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돗돔

영지니 2008. 7. 27. 23:37
돗돔   
 

돗돔


큰입 돗돔(일본)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소]

●표준명 : 돗돔
● 학명 : Stereolepis ishinagi
●방언 :가라스·돗돔
● 일본명 : 이시나기(イツナギ)

낚시로 낚아낼 수 있는 물고기 크기는 한계가 어디일까? 최근 루어와 트롤링낚시 등 선진적인 낚시기법이 보급되면서 낚시대상어 폭 또한 확대되어가고 있는 경향이다. 국내의 낚시 대상어는 빙어·망둥어처럼 손가락 크기의 소형어류로부터 재방어·참치·다량어류와 참돔·농어·자바리·혹돔등 몸집이 1m가 넘은 대형어류까지 다양하다. 이번에 소개하는 돗돔은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1m가 훨씬 넘는 몸집으로 최근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어종이다.

●이름
돗돔은 얼핏보면 외부형태가 자바리를 포함하고 있는 능성어류와 비슷하다. 때문인지 이름도 혼돈하여 쓰인다. 경남 지방에서는 옛t부터 ‘가라스’또는 ‘돗돔’이란 이름으로 불리워왔으며 방언은 그다지 많지 않은 편이다.학명은 stereolepis'은 겹(stereo)과 비늘(lepis)를 뜻하는 그리스語의 합성이다. 돗돔 무리들이 두꺼운 껍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으로 보인다. 종명인 ‘ishinagi’는 일본 이름인 ‘イシナギ’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특징
돗돔은 거대한 몸집만 아니라면 얼핏 보기에 능성어류(자바리나 능성어)나 볼낙류(우럭)로 오인할 만치 닮아있다. 몸은 타원형이며 조금 측편돼 있다. 몸색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많이 띤 갈색이며 배쪽은 흰 편이다. 어릴적에는 윤곽이 뚜렷하지 않은 흰색의 세로 무늬를 몸 옆에 가지고 있지만 성장함에 따라 이 무늬는 없어진다. 아래 턱이 위 턱보다 조금 앞쪽으로 돌출돼 있으며 입술이 매우 두껍다. 또한 위·아래 턱이 위 턱보다 조금 앞쪽으로 돌출돼 있으며 입술이 매우 두껍다. 또한 위·아래 턱에는 모두 융모상의 이빨을 가지고 있다. 등지느러미에는 11~12개의 가시(극조)와 9~11개의 줄기(연조)가 있으며, 뒷지느러미에는 3개의 가시와 7~8개의 줄기를 가지고 있다. 체측의 비늘수는 87개 전후다(옆줄 구멍을 가지느 비늘은 54~60개). 척추골은 26개다.

●분포·분류
돗돔은 우리나라 남해와 동해, 일본 전연안(북해도와 동북지방에 대형급이 많음)에 서식하고 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 연안에도 서식한다. 돗돔류 중에서 ‘큰입돗돔’과 ‘작은입돗돔’의 2종류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경우 큰입돗돔은 일본 북해도에서 고찌(高知) 지방에 이르는 연안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돗돔은 생김새가 자바리·다금바리·능성어 등을 포함하는 능성어류(바리科, Serranidae)와 비슷하다. 분류학적으로는 담수어인 쏘가리나 꺽지와도 가깝지만 눈볼대(일명 빨간고기:아까모치)·눈퉁바리 등과 같이 농어目, 반딧불게르치科(Acropomatidae)에 포함시키고 있다. 돗돔은 오랫동안 한 종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최근 일본에서는입의 크기에 따라 ‘큰입돗돔’(오오구찌이이시나기, オオクチイツナギ:Stereolepis doederleini)과 ‘작은입돗돔(고구찌이시나기,コクチイツナギ:Stereolepisishinagi)’의 2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작은 입돗돔은 큰입돗돔에 비해 비늘이 작고 입도 작지만 2종 모두 크기는 2m정도 대형급으로 종간 차이는 없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 보고되어 있던 돗돔은 학명만으로 보면 후자에 속하여(한국어도보, 1977)입이 작은 종이가 불릴 수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지금까지 기재되어 있던 학명으로 추측한 것이고,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돗돔이 한 종인지 두 두 종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앞으로 분류 형질을 사용한 자세한 형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돗돔과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자바리(제주지방名 ‘다금바리’)를 돗돔과 비교해 본 결과가 ,<표1>, <그림1>이다. 두 종 모두 타원형, 방추형으로 체형이 비슷하고 몸색은 전체적으로 검은 색이 강한 흑갈색(성어)을 띠고 있으며 크기가 1m이상의 대형어인 점이 비슷하다. 차이점으로는 등지느러미의 가시 길이와 꼬리지느러미의 윤곽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돗돔의 등지느러미가 가시 길이는 자바리보다 긴 편이고, 꼬리지느러미 윤곽은 돗돔이 거의 일직선인데 비하여 자바리는 둥근 편이다. (<그림1>). 이 밖의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가시수는 두 종이 비슷하지만 등지느러미의 줄기(연조)수는 돗돔이 9 ~11개인데 비해 자바리는 14~15개로 많다. 또 성어가 되기 전에는 두 종 모두 몸 옆에 독특한 무늬를 가지고 있는데, 돗돔의 경우 4~6줄의 세로 무늬를 가지고 있는데 비하여 자바리는 6줄의 비스듬한 갈색 가로띠를 가지고 있는 차이점이 있다.

●생태
돗돔의 성어는 수심 4백 ~5백m정도의 깊은 바다속에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봄부터 초여름 사이(5~6월) 산란을 위하여 수심 60~70m 정도의 얕은(?)곳에 올라온다. 알을 낳는 숫자는 어미의 나이나 크기에 상당한 차이가 있겠지만 240만개까지 기록된 적이 있을 정도니 그 몸집만큼이나 알 낳는 숫자 또한 엄청나다고 하겠다. 돗돔은 금눈돔·매퉁이와 마찬가지로 어린 시기에는 수심이 얕은 연안에서 자라다가 깊은 수심으로 옮겨간다. 연안에 살고있는 50cm 정도의 어린 돗돔을 관찰해 보면 머리에서 꼬리에 이르기까지 4~6개의 흑갈색 세로띠를 가지고 있는데 이후 성장함에 따라 깊은 수심으로 이동하면서 무늬는 없어지고 몸전체가 검은 색을 띠게 된다.

농어나 능성어류 중에는 돗돔이나 자바리와 같은 초대형으로 자라는 종류가 있다. 호주 연안에 살고 있는 능성어류의 한 종인 자이안트그루퍼(Giant grouper)는 ‘사람을 잡아먹는 능성어’라고 불리울 정도로 덩치가 엄청나게 큰데 몸길이가 3m, 무게가 4백 50kg이나 나간다. 이런 대형 능성어를 비롯한 돗돔·자바리처럼 덩치가 큰 어종은 얼마나 많은 양의 먹이를 먹는 것일까? 다른 물고기보다 몇 배나 많은 양의 먹이를 먹으며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것일까? 관찰에 의하면 이들 대형어들이 하루에 먹는 먹이량은 다른 어류에 비해 특별히 많은 것은 아니다. 단지 어느 크기에서 성장을 멈추지 않고 꾸준히 성장을 계속하여 다른 종보다 큰 몸집으로 자란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로 이러한 바다고기의 경우 종이나 환경, 나이 등 요인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어릴 때는 체중의 10%정도까지 먹다가 성어가 되면 하루에 자기 체중의 2~5% 정도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조사된 돗돔의 생태자료로는 이 종을 충분히 이해하기가 어려우며 심해에 살고있는 초대형 어류라는 점만으로도 아직 많은 의문점을 안고 있다. 즉 성장하여 수심이 수백m나 되는 깊은 곳으로 옮겨간 돗돔은 수심이 깊어감에 따라 증가하는 엄청난 수압(10m마다 1기압씩 증가), 태양빛이 닿지 않은 암흑의 세계, 먹이가 되는 오징어 등 물고기의 서식 밀도가 극히 낮고 매우 낮은 수온환경 등 연안 생태와 크게 다른 심해환경 속에서 어떻게 성장을 계속 할 수 있는가? 또 큰 몸을 어떻게 유지하는가 등 아직도 많은 의문점을 안고 있다.

●식성·성장
돗돔의 식성은 다른 능성어류와 마찬가지로 육식성이라 할 수 있다. 어류나 오징어·문어 등의 연체동물과 새우·게 등의 갑각류를 먹이로 취한다. 돗돔의 성장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자세히 조사된 자료가 없고 다만 수족관에서 유어를 사육해본 결과 1m가 넘는 대형어류라 하여 하루 먹이 섭취량이 특별히 많지는 않다는 사실을 확인한 정도여서 앞으로 좀더 자세한 조사가 필요하다.

●낚시
돗돔하면 우리나라 연안에서 낚시로 즐길 수 있는 어류 중에서 가장 큰 어류의 하나다. 하지만 이름은 들어도 실물을 보지 못한 꾼이 많을 만치 그리 흔한 물고기는 아니다. 국내 바다낚시 대상어 중에서 대물어종을 꼽는다면 참돔과 자바리(다금바리)·농어·재방어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크기가 1m급을 넘나들며 감성돔이나 돌돔·벵에돔 등과는 씨알 차이가 현격하고 힘 또한 다른 맛이 있어 대물꾼을 유혹하곤 한다. 특히 돗돔은 자그만치 1~2m급 씨알을 자랑하고 있어 연안에서 즐길 수 있는 낚시 대상어로는 따라올 어종이 없을만치 초대형 어종이다.

지금까지 낚시로 낚아낸 돗돔의 기록을 보면 1994년 2월 28일 경남 거제 홍도 부근에서 오세준씨가 낚아낸 1백 50cm짜리가 최대어이다. 하지만 돗돔이란 놈은 워낙 대형급 어류라 몸길이 1~2m, 몸무게 2백 50kg을 넘는 초대형급도 발견되고 있어 앞으로 시즌과 포인트(해역)등에 대한 자료가 축적되고 전문적인 낚시 기법이 발달된다면 돗돔낚시 인구 증가와 함께 최대어 기록은 쉽게 깨질 것이라 생각된다. 사실 돗돔낚시는 아직 걸음마 단계라고 볼 수 있다. 불과 1~2년전만 해도 돗돔낚시 장비를 보면 어부용어구(漁具)라 할만치 투박하여 비록 낚시인이 낚았다 해도 낚시 대상어로 인정하기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대상어가 아무리 크고 또 장비가 투박하다 할지라도 낚시인이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채비와 미끼를 점검하여 낚아 올렸다면 그 대상어가 크든 적든, 상어든 망둥이든간에 이미 낚시행위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돗돔낚시를 하려면 엄청난 덩치에서 나오는 힘을 충분히 감안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깊은 수심에 서식하는 물고기는 어느 정도의 수심까지 떠오르면 수압의 감소로 부레 속의 가스가 팽창하게 되어 수면까지 어렵지 않게 떠올릴 수 있다. 때문에 돗돔낚시에서는 낚시바늘에 챔질이 된 다음 최초 몇 분가의 힘겨루기가 가장 중요하다. 일단 수면까지 떠올린 다음에는 1백 kg이 넘는 무게를 감안, 갈쿠리나 뜰채 따위의 보조기구를 준비해야 한다.

몸집이 큰 물고기는 맛이 없다고들 하지만 돗돔은 예외인 것 같다. 돗돔은 살은 지방이 많은 편인데 돗돔의 이종 사촌격인 능성어류나 쏘가리가 그러하듯이 일급의 맛을 가지고 있다. 미식가들은 최고급 참치회 종류로 치는 새치류와 같은 맛이 난다고 한다. 특히 봄에서 초여름까지의 산란기에 가장 맛이 좋다고 한다. 하지만 이렇게 맛있는 살을 가진 돗돔도 내장 중에서 간은 조심해야 할 부분이다. 어류의 간 중에는 홍어나 쥐치처럼 예부터 뛰어난 맛으로 이름난 게 있는가 하면 돗돔의 간처럼 중독증을 일으키는 종류도 있다. 돗돔의 간에는 지방이 많아 질 좋은 간유(肝乳)를 얻을 수 있으나 방어·부시리·참치 등의 다른 대형어류 간처럼 비타민 A가 너무 많이 들어 있어 잘못 먹으면 비타민 과잉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므로 먹지 않는 게 좋다. 실제로 에스키모나 북극탐험대원 또는 북극 지방 개에서 중독증이 발견된 적이 있다. 돗돔의 중독증 환자가 종종 발생했던 일본에서는 1960년에 ‘돗돔 간을 먹지 말라’고 후생성(우리나라로 치면 보건사회부)에서 권고하기도 했을 정도였다.

돗돔 간에 의한 비타민 중독증 증세는 열이 나고, 두통·구토가 나며, 얼굴에 부종이 생기기도 하고, 피부에 붉은 점이 돋거나 껍질이 벗겨지기도 한다. 간 중독 현상은 약 30분~12시간 뒤부터 나타난다. 특히 약 이틀 뒤부터 피부가 벗겨지며 마치 온몸에 눈이 온 것처럼 전신의 피부 껍질이 들고 일어나는 증세가 가장 대표적이다. 이러한 증세는 약 20~20일간이나 계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A는 신체 생리에 필수적인 영양소임에 틀림없으나 지나치면 이렇게 심각한 중독증까지 일으키는 것이다.“대체로 늙은 물고기들의 간에는 매우 농축된 비타민A가 들어있는 경우가 많다”는 말은 낚시꾼이라면 귀 담아 들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초대형 바다낚시 대상어로서 돗돔은 앞으로 좀더 많은 정보가 요구되고 있으며, 잘 알려지지 않은 돗돔의 생태에 대한 자료축적은 낚시를 위해서나 학술적으로나 매우 가치가 있다 하겠다.

<표1>돗돔과 자바리의 비교
돗돔 표준명 자바리
Stereolepis ishinagi 학명 Epinephelus moara
  영명 Keep bass
이시나기(イツナギ) 일명 쿠에(九會)
가라스.돗돔 방언 다금바리(제주). 외볼락(충무)
2m 크기 1m이상
-몸은 다원형이며 약간 측편되어 있다. 체색은 전체적으로 회갈색, 흑갈색을 띠며 복부는 연하다.
-어릴 때에는 옆구리에 4-8줄의 진한 흑갈색 세로띠가 있다.
-꼬리지느러미 뒷 윤곽을 거의 일직선이다.
형태 -몸은 방추형이고 성어가 되면 무늬가 거의 보이지 않게되며 흑갈색을 띤다.
-체측에는 6개의 흑갈색띠가 앞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 있다.
체측의 띠는 중간 중간 끊어져 있다.
남해, 동해, 일본 중부 이북 분포 남해안, 제주도, 중국해, 일본 중부 이남, 인도양
등지느러미(D), ⅩⅠ~ⅩⅡ, 9~11
뒷지느러미(A), Ⅲ, 7~8
지느러미식 D. ⅩⅠ1, 4~ 15
A. Ⅲ, 8
87 체측바늘수 100~115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솔로틀 (멕시코 도룡뇽)  (0) 2009.12.29
동갈돗돔   (0) 2008.07.27
돌팍망둑/가시망둑  (0) 2008.07.27
돌돔  (0) 2008.07.27
돌가자미(도다리)  (0)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