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망상어

영지니 2008. 7. 27. 11:19
망상어   
 

망상어


인상어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소]

●표준명 : 망상어
●學名 : Ditrema temmincki
●英名 : Ocean perch, Surf fish, Surf perch, Sea club
●日名 : ウミタナゴ(우미타나고)

※유사어종
●표준명 : 인상어
●학명 : Neoditrema ransonneti
●일명 : 오끼타나고 (オキタナゴ)
●영명 : resonnet's surf perch.
●특징 : 망상어보다 체고가 낮고, 주둥이 부분이 뾰족하다. 망상어보다 개체가 작으며 낚시에 잘 잡히지 않는다.

●이름
‘큰 놈은 한자 정도이고 모양은 도미를 닮았으나 높이는 더 높고 입이 작으며 빛깔이 희다. 태(胎)에서 새끼를 낳느나. 살이 찌고 연하며 맛이 달다’ 「자산어보」 (慈山魚譜)에는 망상어를 이렇게 설명해 놓고 그 이름을 망치어(望峙魚, 小口魚)로 기재하고 있다. 망사, 망상어(부산), 망싱이(충무, 통영군), 맹이(주문진), 망치어(흑산도), 망성어 등의 방언을 가진 망상어는 우리 나라 동해안과 남해안의 갯바위나 방파제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종으로 흔히 ‘바다의 붕어’로 비유되기도 한다. 한편 망상어는 망상어와 비슷한 인상어(겁쟁이, 부산지방)와 구별하기 위하여 떡망사, 떡망싱이로도 불리우며, 일본에서는 입술이 붉은 것을 비유하여 베니쯔게(べニツケ), 몸이 붉은 것을 아카타나고(アカタナゴ, 홍망상어), 몸이 푸른 빛을 띄는 것을 아오타나고(アオタナゴ, 청망상어), 그리고 배속에 새끼를 가지고 있다고 하여 다나고(棚子魚)로도 불리운다.

몸이 측편되어 있는 계란형이고 머리 뒷부분 등쪽선은 거의 일직선이지만 약간 휘어져 있다. 머리에서는 눈에서 위턱을 향하여 2줄의 흑갈색선이 있으며, 아가미 뚜껑(뺨) 위에는 흑색점이 하나 있어 애교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다. 아가미 뚜껑에는 가시가 없이 밋밋한 가운데, 입은 작으며 양턱에 1줄의 이빨이 이쏙, 좌우 하인두골(下咽頭骨:목구멍 앞)에는 원추형의 이빨(목니)를 가진다. 등지느러미는 9~11개(10개)의 가시(棘)와 19~22개(20개)의 줄기(軟條)를 가지는데, 가시는 줄기보다 짧고 가시부와 줄기부는 서로 이어져 있다. 항문 뒤에 위치하나 뒷지느러미의 경우 3개의 가시와 25~28개(26개)의 줄기로 이루어지며, 수컷 성어의 경우 15~19번째 줄기가 암컷에 비해 매우 길게 연장되어 있어 암컷과 수컷이 쉽게 구별된다. 더불어 수컷의 이뒷지러미기저부에는 교미(交尾)에 사용되는 선상구조(腺狀構造)가 발달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그림1>참조). 가슴지느러미의 줄기는 19~20개이며, 각 지느러미에는 비늘이 없고 뺨과 아가미 뚜껑위에만 둥근 비늘이 있다. 몸빛은 서식 장소에 따라서도 다소 차이가 있으나 크게 두 가지 형을 볼 수 있다. 한 가지는 일본에서 참망상어(マタナゴ) 또는 청망상어(アオタナゴ)로 불리우는 것으로, 등쪽이 암청색, 배쪽이 은색을 띤 것이며, 또 한 가지는 일본에서 홍망상어(アカタナゴ)로 불리는 것으로서 등쪽이 붉은 빛을 띤 적갈색이고 배쪽은 은색, 그리고 체측에는 많은 적갈색 띠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두가지 형의 망상어는 지금까지 한 종이 취급되어 오고 있으나 앞으로 형태 및 유전학적 분류 검토를 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분포·분류
망상어는 농어목(目), 망상어아목(亞目), 망상어과(科)에 속한다. 망상어과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50여종이 보고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망상어속(屬)(Detrema SP.)의 인상어 2종이 보고되어 있다(정문기 1977). 망상어와 인상어는 그 모양뿐만 아니라 서식 장소도 비슷하여 혼돈되는 경우가 많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몇가지의 차이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그림1> 및 <표1> 참조).

첫째, 망상어의 경우 인상어에 비하여 체고가 높아 넓적하며, 인상어는 머리 부분이 조금 뾰죽한 느낌을 주며 망상어에 비하여 몸이 가늘고 길다. 크기도 인상어는 20cm 넘는 것은 보기 드물다. 둘째, 망상어는 아래, 위턱에 1열의 이빨을 가지지만, 인상어는 암컷의 경우 이빨이 없고 수컷은 위턱에만 1줄의 이빨을 가진다. 셋째, 망상어는 뺨에 검은 점이 있지만 인상어는 없다. 이 외에도 <표1>에서 보는바와 같이 지느러미 줄기수, 옆줄 비늘수 등에서도 차이를 관찰할 수 있다. 이같은 망상어가 이 지구상에 처음 출현한 기원은 2가지 학설이 있다. 한 가지는 아시아가 그 기원지로서 근대에 들어와 북미 캘리포니아로 이동되었다는 설(Jordan)이고, 또 한가지는 이와 반대로 캘리포니아가 기원지로서 여기서 북태평양의 알래스카와 쿠릴연해를 따라서 동양으로 진출하였다는 설(Tarp)이다(정문기 1977). 아무튼 이 무리는 캘리포니아에서 알래스카 중부까지의 태평양 동부와 우리나라, 일본 등 극동아시아에 그 분표가 제한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종이 캘리포니아 일대 연안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 무리의 분포 한계는 수온에 직접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극동 지방에서는 온도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강하여 5~27℃까지 서식 가능하다.

●생태·어장
어류가 새끼를 낳아 종족을 번식하는 양식은 크게 새끼를 낳는 난태생(卵胎生) 및 태생(胎生)과, 알을 낳는 난생(卵生)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번식 생태는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표2>참조). 먼저 새끼를 낳는 태생어 및 난태생어종에 대해 살펴 보면, 난태생 어종 중에서도 새끼를 부화시켜 산출하는 무리와 알 속에서 발육 중인 새끼를 산출하는 2가지 무리가 있다. 즉 난태생어로서의 볼락 및 쏨뱅이류는 배속에서 새끼를 부화시켜 밖으로 산출(産出)하며, 일부 상어·가요리류는 알 속에서 새끼가 발육 중인 상태로 어미 몸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런데 이들 난태생은 어미 몸속에서 새끼가 발생하는 것은 태생어와 마찬가지이지만, 어미로부터 영양을 취하지는 않는다. 즉 망상어는 난태생인 볼락과는 달리, 어미 배속에서 부화된 새끼가 계속 5~6개월 동안 머물면서 어미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으며 성장하는 완전한 태생어이며, 이런 생긱 양식은가오리·상어류의 몇종에서도 관찰된다. 송사리와 같은 특수한 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난생어들은 체외수정(體外受精)을 하지만, 이상의 난태생 및 태생어들은 독특한 모양과 구조를 한 교미기(交尾器, 교접기)를 가짐으로써 암컷과 교미를 하여 체내수정(體內受精)을 한다. 이같은 교미기의 형태는 상어·가오리처럼 수컷의 배지러미 안쪽에 좌우 1개씩의 막대기 모양을 하고 있는 것도 있으며, 열대어인 구피(L. reticulatus)는 뒷지느러미의 3~5번 줄기가 us형하여 교접각을 형성하는 것도 있는데, 망상어의 경우는 뒷지느러미 1~10번째 줄기 기부에 덩어리를 이루고 머리쪽을 향한 돌기가 있다. (<그림2>참조). 이같은 교미기를 가진 망상어의 수컷과 암컷은 몸을 비스듬히 하고 꼬리부분을 닿게 하는 자세로 단시간에 교미를 마친다.

우리나라 남해안(부산, 충무)에서 망상어의 교미는 10~12월 사이에 이루어지며 11월이 피크타임이다. 그런데 망상어 종류 가운데는 캘리포니아산 망상어와 같이 정자가 암컷 몸속으로 들어간 후 암컷의 난소가 성숙할 때까지 약 6개월을 기다렸다가 수정을 하는 종도 있는데(Cymatogaster aggregata), 우리니라의 망상어는 암컷 몸속에 수정란(受精卵)이 11월 초순부터 관찰되는 것(李, 1989)으로 미루어 보아 정자는 암컷의 몸속에 들어간 후 수일~한달 이내에 수정이 완성된다고 추측된다.

수정이 된 알은 난소강 내에서 발생을 계속하여 이듬해 1월 말 ~2월 사이에 암컷 배속에서 부화하게 된다. 부화한 새끼는 0.5 ~1cm크기이며 그후 바다로 나오기까지약 5~6개월 동안을 어미 배속에서 영양분을 취하면서 성장한다. 부화할 때 가지고 있는 난황(卵黃)을 모두 흡수하고 나면 몸의표면에서 영양물질을 흡수하며, 그 후 소화관의 발달과 함께 입과 새공을 통하여 어미 몸에서 유래된 난소 분비물질, 붕괴된 세포, 혈구와 잔여 정액 등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새끼들은 난소습곡으로 2~4마리씩 쌓여 성장한다. 3월이 되면 망상어의 새끼의 등, 뒷꼬리지느러미의 끝이 주걱 모양으로 발달하고 혈관이 밀집되는데(<그림3>참조), 이것은 망상어 새끼의 영양 흡수 기관으로 알려져 있다. 5월, 6월이면 망상어 새끼의 크기가 5~6.5cm정도까지 자라서 어미 몸 밖으로 나온다. 이 시기에 갯바위나 방파제에서 낚시를 하다 보면 올려진 망상어의 생식공에서 새끼들이 튀어나와 바위 위에서 펄떡거리는 장면을 종종 대할 수 있다. 이 시기가 바로 망상어의 산출 시기인 것이다. 새끼는 꼬리부터 나오기도 하며, 간혹 사람처럼 머리부터 나오기도 한다. 바다로 나온 새끼들은 수십 마리씩 떼를 지어 머물지만, 어미나 새끼가 서로를 찾거나 돌보지는 않는것같다.

망상어는 대부분 15~25cm급이 많으며 30cm전후 개체는 대형급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태어난 지 만 1년이 되면 15~16cm, 2년만에 20cm, 3년만에 23cm에 달하며 4년만에 25cm급이 된다. 암컷의 경우 15cm크기가 새끼를 밴 것으로 보아., 성장이 좋은 망상어는 1년만에 어미가 된다고 추정된다.

●식성
어미 몸 밖으로 나온 망상어 새끼들은 수십 마리씩 뗴를 지어 해조류가 많은 내만이나 연안 암초지대에 머물면서 요각류 등 소형 플랑크톤을 먹고 자란다. 망상어의 식도는 상당히 길며 위(胃)는 없다. 성어가 된 망상어는 위 내용물로 추정해 보면 물 밑바닥이나 해조류에 붙어 사는 소형 동물이 주식이다. 즉 요각류?등각류 등의 플랑크톤, 지렁이류, 새우, 곤쟁이류, 패류 등을 먹고 살며 일부 해조류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낚시 갯바위에서 행하여 지는 낚시 대상어들 대부분이 밑밥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그 밑밥의 질이나 투여 방법에 따라 조과가 크게 달라지는데, 이중 망상어 낚시는 특히 ‘밑밥 낚시’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밑밥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수심이 얕은 곳, 물이 맑은 곳일수록 밑밥 투여 없이는 조과를 기대하기 힘든 고기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망상어는 중층에 떠서 노는 고기중에서 갯바위 가장자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하는 고기 중의 하나로, 일단 물때?채비?미끼?날씨 등의 조건만 잘 맞으면 마릿수가 보장되는 그야말로 ‘바다의 붕어낚시’란 별명이 어울리는 고기이다.

망상어는 입술이 도톰하여 입이 작지만 입을 앞으로 돌출시켜 먹이를 먹을 수 있고, 이빨은 송곳니이지만 그다지 날카롭지는 않은 편이다. 이같이 작은 입을 가진 망상어를 잡기 위하여는 크기가 다양한 망상어바늘(우미다라고 바리)이 시중에 나외 있고, 이 바늘은 붕어낚시 바늘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감성돔·돌돔 등 돔류를 남성에 비유한다면 망상어는 여성에 비유할 수 있을 정도로 연지를 바른 듯이 붉은 빛을 띤 조그맣고 두터운 입술이 특징적이며, 시력이 좋고 성질이 예민하여 가능한 한 작은 바늘, 가는 목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맥낚·찌낚 모두 가능하며 장소 여건에 따라 채비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망상어의 낚시 기법에 대해서는 지난 3월호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어, 여기서는 망상어보다 낚시에는 잘 낚이지 않는 인상어를 그들의 습성을 관찰하여 엄청난 수를 낚았던 필자의 경험을 소개코자 한다. 인상어는 망상어와 섞여 있기도 하지만 망상어보다는 더 얕은 곳에 많고 포구나 항만 내에도 많이 몰려 있다. 그리하여 망사어보다 사람 눈에 많이 띄며 겁이 많아 부산 지방에서는 ‘겁쟁이’로도 불리우는데, 낚시에는 물지 않는 고기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다. 수년 전 필자가 통영군 산양면에 파견 근무할 당시, 작업장 주위에는 푸른 바닷물속에 수백 마리의 인상어(간간히 망상어도 섞여 있었음)들이 떼지어 놀고 있었다. 이들은 물이 흐르는 방향을 거슬러 서 있으면서, 흘러 지나가는 플랑크톤들을 잡아먹기 위해 부지런히 입놀림을 하곤 했지만 낚싯줄에 미끼를 달아 넣으면 본 체 만 체였다. 그러나 담치 등 부착 생물을 으깨어 던져 넣으면 부서진 살점을 곧잘 받아먹곤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우선 낚싯줄은 1호줄 또는 0.8호 줄로 쓰고 망상어바늘 4호를 맨 후, 봉돌은 가능한 한 적은 것(가능하면 없이 하는 것이 좋았음)을 쓰기로 하고, 밑밥으로 담치 고둥 등을 찧어서 사용하여 보았다. 낚시를 드리우고 동시에 밑밥을 조금씩 던져 주면서 밑밥과 낚시의 미끼가 섞여서 가라앉도록 정확성을 기하였고, 미끼는 홍갯지렁이나 담치살을 잘라 사용하였는데, 낚시바늘을 완전히 감추는데 주의를 기울였다. 그 결가 필자의 현지 파견 근무가 끝나는 날까지 지방 주민들마저 낚시에는 낚이지 않는 것으로 믿고 있던 인상어를 항상 필요한 만큼 낚아서 실험 대상어로, 또는 횟감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이런 일이 있은 후부터 필자는 낚시를 생각함에 있어 좀 더 고기 자신의 입장에서의 모든 것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실제로 몇몇 어종에 있어서는 그 효과를 톡톡히 본 적이 있다.

끝으로 망상어는 새끼를 낳는 태생어로서 어미와 새끼의 영양 관계를 가지는 특수한 생식 방법을 가지고 있는 어종이고, 또 낚시인들에게는 저수지나 수로의 붕어처럼 고운 눈매로 항상 즐거움을 주는 예쁜 고기이므로 산란기에는 낚시를 삼가 그들의 어렵고도 독특한 종족 번식을 도와 주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표1>망상어와 인상어의 비교
망상어 구분 인상어
Ditrema temmincki 학명 neoditrema ransonneti
seaclub, surf perch 영명 ransonnet's surf perch
ウミタナゴ 일본명 オキタナゴ
망싱이, 망사, 망치 방언 망싱어, 겁쟁이
30cm전후 크기 15~17
체형이 계란형, 측편 형태 망상어보다 체고가 낮고 가늘다
등은 암청색 또는 적갈색, 배는 은색 색깔 등은 암적자색, 배는 은색
아래, 윗턱에 1열 이빨 암컷은 없고, 수컷은 위턱에 1열
75~76개 옆줄비늘 70~72
5~6월
태생
산란기
번식방법
5~7월
태생
연안 암초, 해초지대 서식장소 망상어보다 더 내 만쪽, 얕은 곳까지 분포
동물성(지렁이·새우 등) 식성 동물성(망상어보다 소형 플랑크톤을 더 즐겨먹음)
잘됨 낚시 잘되지 않음
등지느러미(D) Ⅸ~? - 19~22
뒷지느러미(A) Ⅲ - 25~28
지느러미 D. Ⅵ~Ⅶ - 20~22
A. Ⅲ - 26~27


<표2>어류의 번식 형태

(卵)
+
정자
(精子)
체내
수정
  태생(胎生)   망상어·별상어·노랑가오리
난태생
(卵胎生)
알로서 산출(産出)   괭이상어·홍어
새끼로 산출(産出)   볼락·쏨뱅이류
체외
수정
(卵
生)
침성란
(沈性卵)
비점착란(非粘著卵)   연어·송어
점착란
(粘著卵)
분리난   잉어·붕어·대구·은어·학공치
밀집난   베도라치·쥐노래미·노래미
부성란
(浮城卵)
유구(油球)가 있는 난   참돔·넙치·복어·정어리
유구(油球)가 없는 난   멸치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멸치   (0) 2008.07.27
매퉁이   (0) 2008.07.27
만새기  (0) 2008.07.27
동갈치   (0) 2008.07.27
돌 고래  (0) 2008.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