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준명 : 양태 ●학명 : Platycephalus indicus ●영명 : plat head ●일본명 : 고찌(コチ) ●방언 : 장대·장태·낭태 낚시를 떠날 때는 어떤 고기를 잡겠다고 주대상어를 정하는 것이 당연한 일반상식이다. 그러나 현지 도착 후에는 대상어가 바뀔 수도 있고, 사정에 따라서는 목적으로 하지 않았던 고기를 더 많이 잡을 때도 있다. 이 때 주 대상어가 아닌 고기가 섞여 올라오면 이를 '손님 고기'라고 한다. 우럭 배낚시나 가자미, 보리멸 낚시에서 흔하게 등장하는 손님고기 중의 하나가 양태이다. ●이름 양태(良太)는 몇 안되는 방언을 갖고 있는데 우럭 배낚시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서해안에선 '장대', '장태'라고 하며 부산·경남지방에선 '낭태'라고 불리운다. 그런데 이 이름들은 양태란 표준명보다 오히려 더 널리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다. 학명은 Platycephalus indicus이며 속명은 platycephalus인데 그리스어인 platys(납작한)와 kephale(머리)의 합성어로 양태류가 납작한 머리를 갖고 있다는 형태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영명으로는 학명과 마찬가지로 양태 머리가 납작하다는 뜻의 'Plat head'라고 부르며 양태와 같은 서식지에서 살고 있는 성대류와 혼돈하여 gurnard(성대의 영명)로 부르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고찌(コチ)'로 부르는데 양태의 생김새가 마치 옛날 일본의 문무 백관이 조복(朝服)할 때 손에 쥐는 길이 30㎝정도의 얇은 판으로서 벼슬의 높낮이와 작위를 나타내는 고쯔(コツ,笏, 일명 : 샤쿠)를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전한다. 또, 다른 양태류와 구별하여 '참양태'란 뜻의 '마고찌(マゴチ)'로 부르기도 한다. 중국에선 양태의 꼬리가 소꼬리처럼 생겼다 하여 '우미어(牛尾魚)라 쓰며 '용'이라 쓰기도 한다. ●특징 양태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납작한 머리 모양일 것이다. 이런 납작한 머리를 갖고 있는 양태는 옛부터 재미있는 말들을 남기고 있다. '양태 머리는 며느리에게 먹이라'는 말이 있다. 이말은 양태머리에는 살은 없고 뼈만 있으므로 미운 며느리에게나 주라는 뜻이다. 이와 반대의 의미를 갖는 말도 있는데 '양태머리에는 시어머니가 모르는 살이 있다'는 말이 있다. 양태 머리는 살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의외로 많은 살(뺨살 등)이 있으며 특히 뺨살은 우럭, 넙치의 뺨살과 마찬가지로 맛이 매우 좋기 때문에 시어머니에게도 안주고 며느리만 알고 그 맛을 즐겼다는 뜻이다. 아무튼 이 유명한 양태머리는 아래 위로 매우 납작하며 큰 입을 갖고 있다. 입은 좌우로 크고 아래 위로는 좁아 넙적한 모양이다. 몸은 등쪽이 황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배쪽은 약간 누른 빛을 띤 흰색이다. 꼬리지느러미 중앙에는 검은 세로 띠가 하나 있으며 그 아래 위로 비스듬히 뻗은 두 줄의 검은 띠가 있다. 몸은 작은 비늘로 덮혀 있으며 머리 위에는 작은 돌기형 가시가 있고 아가미 뚜껑 뒷가장자리에도 2개의 뿔모양의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데(그림1참조) 낚시할 때 이 가시에 손을 자주 찔리게 된다. 양 턱에는 융털 모양의 이빨이 있으며 입천장에는 날카로운 송곳니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의 양쪽 등지느러미는 7개의 극(棘, 가시)이 있으며 그 앞쪽에 2개의 분리된 가시가 또 있다. 제 2등지느러미에는 1개의 극과 12개의 줄기가 있으며 뒷지느러미는 13개 줄기를 가진다. 양태는 양태류중에서 가장 크게 성장하는 대형종으로 50㎝급(2∼3㎏)은 흔한 편이며 70㎝ 이상으로 자란 초대형급도 있다. ●분포·분류 양태는 횟대목(目), 양태과(科, Platycephalidae)에 속한다. 양태과 어류는 인도양에서 태평양까지 널리 분포하는데 총 15속(屬), 65종(種)이 알려져있다. 우리 나라 근해에서 서식하고 있는 양태과 어류로는 5속 5종이 한국어도보(1977)에 기재되어 있다(표1참조). 양태류는 지금도 분류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무리이며, 자세한 조사에 의하여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던 종이 밝혀질 가능성이 높은 종류이다. 현재 기재되어 있는 종중에서는 양태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대형종이며 어물전에서도 인기가 있다. 비늘양태나 점양태는 크기가 각각 15㎝, 25㎝이하인 소형종이고 옆줄 비늘중 앞부분 일부가 극(가시)을 가고 있어 다른 종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봉오리양태는 머리가 길고 등지느러미 위에 비교적 굵은 점이 있고 옆줄 비늘수가 47∼54개로 양태와는 구별할 수 있다. 까지양태도 옆줄비늘수가 49∼54개로 62∼69개인 양태와 구별된다. 그러나 양태류에는 그 외에도 비슷 비슷한 형태를 가진 종들이 일본에서도 많이 보고되고 있어 앞으로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 ●생태 양태는 부레가 없고 머리가 납작하며 몸통이 가늘고 긴 형으로 성대류와 마찬가지로 바닥 생활을 하는 종류이다. 일반적으로 양태가 살고 있는 곳의 수심은 2m에서 60m까지로 연안역이 서식지라고 할 수 있다. 바닥이 모래와 진흙이 섞인 곳에 머물며 때로는 기수지역으로도 들어온다. 겨울철이 되면 월동을 하는데 월동 장소는 수심이 조금 깊고 바닥이 사니질(沙泥質)인 곳으로 자신의 몸을 바닥에 파묻고서 겨울을 지낸다. 수온이 상승하는 봄이 되면 활동을 개시하며 산란기 전후에 가장 활동이 활발해지는데 이 시기에는 상당히 얕은 곳으로도 나온다. 산란기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5∼7월(남부는 5월경)이다. 알은 흩어져 수면에 뜨는 성질을 가지며 지름이 0.87∼0.93㎜인데 그속에 지름이 0.19∼0.23㎜인 기름방울(油球)을 1개 갖고 있다. 수정된 알은 발생이 진행됨에따라 배체( 體)와 유구 위에 흑색, 황색소포(점)가 나타나며 난황(卵黃) 위에도 황색점이 나타난다. 이 황색점은 점차 나뭇가지 모양으로 발달한다. 수정 후 부화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약 24시간이다. 갓 부화한 양태새끼는 몸 길이가 1.78㎜전후이고 배에는 큰 난황을 갖고 있는데 이때의 형태는 돔류, 가자미류나 일반 어류의 부화 자어(仔魚)와 거의 비슷하다(그림2 참조). 이때의 황색소포는 난황 위, 유구, 꼬리부분 중앙까지의 체측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부화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몸에 나타났던 흑색점은 점차 없어진다. 부화 후 4일쯤 지나면 난황이 거의 흡수되고 흑색점은 머리 앞, 뒤의 등쪽면, 복강 배쪽, 직장 부분에 1개씩만 남게 되며 이때 황색점도 거의 사라지는 특이한 양상을 보인다. 이처럼 어린 시기에 어미와 전혀 닮지 않았던 양태는 몸길이가 약 1㎝ 전후로 자라서 치어(稚魚)가 되면 머리가 커지고 어느 정도 종편되며 몸통은 약간 측편되기 시작하면서 어미의 형태를 닮아 간다.(그림2 참조). 이 시기는 머리에 골질 융기와 날카로운 가시가 크게 발달하게 된다. 대부분의 물고기(경골 어류)와 마찬가지로 자어기에서 치어기로 전환하는 변태기를 거치면서 형태 외에 생태적 변화도 수반하게 된다. 즉 부화 직후부터 자어기를 거치면서 플랑크톤과 같이 수면 가까이에 떠서 지내던 생활을 청산하고 형태의 빠른 변화와 함께 어미들이 살고 있는 바닥 생활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양태과에 속하는 어류는 대부분 성(性)적으로 불완전하여 성전환을 하는 종이 많다. 따라서 많은 종들이 암수 동체로 양성을 갖고 있다가 일정시기에 성전환을 한다. 예를 들어 까지양태는 생식소가 자웅동체로서 감성돔과 마찬가지로 웅성선숙(雄性先熟)을 하여 4살까지는 모두 수컷이다가 전장이 35∼45㎝ 범위인 4∼6세 사이에 성전환을 한다. 대부분 5세에 성전환을 완료하며 6세 이상에는 수컷을 볼 수 없다. 양태 역시 20㎝ 이하에선 모두 수컷만 보이다가 그 이상으로 자라면 암컷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50㎝이상이 되면 수컷은 없고 암컷만 나타나 성전환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檜山, 1969). 그러나 양태는 다른 종과 달리 생식소가 자웅이체(雌雄異體)로 양태류중에서 가장 진화한 종이라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부레의 퇴화 정도로 보아서도 양태류는 부레를 갖지 않아 우리나라와 일본근해에 사는 양태과 어류중 가장 진화할 종으로 판단하고 있다(Fujii, 1971, 1974). ●성장·식성 양태의 위 내용물 조사에 의하면 이 종은 새우, 게류, 오징어, 문어류, 환충류, 성게류 외에 쌍동가리 등 바닥에서 서식하는 작은 동물이나 어류를 먹고 사는 육식성으로 밝혀졌다. 물론 바닥 생활을 시작하기 전인 자·치어기에는 자기 입 크기에 맞는 소형 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 양태의 성장 속도는 정확히 조사된 바가 없으나 우리나라 연안에 살고 있는 양태류 중에서는 대형종에 속하므로 성장 속도도 다른 종에 비해서는 조금 빠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까지양태가 4∼6세에 35∼45㎝인 점을 감안하면 어미의 크기로 미루어 보아 양태는 이와 비슷하거나 조금 빠른 성장을 보이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나 앞으로 자세한 조사가 필요하다. ●낚시 '양태낚시'란 단어는 들어보기 힘들지만 양태가 낚시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이유는 가자미·보리멸 던질낚시나 배낚시, 우럭 배낚시에서 '손님고기'로 자주 등장하기 때문일 것이다. 노래미낚시로 전락하기 일보직전인 우럭낚시에서 쿨러속에 접어서 넣어야 될 정도 크기의 양태는 더 이상 손님고기가 아닐 수도 있다. 크기가 40㎝급이 되면 손맛 뿐만 아니라 나중에 입맛까지 맞추어 주는 게 양태이기 때문이다. 수심 10∼50㎝ 사이 해역에서 배낚시나 던질낚시를 하면 자주 만날 수 있으며 시즌은 7∼8월이 가장 좋다. 양태는 생김새와 달리 먹성이 그다지 좋지 않지만 갯지렁이, 멸치, 조개살, 호래기, 꼴뚜기, 오징어살 등 거의 대부분의 낚시 미끼에 다 달겨든다. 이같은 다양한 식성 때문에 가자미·보리멸·우럭·보구치(백조기)·수조기·감성돔 낚시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다. 양태(장대, 낭태)가 푸대접 받는 것은 양태와 비슷하게 생겨 '양태새끼'로 취급되는 10∼15㎝ 크기의 '돛양태'나 '동갈양태'와 닮았기 때문이다. 동갈양태류는 양태과 어류와는 분류학상으로는 거리가 있는 소형종으로 양태와 체형이 비슷하지만 지느러미가 매우 큰 특징을 갖고 있다. 이 종들은 보리멸낚시나 가자미 던질낚시에서 자주 등장하여 못생기고 먹을 것 없는 잡어로 취급되면서 양태란 이름을 더럽히고(?) 있는 것이다. 양태는 낚시 대상어로서보다 먹는 맛에 대한 점수를 더 후하게 주어야할 것 같다. 살 100g 중, 단백질이 21.7g, 지방이 2.2g, 수분이 75.0g, 비타민A가 70IU로 고단백질 식품에다가 살이 희고 단단하며 맛이 담백하여 생선회로서 뿐만 아니라 매운탕, 지리, 어묵용으로도 독특한 맛을 갖고 있다. 양태의 눈은 완전한 구형이 아니고 찌그러진 타원형 모양(그림3 참조)을 하고 있어 비정상처럼 보이므로 옛날, 양태를 먹으면 눈에 병이 난다는 말도 있었으나 그것은 과학적으로 근거없는 말이다. 오히려 최근에 와서는 낚시대상어로서나 식품학적인 가치가 재평가되면서 인기 상승중에 있다고 하겠다. 특히 양태 지리는 '복지리' 다음으로 맛있다고 평가되고 있을 정도다. <표1>우리나라 부근 해역에 서식하는 양태류
|
출처 : | 일 묵 [一墨] | ||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 쏨뱅이 (0) | 2008.07.27 |
---|---|
[바다] 쑤기미 (0) | 2008.07.27 |
[바다] 여덟동가리 (0) | 2008.07.27 |
[바다] 옥돔 (0) | 2008.07.27 |
[바다] 용치놀래기 (0) | 2008.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