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준명 : 매퉁이 ●학명 : Saurida undosguamis ●영명 : large-scaled grinner ●일본명 : 마에소(マエソ) 물고기의 입 모양은 뾰족한 것, 뭉툭한 것, 길고 짧은 것 등 그 형태는 다양하다. 각각의 입 모양은 물고기의 식성을 잘 나타내고 있기도 하다. 매퉁이는 우리나라 연안에 살고 있는 물고기 중에서 입이 비교적 큰 편에 속하는 종으로써 입이 눈 뒤쪽까지 크게 찢어져 있는 모양이 마치 뱀처럼 생겼다. ●이름 매퉁이는 지방에 따라서 매투미·매테비·매리·마테비 등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운다. 학명은 Saurida undosguamis 이다. 속명인 Saurida는 그리스어로 '도마뱀(sauros)'에 닮았다는 뜻의 라틴어 접미사 idus가 붙은 것이다. 매퉁이의 외형이 도마뱀과 유사함을 나타낸다. 일본명은 '마에소(マエソ)'이며 일부 지방에선 뱀이 바다로 들어가서 변한 물고기라는 전설이 전해진다. 한편 남태평양의 일부 도시국가에서는 도마뱀이 바다로 들어가서 매퉁이로 변했다는 전설이 있다. 영명으로는 large-scaled grinner, large scale lizard fish, spotted-tailed grinner 등의 이름을 갖고 있다. 아무튼 매퉁이류는 그 생김새(특히 머리)가 뱀이나 도마뱀을 닮았다하여 학명이나 외국이름에서는 그러한 뜻을 담고 있다. ●특징 매퉁이는 긴 원통형의 체형을 갖고 있으며 꼬리자루는 약간 종편되어 있다. 등쪽은 황갈색·회갈색, 배쪽은 흰빛을 띤다. 눈은 작으나 입은 매우 큰 편이며 주둥이는 둥근 형태이다. 등지느러미 앞쪽 연조줄기는 뒤쪽 것보다 아주 길며 꼬리지느러미 위쪽 가장자리에는 4∼7개의 검은 점(지역 개체군에 따라 없는 것도 있다.)을 갖고 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사이에 기름지느러미가 있다. 측선위에는 9∼10개의 갈색점이 한 줄로 줄지어 있으며 측선 비늘 수는 49∼52장이다. 크기는 40∼45cm이다. ●분류·분포 매퉁이는 샛비늘치목(目, Myctophida), 샛비늘치아목(亞目, Myctophina), 매퉁이과(科, Synodontidae)에 속하며 우리나라 연안에는 3속 5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퉁이는 우리 나라 서남해·동중국해에 대량으로 서식하고 있는 종으로써 인천에서부터 부산·경남 연안에까지 분포하고, 일본 혼슈우 중부이남·대만·중국·동중국해·필리핀·호주·홍해·아프리카 연해에 널리 분포한다. 우리 나라 연안에서 서식하는 매퉁이류 중에서 어시장이나 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매퉁이·날매퉁이·꽃동멸이며, 이들 종의 특징은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매퉁이와 날매퉁이는 외형이 유사하며 특히 머리의 형태는 매우 닮아 있어 얼핏보면 두 종의 구별이 쉽지 않다. 그러나 이 두 종은 가슴지느러미의 길이가 달라서 자세히 보면 구분할 수 있다(<그림1> 참고). 매퉁이의 가슴지느러미는 날매퉁이에 비하면 비교적 큰 편이어서 지느러미 뒤끝이 배지느러미 기저 부분에 이르는데 비하여, 날매퉁이의 가슴지느러미는 작아서 배지느러미 기저까지 이르지 않는다(<그림 1>). 내부 골격에도 차이가 있어 매퉁이의 척추골수는 47∼50개인데 비해서 날매퉁이의 척추골수는 57∼62개이다. 한편 꽃동멸(Syndous variegatus)은 영어명이 red-ligard fish(붉은 도마뱀고기라는 뜻), 일본명이 아까에소(アカ-エソ, 붉은 매퉁이라는 뜻)로써 이름에서 느낄 수 있듯이 몸에 적갈색의 불규칙한 무늬를 갖고 있는 암갈색이다. 겉모양은 화려하고 아름답다. 체형은 몸이 약간 측편된 원통형이고, 머리는 약간 종편 되어 있다. 양턱에는 불규칙한 두 줄의 이빨이 있으며 입천정에도 한 줄의 이빨이 있다. 크기는 20∼25cm급으로 매퉁이나 날매틍이에 비하여 소형이다. 척추골수는 60∼65개로 많은 편이다. ●생태 매퉁이과에 속하는 어종들은 대개 심해성 어종이라서 수심이 수십m에서 깊게는 200m 이하의 사니질에 살고 있으며, 가을·겨울 사이에 많이 어획되고 있다. 이중 매퉁이는 비교적 연안 가까이에 많이 서식하는데, 수심이 30∼40m이고 모래와 개흙이 깔린 바닥에서 살아간다. 매퉁이의 머리를 보면 입이 크고 눈이 머리 꼭대기에 위치하는데 이러한 형태는 이 종이 낮에는 몸을 바닥 모래 진흙 속에 파묻고 눈만 내어놓고 지내는 생태적 습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주도 남부연안의 매퉁이는 11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제주도 남부해역에 머물다가 6∼8월 사이에는 남해안(남해, 거제도 남방해역)으로 이동한다. 다시 가을이 깊어질 때면 남쪽으로 이동해 간다. 제주도 서부 해역에 살고 있는 매퉁이들은 여름철이면 중국 산동반도 부근까지 북상했다가 9∼10월경이면 다시 남하하여 돌아온다. 매퉁이는 생후 만 1년이 지나면 전장이 15∼17cm급으로 성장하며 만 2년이 지나 24∼25cm 크기가 되면 대부분 어미가 되어 산란한다. 산란기는 여름철인데, 해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대개 생후 1년까지는 내만 가까이에서 살다가 성어가 되면 바깥 먼 바다로 이동해서 월동하며, 이듬해 4∼9월 사이에 내만이나 연안으로 돌아와서 산란한다. 암수비율은 어릴 때에는 수컷이 암컷보다 많다가 20∼25cm급에서는 암수컷 비가 거의 같아지고, 30cm이상 크기에서는 암컷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어미 한 마리가 갖는 알 수는 4만∼70만개이다. 매퉁이의 알은 지름이 0.9∼1.24mm의 구형으로 난막에 거북 등껍질과 유사한 무늬가 있으며, 알속에 유구는 없다. 매퉁이나 날매퉁이 자치어의 특징은 복강에 둥근 흑색점을 몇 개씩 갖고 있다는 점이다(<그림 2>). 이 점들 때문에 다른 어종과 구분이 가능하다. 부화 직후 자어에서는 그 수가 적으나(날매퉁이 3∼4개) 성장함에 따라서 6∼7개로 증가한다. 얼핏보면 이들 종의 자치어는 투명하고 머리가 둥근 형태를 띤 것이 멸치류의 자치어와 닮았다. 그러나 복강 내의 독특한 흑색점으로 다른 멸치류와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꽃동멸은 그 흑색점 수가 10개 전후로 위의 두 종에 비하여 많은 편이다. 또 매퉁이의 자치어를 비교하면 날매퉁이 자어의 흑색점이 매퉁이의 흑색점에 비하여 작은 편이다. ●식성·성장 매퉁이는 입이 큰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왕성한 식욕을 갖고 있는 종이며, 일년중 산란기인 6∼9월이 가장 높은 먹이 섭취율을 나타낸다. 이 종은 붕장어 등 바닥 부근에서 사는 작은 물고기를 비롯하여 새우·게 등 갑각류를 포식하고 때로는 같은 종끼리도 서로 잡아먹는다. 암컷과 수컷의 성장을 비교하면 암컷이 수컷보다 빠른 경향이 있다. 매퉁이의 경우 생후 만 1년이 지나면 암컷은 20cm, 수컷은 18cm 정도로 성장하며 2년이 지나면 암컷이 25cm, 수컷이 23cm 정도로 성장한다. 3년 후에는 수컷이 29cm, 암컷이 31cm 정도로 자란다. ●낚시 매퉁이류는 심해어의 일종으로서 일반인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이 종은 어시장에서 가끔 볼 수 있지만 맛이 그리 뛰어난 종도 아니고 살에서는 종 특유의 냄새를 갖고 있어 인기도 높지 않다. 단지 뱀이나 도마뱀을 연상시키는 머리나 원통형 몸의 생김새가 독특하여 인상에 오랜 동안 남는 종이다. 일본에서는 험하게 생긴 얼굴 때문에 여자들과 병에 걸린 환자들은 매퉁이를 먹지 않는다고 전해 내려온다. 최근 우리 나라에서도 심해어를 대상으로 한 심해 외줄낚시 출조가 늘어나고 있어 매퉁이처럼 비교적 깊은 수심에서 살아가는 어종을 만날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표>매퉁이 날매퉁이 및 꽃동멸의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