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하수오와 적하수오의 약효성분은 차이가 있으나, 두 식물의 쓰임새는 비슷하다
[표]참조.
적하수오의 약효성분은 안트라퀴논류로서 그 중 emodin의 함량이 많아, 하수오의 품질평가시 지표성분으로 이용된다.
백하수오는 pregnane 계열의 배당체가 다수 보고되었으며, 또한 gagaminine이라는 강력한 항산화물질이 뿌리로부터 분리되어 지표성분으로 이용가치가 높다.
한방에서 두 식물은 자양(滋養), 강장(强壯) , 강정(强精), 보혈(補血) 및 조기백발(早期白髮)에 뿌리를 생약재로 사용되는데, 생약 이외에도 차와 술, 강장음료, 건강 보조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등 이용 범위가 확대되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성기능 개선제나 대머리 치료제의 필수 생약 성분으로 하수오가 주목을 받고 있다.
[표] 적하수오와 백하수오의 약효성분과 이용
구 분 | 적하수오 | 백하수오 |
약용부위 | 뿌리 | 뿌리 |
약효성분 |
anthraquinone 화합물 : emodin, chrysophanol, rhein, physcion |
preganane 계열의 배당체,gagaminine |
효 능 | 강장(强壯), 강정(强精), 보혈(補血), 사하(瀉下) | 자양(滋養), 강장(强壯), 보혈(補血),익정(益情), 소종(消腫) |
이 용 | 생약재, 차, 술, 강장음료,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화장품 원료 | 생약재, 차, 술, 강장음료,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화장품 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