과 뜸대뜸 연기를 20분간 쏘였을 때는 위에서 열거한 모든 세균의 성장이 완전히 중단되었다. 

한편 각각 다른 시간(1~20분) 동안 뜸대뜸이 탈 때 생기는 온열작용을 연구한 결과 세균 성장에서(대조와 비교하여)

아무런 변화도 찾아 볼 수 없었다고 한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진쑥과익모초의차이와효능  (0) 2008.01.23
"쑥" 피를 맑게 하고 암을 예방 "  (0) 2008.01.23
쑥의효능  (0) 2008.01.23
인진쑥  (0) 2008.01.23
인진쑥은매우쓰다  (0) 2008.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