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바다] 쥐치

영지니 2008. 7. 27. 20:12
   쥐치   
 

쥐치(수컷)


말쥐치 - 쥐치에 비해 체고가 낮고 개체가 큰 편이며 몸체가 흑회색으로 쉽게 구분이 되는데, 쥐포는 주로 이 말쥐치를 가공한 것이다.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소]

●표준명 : 쥐치
●학명 : Stephanlepis cirrhifer
●영명 : File fish Leatherjacket
●일명 : 가와하기(カワハギ)
●중명 : 草 , 皮魚
●방언 : 쥐고기·쥐치어·가치

낚시 대상어 가운데 포획하기 몹시 까다로운 놈이 있다면 아마 쥐치류와 복어류가 첫 번째로 손 꼽힐 것이다. 이 가운데 우리들에게 '쥐포'로 널리 알려진 말쥐치를 비롯한 쥐치, 그리고 딱지만한 그물코쥐치등의 쥐치류는 바다낚시에 있어 오랫동안 귀찮은 손님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최근들어 서는 그들의 뛰어난 '맛' 때문에 다소 호감을 사가는 중이다.

●이름
쥐치·말쥐치를 포함하는 무리는 그들의 독특한 입 모양과 이빨의 형태로 말미암아 대부분 지방에서 '쥐치기'로 통용되고 있다. 특히 판상으로 넓적하고 끝이 뾰족한 이빨은 마치 쥐의 이빨 을 연상시키기에 충분하다. 이 가운데 쥐치의 학명은 Stephan ocirrhifer이며, 속명인 Stephanolepis는 그리이스어의 관(冠, Stephanos)과 비늘(lepis)의 합성어로서, 가시로 변해 위엄을 갖춘 쥐치의 제1등지느러미를 상징하 는데, 영명인 filefish 또는 leatherjacket는 쥐치의 표피가 마치 줄이나 가죽처럼 꺼칠꺼칠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명의 草 또는 皮魚 역시 거칠고 질긴 껍질을 나타내며, 일본명은 가와하기 (カワハギ, 皮剝) 또는 마루하게(マルハゲ)로, 이는 껍질이 한번에 잘 벗겨진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이처럼 쥐치의 이름이 구미쪽에선 단순히 껍질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데 비해, 쥐치를 생선회 로 많이 먹는 일본의 이름은 요리할 때 껍질이 쉽게 벗겨진다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음은 무척 흥 미로운 일이다. 우리나라에선 쥐치류를 '쥐고기'란 이름으로 흔히 부르고 있는데, 실제 '쥐포'를 만드는 종류는 쥐치보다 검고 체형이 긴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로서, 이들은 쥐치에 비하여 맛이 떨어 지는 편인데, 통상 쥐치류는 우리나라 지방에 따라서 쥐고기·쥐치어·객주리·가치 등으로 불리 우고 있다.

●특징
쥐치는 체고가 높은 타원형이며 측편된 모양이고, 체색은 말쥐치가 짙은 흑회색을 띤 데 비해 쥐치는 암갈색 무늬를 가진 황토빛이다. 그런데 쥐치의 체색과 무늬는 그들의 흥분 상태나 경계심에 따라 크게 변하여, 그들 집단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서도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 를 들면 그들 사회에서 힘을 쓰지 못하는 개체는 체측에 암갈색 무늬가 거의 없으며, 상당히 우 위에 있는 개체는 암갈색 무늬가 짙고, 흥분 상태에 있는 개체의 체측 무늬는 가장 짙게 나타난 다고 한다(岡市 外 1958).

주둥이는 뾰족하며 입술이 두터운데, 이빨은 복어와 마찬가지로 암초나 부착물에 붙어있는 생 물을 뜯어 먹기에 편리한 강한 앞니(incisor-like teeth)로 되어 있다. 머리 길이는 머리 높이보다 훨씬 짧고, 아가미 구멍은 매우 작다. 몸껍질은 작고 거친 비늘로 말미암아 매우 꺼칠꺼칠하다. 제1등지느러미는 뒤로 눕혔다 세웠다 할 수 있는 1개의 가시로 되 어 있으며, 그 가시의 뒤쪽 변두리 양쪽에 한 줄의 가시가 있어 거칠게 되어 있다. 제2등지느러미 는 부드러운 줄기로 형성되며, 수컷은 제2연조가 길게 연장되어 있어 암컷과 구별할 수 있다. 쥐치과에 소하는 쥐치류는 모두 제1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가 변형된 가시를 가지며, 이 가시 는 이들 무리의 매우 특징적인 형질 중의 하나로, 분류학상 가까운 복어류와 구별되는 형질이기 도 하다.

주둥이는 뾰족하며 입술이 두터운데, 이빨은 복어와 마찬가지로 암초나 부착물에 붙어있는 생 복어과나 쥐치과에 속하는 어류는 중층에서 헤엄치면서 살아가는 딴 어종에 비하여 소형어임에 도 불구하고 행동이 느린 공통점을 갖고 있다. 복어류는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고 강한 육식성 어 종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하여 몸 속에 무서운 독을 가지며 배를 부풀려 적을 놀라게 하기도 한다. 반면에 쥐고기는 독도 없으며 배를 부풀리는 기술(?)이 없는 대신 맛이 없어 보이는 거친 껍질과 천정을 찌를 듯한 등·배지느러미의 가시를 폄으로써 행동이 느린 자신을 지키는 것 같 다.

아무튼 몸통을 거의 움지이지 않고 등지느러미와 뱌지느러미를 좌우로 저으면서 천천히 헤엄치 며 살아가는 쥐치류에 있어 지느러미의 변형물인 가시는 복어의 독에 못지 않는 방어 무기임에 틀림없다고 보아지며, 이처럼 물속에서 각각의 종이 살아남기 위한 적응 형태는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다.

●분포·분류
쥐치는 복어목(目, Tetraodontida), 파랑쥐치아목(亞目, Balistina), 쥐치과(科, Aluteridae)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쥐치과에는 새양쥐치·쥐치·말쥐치·그물코쥐치·객주리 등 9 종이 보고되어 있으나(정, 1977) 최근 새로운 미기록 종이 제주도 부근 해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약 12속 80종이 알려져 잇는 쥐치는 우리나라 남해, 일본 중부 이남, 타이완, 동 지나해를 비롯하여 아프리카 동해안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다.

우리들이 바다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쥐치류는 쥐치와 말쥐치인데, 이 두종은 대개 2 0∼30㎝급이 흔하고 낚시에도 곧잘 걸려 든다. 이들 쥐치와 말쥐치는 흔히 '쥐고기'란 이름으로 함께 불리우고 있으나 두 종의 형태나 체색 등 의 특징으로 뚜렷이 구별할 수가 있다. 그 체색으로 볼 때 쥐치는 '노랑쥐고기', 말쥐치는 '검정쥐 고기'로 부를 수 있으며, 체형은 쥐치가 넓적한 데 비하여 말쥐치는 길쭉한 타원형으로 한눈에 구 별된다. 이밖에도 쥐치는 30㎝정도의 대형급들도 있으나 그리 흔하지 않은 반면, 말쥐치는 30㎝급 이 흔하고 쥐치에 비하여 대형급이 많다. 각 지느러미의 줄기 수 또한 쥐치보다 말쥐치가 많으며, 척추골 수도 쥐치가 19개인 데 비해 말쥐치는 20개이다.

●생태
쥐치는 비교적 따뜻한 물을 좋아하는 물고기로서 수심 얕은 바다속에서 등지느러미와 두시 지느러미를 좌우로 흔들면 유유히 헤엄치는 그 모습이 평화스러운 물속 세계를 거닐고 있는 듯이 보인다. 이처럼 쥐치는 그다지 빠르지 않은 몸놀림으로써 바닥이나 부착기질에 붙은 부착생물을 천천히, 그리고 집요하게 뜯어 먹으며 살아간다.

쥐치의 산란기는 5∼8월 경이며, 수컷은 체장이 10㎝이상 되면 성숙하게 되고, 제2등지느러미의 1∼3번째 줄기가 길게 연장된다. 수온이 20°C 전후로 상승하는 여름이 주 산란기이며, 알은 둥근 구형으로서 가라앉고 기질에 붙는 침성점착란(沈性粘着卵)인데, 점착츠의 표층에는 과립상 또는 잔주름 무늬가 있다. 성숙한 알의 지름은 0.6∼0.7㎜로 작은 편이며, 알의 색깔은 무색투명하고 크 고 작은 기름방울(油球)이 여러 개 있다. 암컷(24㎝) 한 마리의 산란수는 약 15만개이다. 한편 말쥐치는 19㎝(1세) 이상이되면 산란을 하는데 5∼7월 연안 얕은 곳에서 산란을 한다. 성 숙한 알은 지름이 0.60∼0.65㎜ 크기의 침성점착란이며, 체장이 19∼22㎝ 급이면 13∼45만개의 알 을 갖는다.

쥐치의 수정란은 수온 20°C 전후에서 수정 후 60시간 만에 대부분 부화한다. 갓 부화한 새끼 는 전장이 2㎜ 정도이고 몸통 아래에 커다란 유구를 갖고 있으며, 유구는 난황의 앞족에 위치해 있고, 입과 각 지느러미는 미발달 상태에 있다. 몸에는 황색소포가 산재해 있으며, 특히 꼬리에는 3개의 황색띠를 갖고 있다. 부화 후 3일이 지나면 전장 2.5㎜전후로 성장하는데, 이때 입이 열리고 눈이 검어지며 배에 갖 고 있던 난황을 거의 흡수한다. 몸 길이가 3.6㎜ 크기가되면 몸 표면에 아주 작은 비늘이 발달한 다. 8㎜크기의 쥐치 몸은 담갈색을 띠며, 등지느러미 가시가 매구 강해지고 전면에 또한 가시를 갖게 된다.

몸 길이가 16.2㎜ 전후 되면 이윽고 각 지느러미 줄기가 완성되고, 3㎝ 전후로 성장하면 거의 어미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2∼3㎝ 길이의 새끼 쥐치는 방어·돌돔등의 치어와 마찬가지로 수면 에 떠다니는 모자반류와 같은 해조류 아래에 모여서 어린 시기를 지난다. 5㎝ 정도로 자라면 연 안의 얕은 해초밭으로 내려가며, 5㎝ 이상으로 자라면 수심 8∼30m인 해역으로 이동해 간다.

●식성·성장
쥐치는 떠다니는 해조류 아래에서 지내는 자어기 및 치어기에 일반 다른 경골어류의 어린 자치어와 마찬가지로 게의 유생 및 유공충·묘각류 등 플랑크톤을 포식한다. 그러다가 연안 의 수심 얕은 바닥으로 내려가면 해조류 사이를 헤엄쳐 다니면서 새우류와 소형 부착 생물, 갈조 류 등을 먹고 살다가 성어가 되면 새우·게 등의 갑각류와 패류·갯지렁이류를 비롯하여 해조류 를 포식한다.

쥐치와 말쥐치는 최근까지 나이를 잘 알지 못하여 연령과 성장에 대한 연구가 그다지 많지 않 은 종류이다. 물고기의 나이는 대개 이석(耳石, 머리속에 있는 조개 껍질과 같은 조각뼈)이나 척추에 나타나 는 나이테(윤문)를 보고 추정하게 되는데, 쥐치나 말쥐치는 뼈가 연하고 골격이 독특하여 연령 조 사가 어려웠던 종이다. 그러나 최근 밝혀진 바에 의하면 말쥐치이 경우 태어난지 1년이 지나면 평균 18㎝, 2년 후22㎝ 3년 후 25∼26㎝로 성장한다(角田, 1978·1970). 이런 성장도 또한 해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쥐치의 성장도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나, 연안에서 잡히는 쥐치의 크기로 미루어 보아 말쥐치보다는 연간 성장률이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낚시
바닷가에서 낚시를 하다 보면 '깜쪽같다''선수다''기가 찬다'등의 찬사 아닌 푸념을 가끔 듣 게 된다. 먹음직한 미끼를 달아 넣고 대어를 꿈을 꾸며 긴장 상태에 몰입한 낚시꾼이 잠시 후 건 져 올린 빈 낚시를 보면서 내뱉는 탄식이다. 눈치를 챈 낚시꾼은 작은 바늘로 바꾸어 노려 보지 만 그럼에도 별 신호없이 빈 낚시만 올라오기 일쑤다. 쥐치나 말쥐치가 떼를 지어 몰려들면 이런 일을 흔히 당하게 되는데, 그만큼 작은 입과 미끼를 잘라 먹을 수 있는 이빨이 잘 조화를 이루고 있는 물고기이므로 낚시에 걸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어쩌다 낚시가 잘 걸려들었어도 꽉 다문 이빨로 목줄을 끊어먹는 일 또한 비일비 재하다.

이처럼 복어류와 함께 쥐치 및 말쥐치는 이빨이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어 '미끼 따 먹는 선수' 로 꾼들을 짜증나게 만들곤 한다. 그러나 필자는 쥐치를 매우 좋아한다. 1960년대의 일이다. 지금은 한국해양대학교가 섬 전체를 차지하고 긴 방조제로 육지와 연결되 어 있는 부산 앞바다의 조도('아치섬'이라 불렀다)는 그 당시 부산 낚시인들에겐 1급 낚시 포인트 를 제공해 주는 알짜배기 섬이었다. 영도 동삼동 자갈밭에서 돛단배를 타고 건너가면 초가집 마 을을 걸어 넘어서 태평양을 바라보며 낚싯대를 휘두를 수 있었다. 따뜻한 햇살이 내리쬐는 어느 날 아침, 아치섬에 도착하여 보니 방파제 바로 앞 물속에 쥐치들이 떼지어 놀고 있었다. 원래는 섬 뒤쪽의 망상어·볼락 포인트를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지만 눈에 보이는 고기에 욕심이 생겨 배 에서 내린 그 자리에 앉고 말았다.

쥐치는 입이 매우 작아서 새우를 미끼로 할 경우에는 껍질을 벗겨서 사용하여야 하며, 눈으로 보면서 낚는 경우가 아니면 채비를 들어 올려 미끼 확인을 자주 해 주어야 한다. 그날 새우를 미끼로 한 쥐치 사냥은 맑은 물 덕분에 수십수의 어획을 올렸다. 손바닥만한 쥐치 는 필자의 유인 작전에 밀려 낚시에 걸려 올라와 '찍찍'소리를 내면서 흥을 돋궈주었다. 그날 이 후 쥐치는 낯설고 귀찮은 고기가 아닌, 친근감 가는 어종으로 가슴속에 자리 잡았나 보다. 갯바위낚시에 잡히는 쥐치는 말쥐치도 25㎝에서 30㎝ 정도면 이름있는 고기 못지 않은 강한 손 맛을 안겨주기 때문에 전문적으로 낚시를 시도해 볼 필요가 있겠다.

한편 외줄낚시로 볼락이나 열기(불볼락)을 노릴 때 갑자기 10여개의 낚싯바늘에 흔적도 없이 미끼가 사라진 경우를 보게 된다. 그것은 아래쪽에 쥐치떼가 우글거리고 있기 때문인데, 이 경우 에는 미끼를 넣자 마자 약간 강하게 끊어주는 기분으로 고패질을 하면 낚시가 입 근처나 몸에 걸 려서 쥐치나 말쥐치가 잡혀 올라오기도 한다. 볼락이나 불볼락보다는 쥐치나 말쥐치의 외줄낚시 가 손맛이 좋은 것은 낚시인이면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이처럼 손맛 좋고 회맛 담백한 쥐고기 무리는 점차 전문꾼들을 불러모을기미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쥐치나 말쥐치는 껍질이 손쉽게 벗겨져 요리하기에 편하고, 경골어류임에도 불구하고 뼈 가 연하여 뼈째 썬 회맛이 일미이기 때문에 미식가들에게 인가가 높다. 특히 쥐치나 말쥐치의 간 은 홍어 간과 마찬가지로 고소한 맛이 일품이기 때문에 회나 지리로 고급 요리를 제공해 준다. 아무튼 쥐치를 비롯한 쥐고기 종류들은 입이 작아 낚기는 까다롭지만 이런 뒷맛으로 인하여 우 리들과는 점점 더 가까운 관계를 맺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표1>쥐치와 말쥐치의 비교
쥐치 구분 말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쥐고기·쥐치어·객주리·가치
file fish, leatherjacker
가와하기(カワハギ)
학명
방언
영명
일본명
Thamnaconus modestus
쥐고기·쥐치
filefish, scraper
우마즈라하기(ウマズラハギ)
·몸이 타원형이며 노랑빛을 띤 황토색을 띤다.
·눈에서 주둥이 끝까지의 길이가 짧다.
·등지느러미 시작 기부와 뒷지느러미 시작 기부 외치가 거의 같다.
·각 지느러미는 황색을 띤다.
형태 ·쥐치에 비하여 긴 타원형이며 검푸른 회색을 띤다.
·눈에서 주둥이 끝까지의 길이가 쥐치보다 훨씬 길다.
·등지느러미 시작 기부가 뒷지느러미 시작 기부보다 앞쪽에 위치한다.
·각 지느러미는 청록색을 띤다.
D₁Ⅰ : D₂29∼35
A. 29∼34
P. 14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
D₁Ⅰ : D₂33∼38
A. 33∼36
P. 15∼16
19개 척추골수 20개
30cm 크기 35cm
우리나라 남해, 일본, 타이완
(수심이 얕은 연안에 많다)
분포 우리나라 전 연안, 일본, 타이완.
(취치보다 조금 깊은 바다에 서식한다.)
출처 : 일 묵 [一墨]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 줄전갱이   (0) 2008.07.27
[바다] 쥐노래미   (0) 2008.07.27
[바다] 참돔   (0) 2008.07.27
[바다] 참마자   (0) 2008.07.27
[바다] 청새치   (0)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