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바다] 참돔

영지니 2008. 7. 27. 20:09
   참돔   
 

참돔


붉돔

 
■ 명정구[한국해양연구소]

●표준명 : 참돔
●學名 : Pagrus major
●英名 : Red seabream, Porgy
●日名 : 마다이(マダイ)
●中國名 : 해즉어, 내즉어
●방언 : 도미·참도미·돔, 새끼를 일컬어 상사리(완도)·베들래기(제주도)

※유사 어종
1)붉돔
●學名 : Evynnis japonica
●英名 : Red porgy
●日名 : 치다이(チダイ)
●방언 : 붉도미, 상사리
●특징 : 참돔보다 더 붉은 체색에 개체가 작고 등지느러미 3~4번째 가시가 매우 길다.

2)황돔
●學名 : Taius tumifrons
●日名 : 키다이, 렌코다이(キダイ, レソコダイ)

모든 동물은 어릴 때 더욱 예쁘다. 강아지가 그러하고 돼지 새끼도 어릴 때에는 예쁘다. 물고기들도 어릴 때일수록 체색이 화려하고 무늬가 또렷한데, 어릴 때 예쁜 모습을 가지는 돌돔·능성어 등은 성장함에 따라 그 모습이 크게 변하여 대형급 어류가 갖는 이미지에 어울리게 우직한 모습으로 변한다. 이러한 가운데, 몸 길이가 1m가 넘게 자라면서도 그 체형이나 선홍빛 바탕에 푸른 광채의 점이 있는 체색이 변하지 않고 아름다움을 그대로 지녀 '바다의 여왕' '바다의 왕자'라는 칭호를 받으며, 그 맛이나 모습에서 '썩어도 돔'이란 불변의 별명을 가진 고기가 있다. 이 여름 갯바위 대물낚시에서 기록 갱신의 열기를 더해가고 있는 참돔이 그것이다.

●이름
참돔은 그 아름다운 색채와 잘 짜여진 몸매로 인해 옛 선조들로부터 '참(眞)' 자를 얻어 참돔·참도미·진도미어(眞道味魚)로 불리웠으며, 강항어(强項魚-자산어보), 독미어(禿尾魚-전어지), 도음어(都音魚-경상도지리지)로 기록되어 왔다. 또 도미(道尾, 道味)·돔·돗도미(강원), 상사리(어린 돔-전남)·배들래기(어린 돔-제주도), 고다이(어린 돔-경남), 아까다이(붉은 돔이란 뜻의 일본어, 경남) 등 지방과 성장 단계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이름을 갖고 있다.

참돔의 학명(學名)은 Pagrus major, 영명(英名)은 Red seabream, Porgy를 갖고 있으며, 일본명으로는 마다이(マダイ)이고, 중국·러시아에서는 참돔의 체형이 붕어와 닮았다 하여 '바다의 붕어'란 뜻의 해즉어, 내즉어, 가즉어, 입어(立魚) 등으로 불리우고 있다. 아무튼 참돔은 도미류 중에서 이름 그대로 진짜 도미이며, 낚시 대상어 중에서도 최고의 인기 어종으로서 뿐만 아니라, 옛부터 조상을 모시는 제삿상에 빠져서는 안 되는 귀한 고기로 취급되고 있다.

●특징
참돔은 그 형태가 감성돔과 비슷한 전형적인 측편형 도미류의 형태를 가지며, 몸빛은 선홍색이고 등쪽에 금속성 광채가 나는 청록색(코발트색) 반점들을 지니고 있다. 살아 있을 때는 배·뒷·꼬리지느러미 쪽에 청색빛을 띠어 체측의 청록색 점과 함께 환상적인 색채를 발한다. 또한 어릴 때에는 선홍색 바탕에 5줄의 짙은 붉은색의 띠를 갖고 있으나 성장함에 따라 없어지며, 나이를 먹으면 검은빛이 짙어진다.

참돔은 감성돔처럼 성전환 현상이 없고 치어 때부터 암수 구별이 된다. 암수의 구별은 형태적으로 보아서는 거의 파악이 힘들지만 산란기가 되면 암컷보다 수컷이 더 검은 빛을 많이 띠는 정도로 구분이 가능해진다. 양턱에는 두 줄의 어금니가 잘 발달하며 안쪽의 이빨이 더 크다. 송곳니는 위턱의 앞쪽에 2개, 아래턱 앞쪽으로 3개가 발달한다(그림2 참조). 등지느러미에는 강한 가시(棘)가 12개, 줄기가 10개, 뒷지느러미에는 강한 가시가 3개, 줄기가 8개 있다. 측선 비늘 수는 53~63개, 뺨에 6~8줄의 비늘이 있다.

●분포·분류
농어목, 도미과, 참돔속에 속하는 참돔은 우리 나라 도미과(Sparidae)에는 8종이 보고 되어 있다(정, 1977). 도미과에는 감성돔속, 참돔속, 붉돔속을 비롯한 6개의 속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분포는 아래 <표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참돔은 우리 나라 전 연안과 일본·중국·대만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 나라 남해와 제주도 근해에 많은 양이 서식하고 있다. 서식 적수온은 15~28℃이며, 겨울철에는 10℃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남해안의 깊은 곳이나 제주도 근해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조류의 유통이 좋고 바닥에 암초나 자갈이 많은 곳을 좋아하며 수심이 30~150m인 곳에 서식한다.

참돔은 그러나 체형이 서로 비슷한 붉돔과 매우 유사하여 구별이 어려운 점이 있다. 이들 두 종은 체형과 체색이 매우 비슷하지만 아래 <그림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지느러미 가시의 길이와 꼬리지느러미 바깥 가장자리의 흑색 유무로 구별 가능하다. 또한 참돔은 꼬리지느러미 바깥 가장자리가 검지만 붉돔은 검지 않으며, 붉돔의 등지느러미의 3,4번째 가시는 길게 연장되어 있지만, 참돔은 그다지 연장되어 있지 않은 점이 외관상 가장 큰 구별점이다. 그리고 체색은 참돔보다 붉돔이 더 붉은 색이 선명하며, 크기에 있어서는 붉돔이 약 40cm, 참돔은 1m를 넘는 대형종이다.

이러한 참돔의 크기와 붉돔의 아름다운 선홍빛 체색의 특징을 살리기 위하여 일본에서는 교잡에 의한 신품종 개발 연구가 되어지고 있다.

●생태
참돔은 산란기를 제외하고는 수심이 30~150m 인 외양 암초지대에 즐겨 산다. 산란을 하는 참돔의 크기와 나이는 수온·염분과 같은 환경 조건이나 개체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암컷은 체장 33cm, 수컷은 22cm 크기부터 산란을 할 수 있다. 나이로는 만 2년생부터이며, 3년생이면 약 50%가 어미로 자라고 4년생이 되면 100% 어미가 된다. 수온 17~21℃ 범위에서 산란을 하는데, 산란장은 바닥이 모래·자갈 또는 암석이 섞인 곳이며, 생식소가 발달한 어미들이 집단적으로 출현하는 곳이나 알, 새끼들의 분포 상태로 미루어 볼 때 우리 나라 남해안의 경우는 4~7월에 진해만·한산도·거제도 부근 연안으로 추정된다.

한 마리가 갖는 알의 수는 나이와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체장 40cm(5년생) 암컷이 13만여 개, 체장 50cm(7년생)가 90만여 개, 체장 70cm(13년생)가 260만여 개의 알을 가진다(해양연구소, 1987). 알은 둥글고 투명하며 흩어져 바다의 표층에 떠 다니는데, 지름이 0.8~1.2mm이다. 알 속에는 지름이 0.18mm~0.28mm이며, 눈·입이 발달하지 못한 채 수면에 배를 위로하여 매달려 떠 있다. 부화 후 4일이 지나서야 입이 열려 턱이 발달하고 바른 자세로 헤엄을 치며, 또한 먹이(작은 플랑크톤)를 먹기 시작한다(부화 과정 사진 참조). 부화 후 7~8일만에 난황과 유구를 모두 흡수하며 부화 후 15~18일이 지나면 턱에 이빨이 발달하기 시작하는데, 부화한 지 한 달이 지나면 각각의 지느러미가 발달하며 몸에 색소포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두 달이 지난 3~4cm 크기의 참돔은 그 형태가 드디어 어미를 닮은 치어(稚魚)로 성장한다.

●성장
이같은 참돔의 성장 과정을 크기별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①전기 자어기 : 체장이 2.2 ~ 2.5mm 크기로 알에서 부화하여 난황(어미로부터 받은 영양 물질)을 흡수할 때까지.
②후기 자어기 : 체장 5~20mm 범위로 난황 흡수 후 각 지느러미의 가시와 줄기가 나타날 때까지.
③치어기 : 체장 20~40mm 범위. 형태적으로 참돔의 특징을 갖추게 되지만 아직 변태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단계.
④유어기 : 체장이 4~12cm인 개체로 성장이 왕성하고 생김새는 참돔의 형태와 비슷하나 체색이나 그외 형질은 아직 불완전한 상태.
⑤미성어기 : 체장 15~25cm. 형태적으로나 크기로 보아 참돔 성어에 가까우나 성(性)적으로 충분한 성숙이 되지 않은 크기.
⑥성어기 : 25cm 이상 크기(개체나 수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음). 성숙하여 매년 산란에 참여하는 크기의 참돔으로, 몸의 크기나 형태 모두 충분히 발달되어 있다.

참돔은 태어난 지 1년이 지나면 손바닥 크기로 자라며, 자연에서는 4,5년만에 35~45cm, 체중 1kg 전후로 성장하고 10년이 지나면 60cm 전후의 체중 4~5kg으로 성장한다. 수명은 대개 20~30년이나 그 중에서는 50여 년까지 사는 것도 있어 어류 중에는 장수하는 종 중의 하나이다.

●식성
참돔은 부화 후 약 2주일 동안은 단세포 동물이나 소형 요각류(플랑크톤)를 먹으며, 부유 생활을 마치고 저서생활을 시작한 뒤에는 요각류·단각류 외에 새우류·게류를 먹기 시작하고, 체장이 3cm 이상으로 자라면 갯지렁이류, 새우, 게류, 성게 등을 먹는다. 치어기에는 대형 플랑크톤인 요각류를 주로 먹다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 대상 생물의 크기가 점차 커져 대형 플랑크톤 외에 갯지렁이·성게·어류 등을 포식하게 된다.

이러한 먹이를 취하는 활동은 수온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데, 참돔은 수온이 18℃ 이상인 수역에서 먹이를 활발히 먹다가 수온이 그 이하로 하강하면 점차 먹이를 취하는 양이 줄어들어 수온 12℃가 되면 거의 먹지를 않는다. 이때에는 수온이 비교적 높은 따뜻한 바다를 찾아 떠나게 되는데, 이렇게 늦가을에 연안을 떠난 참돔은 겨울철을 제주도 부근 또는 수온이 10℃ 이상 유지되는 따뜻한 남쪽 도서 지방 부근 해역에서 지내고 이듬해 봄이면 서서히 북상하게 된다.

●낚시
참돔낚시는 한여름 원도 갯바위에서 장기간 대물을 노려보는 갯바위낚시 형태와 바닥에 암초·자갈·모래 등이 섞인 포인트를 찾아 낚싯배에서 하는 외줄낚시로 나눌 수 있다. 크기가 워낙 대형급이라 소형 내지 중치급을 노릴 때와, 70~80cm가 넘는 대형급을 노릴 때에는 장비와 미끼 등을 달리한다.

한여름에는 역시 밤낚시 위주라야 하며, 봄·가을에는 아침·저녁 시간대가 좋다. 물때는 초썰물, 초밀물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또한 한 여름이라도 석양이나 새벽을 노려보는 것이 더 효과적일 때가 많다. 미끼는 지방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새우·참갯지렁이·오징어·낙지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배 위에서 외줄낚시를 할 때에는 미끼에 따라서 바닥에 내린 위치나 모양을 달리 해 주는 것이 효과적인데, 새우인 경우는 바로 또는 거꾸로 꿰어서 바닥에 닿게 한 후에 약 3m 정도 띄워 고패질을 가끔 해 주는 것이 좋고, 통오징어 미끼인 경우는 머리가 위로 오도록 꿰어 오징어 다리가 물 밑바닥에서 1~2m 띄워지도록 수심을 조정하는 것이 좋다.

갯바위낚시는 야간에 멸치 밑밥 품질로 고기를 띄워 올려 찌낚시를 시도하기도 하지만 바닥 처넣기식 형태가 일반적이다. 이름난 참돔 낚시터로는 매년 남해 미조(쪽바위), 거문도, 추자도, 제주도 등지에서 대물 소식을 전한다.

참돔낚시는 감성돔·벵에돔이나 망상어낚시처럼 지나치게 섬세한 테크닉을 구사하는 것보다 '통'낙지, '통'오징어, 참갯지렁이 '통'마리를 끼워던져 놓고 나이 많고 능글맞은 참돔 아저씨의 도전을 기다리는 '통 큰 낚시'로서, 어쩌면 민물의 잉어낚시에 비교할 수 있을 것 같다.

참돔 채비는 처넣기식의 경우 3~5호 갯바위 릴대에 원줄 10~14호, 목줄 8~10호, 돌돔 바늘 18~21호의 버림봉돌 채비를 하고, 배낚시의 경우는 중형 장구통릴을 부착한 2.7~3.6m 길이의 릴대에 6~8호 원줄을 달고, 삼각도래 또는 대형 T도래에 5~6호 기둥줄을 연결하여 2~3개의 가지바늘을 달며, 맨 아래쪽에 봉돌을 달면 된다.

아무튼 돌돔·농어 등 여름철 대상어와 함께 물 맑은 섬에서 이루어지는 참돔낚시는 고기의 크기나 생김새만큼이나 매력이 있는 낚시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밤이 짧고 여름의 태양이 작열하는 낮이 긴 시즌의 낚시란 점을 염두에 두고 항상 건강을 우선 생각하는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다.

최근 해상에서의 참돔 양식 기술이 발달하여 자연에서 4~5년만에자라는 크기(1kg급)를 해상 가두리에서는 3년만에 자라게 하고, 그 생산량도 상당한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언젠가 향어낚시와 같이 바다에서 쉽게 참돔낚시를 즐기게 될 날이 오지 않을까 기대해 보자.


<표2>참돔과 붉돔의 차이점
참돔 구분 불돔
Pagrus major 학명 Evynnis japonica
Red seabream, Porgy 영명 Red porgy
마다이(マダイ) 일본명 치다이(チダイ)
도미, 아까다이, 상사리, 배들레기 방언 붉도미, 상사리
1m 크기 40cm
측편형, 선홍색 바탕에 코발트색 반점 산재. 꼬리지느러미 뒷 가장자리가 검다. 등지느러미의 3~4번째 가시가 붉돔 정도로 길지 않다. 형태
체색
참돔과 비슷하며 참돔보다 붉은 색이 더 밝고 아름답다. (일본 방언 : 하나다이=꽃돔) 꼬리지느러미 뒷 가장자리 검지 않고 붉다. 등지느러미의 3~4번째 가시가 길어 참돔과 구별 가능.
우리 나라 전 해역, 일본, 중국해, 대만, 하와이 등지 서식처 우리 나라 전 연해, 일본 동지나해, 대만, 필리핀 연해.
4~7월 산란기 9~11월
연안 얕은 곳까지도 나옴. 습성 참돔과 같이 얕은 곳으로는 잘 나오지 않음.
ⅩⅡ - 10 등지느러미 ⅩⅡ - 10
Ⅲ - 8 뒷지느러미 Ⅲ- 9
출처 : 일 묵 [一墨]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 쥐노래미   (0) 2008.07.27
[바다] 쥐치   (0) 2008.07.27
[바다] 참마자   (0) 2008.07.27
[바다] 청새치   (0) 2008.07.27
[바다] 파랑비늘돔   (0)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