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자료

지방간이란?

영지니 2008. 2. 3. 11:52
지방간이란?
  지방간이란 지방의 과도한 섭취, 간 내 축적 및 합성 증가, 배출 감소 등의 원인이 되어 정상적인 지방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지방이 전체 간 무게의 5% 이상을 차지하게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의학적으로는 간의 무게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5%룰 넘을 때 지방간이라고 하는데, 심한 경우에는 50%까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방간은 아주 흔해서 구미(歐美)의 부검 통계에 의하면 사고사로 죽은 건강인의 1/3에서 지방간이 발견된다고 합니다.


지방간의 발생원인
 
지방간의 흔한 원인은 비만, 과음, 당뇨병, 고지혈증(高脂血症) 등입니다. 환자분들이 염려하는 것은 혹시 만성간염같은 것이 있어 장차 간경변증, 간암 등이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점입니다. 그러나 알코올성 지방간을 제외하고는 우리가 흔히 보는 지방간은 이러한 나쁜 병으로 이행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지방간이 과다 음주에 의하여 발생하였다면 주의를 요합니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일부에서 만성간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는데, 알코올성 간염이 10-35%에서, 간경변증이 8-20%에서 발생합니다. 한편 술을 많이 마시지 않는 지방간 환자 중에서도 간에 간염 소견 및 간세포의 괴사(壞死)가 관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지방간과 구별하여 지방성간염(脂肪性肝炎)이라고 부르며, 드물게 간경변증이 생길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성 만성간염이나 알코올성 간염에 비한다면 예후는 훨씬 양호한 편입니다. 요약하면 지방간만 있다면 별다른 치료가 필요없고 크게 걱정을 안 하셔도 되나, 지방성간염이 동반되어 있다면 주의할 필요가 있고, 그렇지만 다른 원인에 의한 만성간염보다는 예후가 나은 편입니다. 그런데 신체검진이나 혈액검사를 통해서는 지방간만 있는지 또는 지방성간염이 동반되어 있는지를 알 수 없습니다. 이를 구별하는 유일한 방법은 간 조직검사입니다. 그렇다고 모든 지방간 환자가 다 조직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고, 조직 검사가 필요한 사람은 일부에 지나지 않습니다. 즉 증상이 있거나(가령 피로감이 심하다든지), 6개월 이상 간기능검사치(AST 또는 ALT)의 이상이 지속 또는 악화되거나, 진단이 애매할 경우 등입니다.


지방간의 증상은?
 
대부분의 경우는 별다른 증상이 없으며, 지방간의 증상은 지방의 축적 정도와 축적 기간, 다른 질환의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성 음주, 비만, 잘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을 갖고 있거나 영양섭취가 부족한 사람이 간의 크기가 커져 있으면서 간기능에 약간의 이상이 있는 경우 지방간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지방간을 알 수 있는 검사법에는 간기능 검사, 자기공명영상촬영, 컴퓨터 단층 촬영, 초음파 등이 있으며 진단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 간조직 검사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지방간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지방간의 치료는 주로 식이요법이며 과체중의 경우는 다이이어트를 위한 운동요법입니다. 만일 음주에 의한 알코올성 지방간이라면 술을 끊어야 하고, 비만이 원인이 된 경우에는 체중을 줄여야 하며, 당뇨병에 병발된 지방간은 혈당을 잘 조절하여야 하고, 고지혈증이 원인이 된 경우에는 혈중 지질을 정상으로 유지하여야 합니다. 술을 마시지 않도록 하며, 지방간의 원인이 되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주치의와 상의하여 약물복용을 중단하도록 합니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혈당조절을 잘 하도록 합니다. 비만증이 있는 경우 체중을 줄이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단백질 풍부한 식품 및 신선한 야채를 포함하여 골고루 영양분은 섭취하도록 합니다.

간에 병이 있으면 잘 먹고 잘 쉬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지방간의 경우에는 그렇게 하면 상태가 더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 먹고 잘 쉬어서 비만이 더 심해지는 경우, 혈당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지질이 정상으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지방간이 더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지방간이 있으면서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이 있는 분들은 적게 드시고 운동을 많이 해야 합니다. 약물 보조 요법으로 metadoxine, betaine glucuronate, methionine, choline, lipotrophic제제가 보조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아직 의학적인 근거가 확실히 증명된 것은 아닙니다.


생활 가이드

 

 

 

 

 

간손상이 있는 중독환자의 치료 중 반드시 병행해야 하는 것은 식이요법으로서, 충분한 비타민(특히 B군과 C, K 등)의 공급이 필요합니다.

 

 

적극 취할 음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백질식품 ; 생선 1조각, 고기 60g, 계란 1개, 두부 1/2모, 우유 1개 / 1일
비타민, 미네랄식품 ; 우유, 유제품, 녹황색채소, 과일 차잎 ,효모, 해조분말

과음, 과식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방간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당뇨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합니다.

 

 

감미식품을 피합니다.



F A Q
  Q : 지방간이라는데 어떤 점에 특히 주의해야 하나요?
A : 먼저 금주하셔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체중을 정상체중으로 유지하시는 노력을 하시고,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드시지 마십시오. 혹시 당뇨병이 있는 지 체크하여 있다면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운동을 꾸준히 하십시오.

'건강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의구조  (0) 2008.02.03
간질환  (0) 2008.02.03
당뇨병인생의설계  (0) 2008.02.03
의학상식  (0) 2008.02.03
피부 질환 치료  (0) 2008.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