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종용
육종용은 버섯모양으로 자란 기생성 식물로 오리나무더부살이라 부른다.
육종용은 중국의 역대 황후들이 즐겨 복용했다는 묘약으로 자양강정에 정평이 나있고 오랫동안 복용해도 부작용이 별로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육종용은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느리고 부드러운 모양을 말하며 약의 성질을 묘사한 것이라고 합니다
중앙아시아의 높은 산 음지에서 자생하는 기생식물로 혹처럼 생겼으며 껍질이 솔방울같이 비늘모양을 하고 있고, 말의 배설물이 많은 곳에서 많이 자란다고 하며 또는 말이 교미를 하다 정액이 떨어진 곳에서 자란다고 하여 양기를 북돋우는 성서러운 약이라 부르기도 했다고 합니다
특히 생김새가 남성의 그것고 닮았고 끈적거림인 냄새가 이와 유사하다고 한다
중앙 아시아의 높은 산 음지에서 자라나는 기생식물의 하나로 말이 교미를 하다 정액이 떨어진 곳에서 자란다는 일설이 있는만큼 정액과 혈액을 보하면서 명문의 열화를 강화시켜 음경을 발기시키는 힘이 대단해 예로부터 양(陽)을 돋우는데 성약(聖藥)이라고 했다.
생김새가 남자의 성기와 기가 막히게 같을 뿐만 아니라 그 끈적거림 정도나 냄새가 남성의 음경과 너무도 흡사하다.
따라서 전쟁이나 장사로 남편이 집을 떠나면 여인네들이 이 육종용을 움켜쥐고 눈물까지 흘렸다는 중국의 고사도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옛날에 말(馬)이 많던 제주도에서 많이 자랐다고 한다.
동의보감을 보면 "육종용은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은 달콤새콤 짭짤하며 독은 없다.
오장육부의 허약증세와 음경의 통증및 약한 음경과 정력손상을 치료한다.
또 발기부전과 정액이 찔끔 새어나오는 증세와 여자의 냉대하와 음문의 통증을 치료한다"고 나온다.
성질은 덥고 맛은 달면서 짜다.
주로 남성의 성기능저하와 발기부전을 치료한다.
또 여성의 불감증이나 허리, 무릎이 시큰하고 무기력한 증상을 완화시킨다.
근육과 뼈에 힘이 없는 증상과 병후와 산후의 혈허(血虛)증상을 개선하고 대장 건조성 변비를 치료하기도 한다.
육종용효능
1. 동의보감에서는 육종용을 오장육부의 기능을 키우고 강음익정 즉, 음기를 강하게 하고 정기를 더해서 자식을 많이 생기게 한다고 합니다
2. 몸에 기운이 부족하거나 혈액이 부족할 때, 육종용을 복용해 주면 기를 보충해주고 혈액을 보충해 주어 몸이 가볍고 기운이 나게 한다고 합니다
3. 골수를 충실히 하고 안색을 밝게 해주며 남성 불임증에도 효과가 있어요
4. 몸무게를 늘리며 혈압을 떨어뜨리고 타액의 분비를 늘리는 효과가 있어요
그외의 육종용효능으로는 몸이 극도로 마르거나 쇠약한 경우, 밤에 지나치게 소변이 잦은 경우, 정력이 떨어져 발기불능증상이 있거나 불임증이 된 경우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약차 활용법
① 육종용차
육종용 15g, 인삼 15g, 대추 10개를 물로 달여서 차로 마신다.
이 약차는 신장 허약에 의한 남성의 성기능저하와 발기부전을 치료한다.
② 육종용 성기능강장차
육종용 15g, 산수유 10g, 석창포 6g, 복령·토사자 각각 9g을 물을 붓고 달여서 그 약액을 걸러낸 뒤 하루 3회로 나누어 차 대신 마신다.
이 약차는 성욕감퇴나 성신경 쇠약 등 성기능저하에 좋은 치료 효과가 있다.
※많이 복용하게 되면 대변이 물러져 설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육종용은 봄에 줄기를 채취해 말린 담종용과 가을에 채취해 소금물에 절인 염종용이 있는데 이중 약효는 담종용이 더 좋다고 합니다
집에서 용종용을 약으로 쓸때에는 술에 축여 시루에 쪄서 사용하고 차로 끓여 먹을 때는 물300ml에 10g을 넣어 물이 반으로 줄때까지 졸인 다음 여러차례 나누어 마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