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염에 좋은 민간요법
▶일반적으로 식도염 처럼, 위장병 증세와 토혈(토하는...) 증상이 보이는 증세에 대한 좋은 차, 음식, 민간요법들이 많이 있습니다.
▶민들레차, 연뿌리의 마디가 식도염에 특히 좋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체질 처방도 한번 받아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참고로 위장관련병의 민간요법을 한번 참조해보세요.
<민간요법> ① 무우는 소화효소가 다량 포함되어 있는데, 즙을 내어 마신다. 특히, 만성 설사나 변비가 있는 경우 좋다. ② 삽주뿌리를 가루내어 엿에 반죽해서 환을 지어 먹는다. ③ 소화불량과 함께 변비가 있는 경우, 알로에를 잘게 썰어 설탕을 발라서 그대로 물과 함께 먹는다. 그러나, 임신이나 생리중인 경우, 치질이 있는 사람은 먹지 않는다. 알로에의 잎은 잎사리 톱니 모양의 들쭉날쭉한 부분을 �J어낸 후 잘게 썰어서 쓴다. ④ 위궤양이 있는 경우, 오징어뼈·고백반을 가루로 만들어 공복에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⑤ 할미꽃뿌리를 삶은 물에 엿기름과 쌀을 섞어서 식혜를 만들어 먹는다. ⑥ 말린 참외꼭지를 가루내어 물에 타서 먹는다. ⑦ 소나무숯을 갈아서 꿀에 반죽하여 환을 지어 먹는다.
1.민들레차 ●효능 및 특성 민들레를 약용으로 쓰인 역사는 오래이며 중국에서는 2,000년전부터 약용으로 써왔으나 약용보다는 야초(野草)로서 민들레를 애용하고 있다. 민들레는 생약명으로 "포공영(浦公英)"이라하며 약효는 주로 뿌리에 있다. 쇠약하여 기운이 없고 얼굴빛이 창백하고 몸이 찬 허증(虛 )체질보다 혈색좋고 체격이 있고 변비가 많은 실증(實)체질에 더 효과가 있다. 민들레는 청열해독작용이 있어 염증을 억제하고 화상, 여드름 등에 효과가 좋다. 한방에서는 위나 간장의 병은 장기에 강한열이 생겨서 일어난다고 보기 때문에 민들레에는 이 열을 없애는 작용이 있어 위염, 변비, 식도염, 갑상선 기능항진증, 결막염 등에 효과가 있다.
●재 료 민들레(浦公英)뿌리 5g, 물 600㎖
●만드는법 민들레뿌리에 물을 넣어 물이 ⅔가 될 때까지 끓인다. 하루 2∼3회 1컵씩 마신다 쓴맛이 좋지 않은 사람은 꿀이나 설탕을 넣어 마시면 좋다.
※참고사항 서양에서는 커피대용으로 "민들레커피"를 애용하고 있다
2.연뿌리차
토혈에는 연뿌리의 마디가 토혈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 위궤양, 식도염, 기타 일체의 토혈에 효과가 있다. 폐결핵으로 짐작되는 사람이 가끔 각혈하여 쇠약해졌는데 이를 실행한 결과 각혈은 즉시 멎었고 그 후에도 각혈을 되풀이하지 않게 되었다는 실례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