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진은 봄철 산야와 우리의 식탁위에 올라오는 쑥을 건조한 것이다.
요즘에는 쑥의 이용 역시 다양해져서 목욕통이나 생활용품에도 쑥의 향기를 이용한 제품을 많이 볼 수 있다.
한의약에서 쑥은 인진이라 하여 습열을 제거하고 황달을 치료하는 약으로 예전부터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런 효능이 외에도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황달성 간염과 담에 생긴 염증을 치료한다는 약리효과가 있다고 전해지며 돌림병으로 열이 몹시 나면서 발광하는 증상에도 응용한다고 전해진다.
주의사항 ; 습열에 기인하지 않는 황달에는 복용을 금한다.
2.
인진쑥은 옛날부터 장과 위, 그리고 수족을 따뜻하게 하고 튼튼하게 하는데 애용되었고, 정혈작용이 강하고 담즙 분비력을 향상시켜 장내 소화기능을 증진 시킨다.
따라서 혈액 순환기 계통의 만성적 질환에 인진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인진쑥에는 Capiline이라는 성분이 있어 여러 미생물들에 강한 항균 작용을 하며 이로 인해 강력한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특히 간 기능 개선 및 해독기능 효과가 뚜렷하며 간 기능 이상에 기인된 질환에는 명확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시력을 보호해 주며 감기예방, 양질의 섬유소가 많이 함유되어 대변의 고통과 콜레스테롤 배출을 크게 도와주어 피부 미용에도 효능이 있는 등 인진쑥 만큼 광범위 하게 수많은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 식품도 드물다.
한방에서는 황달의 특효약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혈액 내 콜레스트롤 혼전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당뇨 예방과 치료제로도 개발하고 있는 중이다.
동의보감에는 "인진쑥은 맛이 쓰고 매우며 몸안에 습열이 모여서 생긴 황달로 인해 온 몸이 노랗게 되고 소변이 잘 통하지 않는 증세를 치료한다"고 하며 "성질이 따뜻하여 경락을 잘 통하게 하므로 100가지 병을 고칠 수 있는 약초"라고 소개하고 있다.
3. 약초 설화
중국의 어느 마을에 매우 비쩍 마른 환자가 있었다. 어느날 그는 그 당시의 유명한 명의인 화타를 지팡이에 의지해서 힘들게 찾아갔다. 화타는 그 환자를 보자 금방 황달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환자는 화타에게 치료를 부탁했지만 화타는 황달을 치료할 방법이 없다고 하여 그를 돌려 보냈다.
그는 하는 수 없이 죽기만을 기다리며 남은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어느날 우연히 화타가 그때의 그 환자를 보게 되었는데 그는 이상하게 얼굴색이 좋아진 것이었다.
그래서 화타가 이상하게 생각하여 그에게 물어보기를 "당신은 무슨 약을 먹고 나았습니까?"
그러자 그가 대답하기를 "저는 어떤 약도 먹지를 않았습니다.
단지, 먹을 것이 없어 산에 있는 풀을 뜯어 먹었을뿐입니다" 그래서 화타는 그 사람과 함께 산으로 가서 그 풀을 확인해보니 쑥이 아닌가?
그래서 화타는 쑥이 황달을 치료하는 약일 것이라 생각하고 황달로 찾아오는 환자들에게 치료해 보았으나 별로 소용이 없었다.
이상하여 화타는 다시 그 사람을 찾았는데 "당신은 분명히 이 쑥을 먹었지요?" 화타의 물음에 그가 대답하기를 "예, 저는 틀림없이 쑥을 먹었습니다" 그러자 화타가 다시 묻기를 "그럼 언제 쑥을 먹었습니까?"
그 말에 다시 그가 대답하기를 "음력 3월에 먹었습니다"
그 말을 듣고 화타는 그 다음해 봄에 그 쑥을 캐서 황달 환자에게 먹이니 효과가 정말로 좋았다.
결국 화타는 봄이 지난 쑥은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황달을 치료할 수 있는 쑥은 인진(茵陳)이라고 불렀다.
그 이유는 '황달이 치료가 되지 않은 것은 오래된 쑥으로 인한 것이다'라는 의미로 '이유나 원인'을 뜻하는 '인(因)'과 '오래된'을 뜻하는 '진(陳)'을 합해 '인진(因陳)'으로 했다가 다시 '인(因)'에 풀 초(艸)를 붙여 '인진(茵陳)'으로 이름을 지어 사람들로 하여금 쑥은 구분해서 써야됨을 알려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