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 25 작전상항도 6.25 전쟁때 서울 시가지를 통과하는 T-34-85형 인민군 탱크.중량32t, 최대시속 50km, 승무원 4명으로 인민군 전력의 핵심이었다. 1950년 서울 1950년 서울. 1950년 9월 28일 서울에서. 강변의 피란촌 주먹밥.1950.7.29. 1950. 7. 7.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유엔파병안을 통과시키고 있다. 1950.. 동족상잔(6.25 & 5,18 ) 2011.02.25
한국전쟁 6.25 전차부대의휴식 길가에 부서진 인민군전차 서울로 입성하는 UN군전차들 전차를 앞세워 38선을넘어 북진하는 UN군 ☆★ 6,25 한국 전쟁 ★☆ Korean War 01( Trouble on the horizon ) http://flvs.daum.net/flvPlayer.swf?vid=vwIpVpCQsT8$ Korean War 02 전쟁은 시작되고 http://flvs.daum.net/flvPlayer.swf?vid=bSlME4_u-jM$ Korean War 03 .. 동족상잔(6.25 & 5,18 ) 2011.02.25
6.25의 치열한 전쟁 동영상13부 6.25 의 치열한 전쟁의 참상을 종군기자가 촬영한 실전현항1부 부터 13부로 연속 소개하는 동영상. 1부/美軍의 개입 2-부/6.25 남침에 현장 3-부/부산을 지켜라 4-부/인천 상륙 작전 5-부/가자 서울로 6-부/38선을 넘어.... 7-부/중공군에 기다림... 8-부 /얼어 붙은 장진호 9-부/다시 남으로 후퇴... 10.. 동족상잔(6.25 & 5,18 ) 2010.12.01
6·25 동란 당시의 컬러 사진 미국 NBC 방송의 종군기자인 존 리치(92)가 찍은 6·25 동란 당시의 컬러 사진 문화체육관광부는 주한 미국대사관과 함께 6·25 60주년을 기념, 5월5일부터 6월30일까지 청와대 사랑채에서 특별 사진전을 연다. 6·25 관련 컬러사진이 국내 공개되는 것은 처음이다. 개전 초기부터 휴전협정 조.. 동족상잔(6.25 & 5,18 ) 2010.11.28
6.25전쟁 사진전 ▷1950.6.25 6월 25일 새벽 4시경 북한인민군은 38도선 전역에서 기습 남침을 시작 하였다. ▷1950.6.26 한국의 사태를 보고 받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군의 불법 남침 중지, 38도선 이북으로의 철수' 결의안을 찬성 9, 반대 0, 기권 1로써 가결하였다. ▷1950.8.1 북한군의 계속되는 공세에 밀.. 동족상잔(6.25 & 5,18 ) 2010.11.28
6, 25. 전화(戰禍) ▲ 1950. 9. 30. 전화(戰禍)로 폐허가 된 대전역 ▲ 1950. 11. 24. 불타버린 서울역 앞 세브란스 병원. ▲ 1950. 10. 7. 불타고 있는 김포 비행장 ▲ 1950. 10. 18. 전화에 그을린 중앙청 ▲ 1950. 10. 18. "국파산하재(國破山河在)", 멀리 북악산과 중앙청 돔이 보인다 ▲ 1950. 9. 20. 왜관, 낙동강 철교 복구 공.. 동족상잔(6.25 & 5,18 ) 2010.11.28
6.25 戰爭(전쟁) 사진과 컬러 동영상 15편 6.25 戰爭 부상병이 의무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북한군에 의해 대량 학살된 시신 옆에서 오열하고 있는 한국인 아이들이 먹을 것을 찾고 있다.추위를 피하기 위해 작은불 옆에 있다. 6.25 전쟁사진 150장 감상은 여길 누르세요 칼라로 된 韓國戰 동영상 이 자료는 한국전의 발발에서 부터 .. 동족상잔(6.25 & 5,18 ) 2010.11.20
한국 전쟁이 있기 전까지의 우리나라 한국 전쟁이 있기 전까지의 우리나라 대한민국에 대한 소개 대한민국은 1945년 2차 대전에서의 일본 패망을 계기로 광복을 맞이하고, 1948년 8월 15일 그 성립을 국내외에 선포하고 국제연합의 승인을 받았다. 역사적으로는 고조선을 한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라 여기며, 그 이래 단일민족.. 동족상잔(6.25 & 5,18 ) 2010.04.27
동족상잔의 비극 6.25가 남긴 것들 동족상잔의 비극 6.25가 남긴 것들, 참담했던 시절의 빛바랜 사진들입니다. 미국 노포크市 "맥아더 장군 기념관"소장 (미 극동사령부 사진반 사진가 디미트리 보리아(1902~1990)作) 전쟁사진작가 디미트리 보리아(알바니아 태생) 1. 전쟁고아들 전란통에 살아남은 당시의 소년 소녀들 전란통.. 동족상잔(6.25 & 5,18 ) 2010.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