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민물] 참붕어

영지니 2008. 7. 27. 13:43
   참붕어   
 

참붕어


참몰개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소]

●학명:Pseudorasboro Parva
●영명 : false dace
●일본명 : 모쯔고(モヅコ)
●방언 : 피라미·뾰죽피리·피리·깨고기·보리붕어

우리나라 담수계에 살고 있는 물고기는 약 150여 종. 그 중에서 손가락 만한 크기의 물고기로는 피라미·갈견이·중고기·몰개·버들치 등이 있다. 이처럼 손가락 크기의 물고기를 지칭하는 말이 바로 ‘피라미, 피리’따위다. 즉 민물에 사는 작은 잉어과 어류들은 피라미라 통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주목을 끌고 있는 게 바로 참붕어다.

참붕어가 낚시계에 관심을 끌게된 직접적인 계기는 최근 <낚시춘추>에서 대물붕어를 낚기 위한 미끼로 참붕어를 집중적으로 소개하면서부터다.

이에 따라 참붕어가 주목을 끌면서 간혹 많은 혼동이 초래되고 있다. 즉 낚시꾼들 사이에서는 참붕어란 재래종 붕어(토종붕어)를 말한다. 떡붕어가 급격히 번식하면서 나온 말이다. 즉 떡붕어가 아닌 ‘재래종참붕어’라는 의미다. 그러나 참붕어는 분명 학명상 붕어가 아닌 별도의 물고기다.

●이름

참붕어는 지방에 따라서 뾰족피리, 버들매치, 동구리, 피리, 깨고기, 꽃붕어, 보리붕어, 돌고기 등으로 불린다. 대개의 소형 잉어과 어류들이 그러하듯 피라미·피리라는 방언을 갖고 있다.

특히 피라미가 약간 측편된 체형을 갖고 있는데 비하여 참붕어는 몸이 둥글고 주둥이가 뾰족하다. 뾰족피리란 이름도 그래서 붙었다. 비늘 가장자리에 까만색을 띤 초승달형 점이 하나씩 있어 마치 검정깨를 뿌려 놓은 듯하다 하여 ‘깨고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앞서 얘기했듯이 참붕어는 붕어와 이름이 유사하지만 이름만 비슷할 뿐 사실은 전혀 다른 종이다.

학명은 Pseudorasboro Parva이며 영어권에서는 false dace란 이름으로 불리우는데 속명인 Pseudorasboro는 Pseudo(가짜)+rasbora(작은 잉어과 어류의 일종)란 뜻이다. 종명인 parva는 ‘작다’는 뜻으로 이 종이 잉어과 어류 중에서 몸집이 작은 종임을 상징하고 있다. 일본명은 모쯔고(モヅコ)이고 ‘모쯔(기름이 많은)’와 ‘고(물고기)’의 뜻을 갖고 있다.

●특징

참붕어는 몸집이 작은 소형 담수어로 체형이 날씬하고 비늘 가장자리마다에 검은색 초승달 모양의 무늬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측선은 완전하며 체측 중앙을 따라 아가미 뒤에서 꼬리까지 몸통 중앙을 지나는 짙은 흑갈색 세로 띠를 갖고 있으나 이 띠는 서식지나 생활 환경, 개체에 따라서 차이가 있고 특히 어린 개체일수록 뚜렷하다.

주둥이가 뾰족한 편으로 입이 매우 작고 주둥이 끝에 위치하면서 위쪽을 향해 열려 있어 마치 뾰루퉁한 표정을 짓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입가에는 수염이 없는 것이 특징 중의 하나이다.

산란기의 수컷은 검은 세로줄이 없어지고 전체적으로 검은 빛이 강해지며 각 비늘의 자리의 초승달 모양의 무늬는 더욱 검은 흑자색을 띠게 된다. 이때 입 주변에는 작고 단단한 돌기 모양의 추성(追星)이 나타난다.

등지느러미에는 3개의 가시와 7∼8개의 줄기, 뒷지느러미에는 3개의 가시와 6∼7개의 줄기가 따로 있다. 때로는 이상인 개체도 만날 수 있지만 대개의 크기는 6∼9cm 정도로 작다.

●분포·분류

참붕어는 잉어과(科), 모래무지아과(亞科), 참붕어속(屬)에 속하며 우리나라에는 참붕어속에 1종만 서식하고 있다. 일본에는 3종(2종 1아종)이 알려져 있다.

체형이나 크기로 보아 참붕어와 유사한 종으로는 중고기와 몰개류가 있다. 중고기는 주둥이 끝이 뭉툭한 편이다. 몰개류는 등쪽이 암갈색, 배쪽이 은백색을 띤 소형종이다. 크기가 8∼10cm로 작고 체형이나 지느러미의 위치가 참붕어와 유사하다. 참붕어는 수염이 없고 눈이 비교적 작은데 비하여 참몰개·점몰개·긴몰개·몰개 등 몰개류는 모두 참에 비하여 눈이 큰 편이다. 눈동자 길이보다 긴 수염을 갖고 있어 참붕어와 구분된다(그림1, 표).

이처럼 참붕어는 수염이 없으며, 위로 향한 입과 각각의 비늘 뒷가장자리에 흑색의 초승달 모양의 무늬를 갖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참붕어는 우리나라 내륙 전역은 물론 제주도에도 서식하고 있다. 일본과 중국, 대만에도 서식하고 있다.

●생태

참붕어는 호수나 늪, 그리고 곳에 연결된 작은 개울·도랑 등 강 하류에 살고 있다. 주로 바닥이 뻘인 곳에 사는데 물이 흐르지 않고 멈추어 있는 곳이나 물 흐름이 아주 느린 곳을 좋아한다. 오염되거나 더러운 물에도 잘 견디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란기는 4∼7월 중순이며 돌이나 조개껍데기 또는 갈대 줄기 등에 알을 낳는다. 실내 수조에서도 이 종의 산란 행동은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머리와 등쪽에 작고 까칠까칠한 돌기, 즉 추성(追星)이 나타나며 지느러미를 포함한 몸 전체가 검은 빛을 띠게 되고 체측의 검은 띠는 점차 옅어진다.

수컷은 산란할 곳을 찾아서 5∼8cm×10∼15cm의 타원형 구역을 며칠에 걸쳐서 자신의 입으로 이끼나 먼지를 제거하여 깨끗이 청소한다. 산란상을 짓고 나면 다른 물고기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지키며 자리를 떠나지 않는다.

암컷은 수컷이 만들어 놓은 산란상을 찾아와 수컷과 함께 짝을 이루어 춤을 추는 듯한 산란 행동을 한 뒤 알을 낳는다. 알을 낳을 때는 수컷이 암컷의 알을 부칠 돌에 밀어붙이는 듯한 행동을 하면서 이때 암컷은 하나씩 알을 낳아 돌에 붙여 나간다. 수정란은 옅은 노랑색으로 점착성이어서 돌에 쉽게 붙게 된다. 산란은 대개 아침 일찍 이루어진다. 또한 구름이 낀 날이나 비가 오는 날에 집중적으로 산란을 하게 된다.

한쌍의 암수가 만나 알 낳고 나면 암컷은 떠나고 수컷은 남아서 수정란을 지키는데 수컷은 이 사이에 또다른 암컷을 유도하여 알을 낳게 한다. 암컷 역시 한 산란기에 여러 번 산란 하는데 2∼8회(많게는 10회) 정도로 나누어 산란하기도 한다. 하나의 산란상에 붙여진 알 수는 약 1,500여 개다. 수정란은 수온 15∼22℃ 범위에서 약 12일만에 부화한다. 부화한 참붕어 새끼는 배가 난황을 갖고 있으며(그림2) 난황을 흡수하고 나면 윤충, 물벼룩 등 작은 플랑크톤을 먹으며 성장한다(그림2).

참붕어는 부화 후 약 1년이 지나면 성숙하여 어미가 된다. 경기도 지방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붕어와 거의 비슷한 4월에 산란하여 가끔 검은 빛을 띤 수컷과 암놈이 머리를 서로의 꼬리쪽으로 향하여 빙글빙글 돌며 춤을 추는 듯한 행동을 볼 수 있는데 사람이 위에서 보고 있어도 아랑곳하지 않고 수면 가까이까지 빙빙 돌면서 올라왔다가 내려가곤 한다.

●성장·식성

참붕어는 잡식성(雜食性)으로 부유성, 부착성, 저서성 동·식물을 먹는다. 수온이 올라가면 먹이에 대한 욕심이 대단해지며 주로 주간에만 먹이를 찾고 밤에는 휴식을 취하는 주행성이라 볼 수 있다. 이 종은 원래 소형종이기 때문에 잉어과 어류에 비하면 성장이 매우 느린 편이다. 부화 후 한 달이 지나면 20∼26mm, 4∼5개월에 30∼40mm, 그해 가을이면 4cm 전후로 자란다. 생후 일년이면 4∼6cm로 성장하며 대개 10cm 미만의 크기지만 환경이 매우 좋으면 3∼4년만에 10cm 이상으로도 자란다.

●낚시

낚시로 참붕어를 일부러 낚으려는 사람은 없겠지만 늪이나 수로에서 붕어낚시를 하다보면 성가시게 달라드는 불청객을 만날 기회가 많다.

참붕어가 유명해진 이유는 간디스토마의 주요한 중간숙주라는 이유 때문이었다. 사실 필자가 참붕어를 알게 된 계기도 간디스토마의 중간숙주로서의 참붕어를 연구하시던 중학교 생물선생님을 통해서였다.

당시 낙동강 수계에서 잡힌 참붕어를 현미경 아래에서 관찰해 보면 작은 손가락 만한 크기의 물고기 몸속에 얼마나 많은 수의 간디스토마 새끼(세르카리아)가 들어 있는지 놀라울 정도였다.

최근 이 참붕어는 낚시 대상어로서가 아니고 붕어낚시의 특효 미끼로 알려져 일부 지방에선 ‘A약’, ‘붕어킬러’ 등의 엄청난 별명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붕어가 자신이 살고 있는 못이나 저수지에 살고 있는 참붕어·납자루 등 작은 물고기들을 잡아먹기도 한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으로서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른 물고기들을 헤치지 않는 얌전한(?) 붕어의 식성에 대한 새로운 측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참붕어는 낚시터에서 낮시간을 이용, 새우망 등을 담가 쉽게 채집할 수 있다. 비교적 겁이 없는 편이어서 자신보다 훨씬 덩치가 큰 붕어를 물고 이리저리 내빼기도 한다.

아무튼 낚시터의 악동 참붕어가 최근 붕어낚시의 특효로 각광 받기 시작한 것은 매우 아이러니컬하다. 그동안 많은 붕어 낚시꾼들에게 감잡기 힘든 찌놀림으로 짜증을 남겨 주었던 과거에 대한 보상이라도 하는 것인가?

<표>참붕어와 참몰개의 비교
국명 참붕어 참몰개
학명 Pseudorasboro parva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영명 false dace korean gudgeon
일본명 모쯔고(モヅコ) 코오라이모로고(コオライモロコ)
방언 피라미, 뾰죽피리, 피리, 깨고기, 보리붕어 날피리, 밀피리, 피라미, 보리피리, 왕눈이
크기 8cm 전후 8∼10cm
형태 · 몸은 길고 측편된형
· 입은 작고 위로 향해 열렸으며 입가에 수염이 없다.
· 옆줄은 완전하며 몸 중앙에 직선형
· 전체적으로 약간 누런빛을 가진 은빛을 띠며 어릴때는 암갈색 세로띠가 머리에서 꼬리까지 몸 중앙에 그어져 있으나 성장하면 희미해진다.
·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짙은 자갈색을 띤다.
· 비늘 바깥 가장자리에 초승달 모양의 흑갈색 반점이 있다.
· 몸은 참붕어와 유사하나 눈이 큰 편이고 참붕어에 비하여 머리가 굵게 보인다.
· 입가에 수염이 있으며 그 길이는 눈동자 지름보다 길다.
· 옆줄은 배쪽으로 약간 휘어져 있다.
· 전체적으로 은빛을 띠며 등쪽은 암갈색, 배쪽은 은백색이다.
· 몸은 중앙보다 약간 등쪽에 갈색 세로띠가 있다.
지느러미
줄기수
등지느러미(D).Ⅲ, 7∼8
뒷지느러미(A).Ⅲ, 5∼6
D.Ⅲ, 7
A.Ⅲ, 6
분포 우리나라 전 담수 수계
북한, 중국, 일본
한강 이남 수계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물] 은어   (0) 2008.07.27
[민물] 잉어   (0) 2008.07.27
[민물] 참마자   (0) 2008.07.27
[민물] 초어류(초어·백연·흑연)   (0) 2008.07.27
[민물] 틸라피아(역돔)   (0)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