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와효능

맥문동

영지니 2008. 1. 24. 23:46


맥문동


 

 

 

 

맥문동(麥門冬)


이명

맥동, 조구, 위구, 문동, 맥문, 맥문, 양구, 인릉, 불사약, 애구, 우구, 석발


기원

백합과(백합과 Liliaceae)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맥문동의 괴근과 동과에 대엽 맥문동의 괴근을 건조한 것이다. 

근경은 짧고 비대하며 수근은 세장하며 곳곳에 비대한 작은 괴근이 났다. 

꽃줄기는 세장하며  직립하고 높이 30~50cm내외이며, 엽은 총생하고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뭉툭하고 기부는 협착하여 엽병이 된다. 

길이 50cm, 폭이 1cm 내외이며 상면은 짙은 녹색이며 광택이 있고 상부는 하수 되었다. 

화는 총상화서로 세화는 밀착하였고 담자색이며 5~6월에 개화한다.

과실은 장과로 구형이며 담흑색이다.


학명

Liriope muscari(Decaisne) Bailey


형태

본품은 방추형, 장타원형 또는 난형을 이루고  길이가 1.5~5cm, 직경이 0.3~1cm이다.

면은 담황백색 또는 담갈색이고 많은 추피가 있으며 횡절면은 담황색이고 중심에 강인한 심이 있고 질은 유윤하고 점액이 있다


산지

산야의 수림속에 자생하고 또는 전포에 재배한다.

특히 경남 밀양이 특산지이다.


성분

Sitosterol, Glucose를 다량 함유하고 기타는 미상.


성미

성은 미한무독하고 미는 감미고하다.


귀경

입심, 폐이경 겸입위경(청윤지품).


주치

윤폐청심, 사열제번, 화담행수, 생진지수, 치구토위벽, 한열허로, 허상, 원기, 맥절단기, 폐위토농, 혈열망행, 경고유폐, 명목열안


해설

맥문동은 천의 춘생에 기를 품하고 지의 가색의 감미를 득하고 생하였는데 양중의 미음이다. 

성이 한하되 보하고, 보하되 이하지 않고  강하고 청윤하여 오로지 폐경기분으로 행하여 폐열을 치하는 요약이 된다.

맥문동은 약성이 양하되 능히 보하고 보하되 이하지 않은 것은 이에 과할 것이 없다. 

폐중에 은복한 화를 퇴하고 폐중의 부족한 것을 생하며, 상한노복과 온열병과 잡병에 음이 양을 제하지 못하여 번열조갈한 자는 용하여 진액을 생하고 고를 유하고 열을 퇴하여 크게 기공이 있다.


6~7월간에 습열이 왕성하여 사람이 골핍무력하고, 신중기단, 두선안흑하여 심하면 위연하므로 손진인 이 생맥산으로서 그 진기를 보하니 인삼의 감온은 열화를 사하고 원기를 익하며 맥문동의 고한은 조금을 자하고 수원을 낳게 하며, 오미자의 산온은 병화를 사하고  경금을 보하고 겸하여 오장의 기를 익한다고 한다. 


맥문동은 천문동과 비슷하나  맥문동은 감미가 심다하고 한성이 차소하며,  천문동은 소주가 심에 있고  맥문동은 소주가
폐에 있고 심에도 있다.


안컨데 본품은 청량성 자양제로서 열성병의 구건, 후건, 목적, 번갈, 해수무담, 설태소진등 증에  적용하고 아울러 최유제의 보조약으로 용하여 통유작용을 가지고 있다.


수치

청수에 습윤하여 거심(불거심칙령인번)하고 사용한다. 

자보약에는 주침하여 용하거나 혹은 미를 반하고 초황하여 사용한다.


용량

6~12g


금기

맥문동은 성이 한하므로  오직 비위가 허한하여 설사하는 자, 두창 허한작설자, 산후허한 작설자는 복용을 기한다.


배합예
          

1. 맥문동에 오미자, 지모, 현삼을 배합하여 음허로 일경태중한 해수를치하고,
          

 2. 죽여,  백모근,  인삼,  진피,  감초를 배합하여  소아구토, 번열을 치하고,
          

3. 오미자, 구기자, 지황, 우슬,  별갑,  산조인,  천문동을  배합하여 오노칠상을 치하고,
          

4. 왕불류행, 백작약, 통초를 배합하여 유즙을 증가하고,
          

5. 인삼, 오미자를 배합하여 복맥통심하고 하월 서상기에 상복하며 주후여독을 해하고,
          

6. 적작약, 동규자, 활석, 망초를 배합하여 석임을 치하고,
          

7. 인삼, 황기, 청호, 상백피, 지골피, 지각, 시호를 배합하여  소아골증노열, 자한을 치하고,
          

8. 천화분, 사삼,  백합,  백작약,  패모,  우방자,  자완을  배합하여 허해를 치하고,
          

9. 석고,  지모, 죽엽 각 수량을 배합하여 양명학으로 대갈인음, 번조, 혹은 구토를 치하고, 만일 허약하면 인삼 소허를 가하고,  담다자는 패모, 귤홍 각 소허를 가하고, 천문동, 의이인, 황백, 작약,  복령, 석곡, 상백피, 오미자, 우슬을 가하고,
         

10. 복분자, 질려, 황백, 오미자를 가하여 설정을 지하고,
         

11. 복령, 차전자, 황련, 석곡, 저령, 택사를 배합하여  심복결기, 신중 목황을 치하고,
         

12. 석고, 지모, 죽엽, 갱미를 배합하여  오로지 시기두통, 대갈번조 및 발광이 심한 자를 치하는데 각 수량 혹은 농전 돈복하고,
         

13. 황련을 배합하여 소갈을 치하고,
         

14. 사삼, 오미자를 배합하여 심폐허열, 허노객열을 치하고,
         

15. 구기자, 오미자, 청호, 별갑, 우슬, 지황, 작약,  천문동,  호황련, 산약, 복령, 산수유를 배합하여 골증노열을 치하고,
         

16. 반하, 인삼, 감초, 대조, 갱미를  배합하여  폐위,  해천욕구, 인후 불리를 치하고,
         

17. 황금과 동용하여 부금제목하여 고창부종을 치하고,
         

18. 산치자와 동용하여 청금이수하여 지만황달을 치하고,
         

19. 하엽과 동용하여 담부를 청양하여 소양생기를 좌하고,
         

20. 고본환에 입하여  음혈을 좌하여  심화를 하강하고  신수를  상승케한다.
 
異名

麥冬, 鳥鳩, 爲鳩, 門冬, 麥文, 麥門, 羊鳩, 忍凌, 不死藥, 愛鳩, 禹鳩, 石髮


基源

百合科(백합과 Liliaceae)에 屬한 多年生草本인 麥門冬의 塊根과 同科에 大葉 麥門冬의 塊根을 乾燥한 것이다. 

根莖은 짧고 肥大하며 鬚根은 細長하며 곳곳에 肥大한 작은 塊根이 났다. 

꽃줄기는 細長하며  直立하고 높이 30~50cm內外이며, 葉은 叢生하고 線形 또는 線狀 披針形이며 끝이 뭉툭하고 基部는 挾窄하여 葉柄이 된다. 

길이 50cm, 幅이 1cm 內外이며 上面은 짙은 綠色이며 光澤이 있고  上部는 下垂되었다. 

花는 總狀花序로 細花는 密着하였고 淡紫色이며 5~6月에 開花한다.

果實은 漿果로 球形이며 淡黑色이다.


學名

Liriope muscari(Decaisne) Bailey


形態

本品은 紡錐形, 長楕圓形 또는 卵形을 이루고 길이가 1.5~5cm,  直徑이0.3~1cm이다.

外面은 淡黃白色 또는 淡褐色이고 많은 皺皮가 있으며 橫切面은 淡黃色이고 中心에 强靭한 心이있고 質은 柔潤하고 粘液이 있다.


産地

山野의 樹林속에 自生하고 또는 田圃에 裁培한다. 

特히 慶南 密陽이 特産地이다.


成分

-Sitosterol, Glucose를 多量 含有하고 其他는 未詳.


性味

性은 微寒無毒하고 味는 甘微苦하다.


歸經

入心, 肺二經 兼入胃經(淸潤之品).


主治

潤肺淸心, 瀉熱除煩, 化痰行水,  生津止嗽, 治嘔吐蔿擘, 寒熱虛勞, 虛傷元氣, 脈絶短氣, 肺蔿吐膿, 血熱妄行, 經枯乳閉, 明目悅顔


解說

麥門冬은 天의 春生에 氣를 稟하고 地의 稼穡의 甘味를 得하고 生하였는데 陽中의 微陰이다. 

性이 寒하되 補하고, 補하되 泥하지 않고  降하고 淸潤하여 오로지 肺經氣分으로 行하여 肺熱을 治하는 要藥이 된다.

麥門冬은 藥性이 凉하되 能히 補하고 補하되 泥하지 않은 것은 이에 過할 것이 없다.

肺中에 隱伏한 火를 退하고  肺中의 不足한 것을 生하며, 傷寒勞復과 溫熱病과 雜病에 陰이 陽을 濟하지 못하여 煩熱燥渴한 者는 用하여 津液을 生하고 枯를 濡하고 熱을 退하여 크게 奇功이 있다.

6~7月間에 濕熱이 旺盛하여 사람이 骨乏無力하고, 身重氣短, 頭旋眼黑하여 심하면 蔿軟하므로 孫眞人 이 生脈散으로서 그 眞氣를 補하니 人蔘의 甘溫은 熱火를 瀉하고 元氣를 益하며  麥門冬의 苦寒은  燥金을 滋하고  水源을 낳게 하며, 五味子의 酸溫은 丙火를 瀉하고  庚金을 補하고 兼하여 五臟의 氣를 益한다고 한다. 

麥門冬은 天門冬과 비슷하나  麥門冬은 甘味가 甚多하고 寒性이 差少하며, 天門冬은 所主가 心에 있고 麥門冬은 所主가
肺에 있고 心에도 있다.
按컨데 本品은 淸凉性 滋養劑로서 熱性病의 口乾, 喉乾, 目赤, 煩渴, 咳嗽無痰, 舌苔少津등 症에  適用하고 아울러 催乳劑의 補助藥으로 用하여 通乳作用을 가지고 있다.


修治

淸水에 濕潤하여 去心(不去心則令人煩)하고 使用한다. 

滋補藥에는 酒浸하여 用하거나 或은 米를 拌하고 炒黃하여 使用한다.


用量

6~12g


禁忌

麥門冬은 性이 寒하므로 오직 脾胃가 虛寒하여 泄瀉하는者, 痘瘡虛寒 作泄者, 産後虛寒 作泄者는 服用을 忌한다.



配合例
          

1. 麥門冬에 五味子, 知母, 玄蔘을 配合하여 陰虛로 日輕太重한 咳嗽를 治하고,
          

2. 竹茹,  白茅根,  人蔘,  陳皮,  甘草를 配合하여  小兒嘔吐, 煩熱을 治하고,
          

3. 五味子, 枸杞子, 地黃, 牛膝,  鼈甲,  酸棗仁,  天門冬을  配合하여 五勞七傷을 治하고,
          

4. 王不留行, 白芍藥, 通草를 配合하여 乳汁을 增加하고,
          

5. 人蔘, 五味子를  配合하여 腹脈通心하고  夏月  暑傷氣에  常服하며 酒後餘毒을 解하고,
          

6. 赤芍藥, 冬葵子, 滑石, 芒硝를 配合하여 石淋을 治하고,
          

7. 人蔘, 黃朞, 靑蒿, 桑白皮, 地骨皮, 枳殼, 柴胡를 配合하여  小兒骨 蒸勞熱, 自汗을 治하고,
          

8. 天花粉, 沙蔘,  百合,  白芍藥,  貝母,  牛蒡子,  紫翫을  配合하여 虛咳를 治하고,
          

9. 石膏,  知母, 竹葉 各 數兩을 配合하여 陽明虐으로 大渴引飮, 煩躁, 或은 嘔吐를 治하고, 만일 虛弱하면 人蔘 少許를 加하고,  痰多者는 貝母, 橘紅 各 少虛를 加하고, 天門冬, 薏苡仁, 黃柏, 芍藥,  茯逞, 石斛, 桑白皮, 五味子, 牛膝을 加하고,
         

10. 覆盆子, 疾藜, 黃柏, 五味子를 加하여 泄精을 止하고,
         

11. 茯逞, 車前子, 黃連, 石斛, 猪逞, 澤瀉를 配合하여  心腹結氣, 身重目黃을 治하고,
         

12. 石膏, 知母, 竹葉, 粳米를 配合하여  오로지 時氣頭痛, 大渴煩躁 및 發狂이 甚한 者를 治하는데 各 數兩 或은 濃煎 頓服하고,
         

13. 黃連을 配合하여 消渴을 治하고,
         

14. 沙蔘, 五味子를 配合하여 心肺虛熱, 虛勞客熱을 治하고,
         

15. 枸杞子, 五味子, 靑蒿, 鼈甲, 牛膝, 地黃, 芍藥,  天門冬,  胡黃連, 山藥, 茯逞, 山茱萸를 配合하여 骨蒸勞熱을 治하고,
         

16. 半夏, 人蔘, 甘草, 大棗, 粳米를  配合하여  肺蔿,  咳喘欲嘔, 咽喉 不利를 治하고,
         

17. 黃芩과 同用하여 扶金制木하여 鼓脹浮腫을 治하고,
         

18. 山梔子와 同用하여 淸金利水하여 支滿黃疸을 治하고,
         

19. 荷葉과 同用하여 膽腑를 淸養하여 少陽生氣를 佐하고,
         

20. 固本丸에 入하여  陰血을 佐하여  心火를 下降하고  腎水를  上升케한다.
 

'뿌리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백하수오비교  (0) 2008.01.24
산마의효능  (0) 2008.01.24
하수오약성및복용법  (0) 2008.01.24
지치  (0) 2008.01.24
맥문동  (0) 2008.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