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준명 : 쏨뱅이 ●학명 : Sebastiscus marmoratus ●방언 : 삼뱅이, 쫀뱅이 ●英名 : Scorpion fish, rock fish ●일본명 : 가사고(カサゴ) ※유사어종 ●붉감펭(쏨벵이속) ●학명 : S. albofasciatus ●일명 : アヤメカサゴ(아야메카사고) ●우럭볼락(볼락아과 볼락속) ●학명 : Sebastes hubbisi ●일명 : ヨロイメバル(요로이메바루) ●살살치(쑥감펭아과, 점감펭속) ●일명 : イスカサゴ(이스카사고) ‘언제나 돌틈에서 서식하면서 멀리 헤엄쳐 나가지 않는다. 대체로 ‘금처귀(黔魚)’에 속하는 놈은 모두 돌틈에서 서식한다.’이말은 자산어보(玆山魚潽, 정약전)에서 쏨뱅이를 표현하고 있는 글귀이다. 한때 낚시 대상어 중에서는 잡어로 취급된 적도 있으나 최근 연안의 어류자원이 점차 고갈되고 있고 특히 외줄 배낚시의 주 대상어종인 볼락, 불롤락의 자원 감소와 맞물려서 인기가 상승중에 있는 종이 바로 쏨뱅이라 할 수 있다. 실제 암초가 잘 발달된 바다밑에서 터줏대감 노릇을 하며 사는 쏨뱅이는 이제 더 이상 잡어나 손님고기일 수는 없다. 최근 씨알이 좋은 쏨뱅이는 볼락이나 열기낚시에서 주요 대상어종으로 취급되기 시작하여 대형 쏨뱅이를 찾아 나서는 동호인이 많아지고 있다. ●이름 쏨뱅이는 지방에 다라 쏨뱅이·쫌뱅이·삼뱅이·쑤염어 등의 방언을 갖고 있으나 대개 남해안, 제주도 지역에선 표준명인 쏨뱅이로 통한다. 이런 이름은 옛부터 해안가의 어부들이 쏨뱅이를 잡다가 머리위 가시나 지느러미가시에 질린 후 아픈 손가락의 통증을 참으면서 느꼈던 ‘쏘는 고기’란 의미가 이름으로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추측된다. 영명 역시 쏨뱅이의 지느러미 가시에 전갈과 같은(그렇게 센 독은 아니지만) 독을 가진 물고기란 뜻으로 ‘스콜피온피쉬(Scorpion fish)’로 부르고 있다. 프랑스의 Scorpene, 독일의 Skorpionsfisch란 이름도 영명과 같은 뜻의 이름이다. 그외 다른 영명으로는 보호색을 갖고 바위에 붙어서 살아간다고 하여 록피쉬(rock fish)가 있고, 독일명인 Drachenkopf는 ‘용의 머리’란 뜻을 갖고 있다. 일본명은 ‘가사고(カサゴ)’로 쏨뱅이의 피부가 얼핏보기에 거칠거칠하여 마치 부스럼이 난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쏨뱅이의 학명은 Sebastiscus marmoratus로 속명인 Sebastiscus는 ‘존경받는’, ‘훌륭한’이란 뜻이 담긴 그리스어인 ●특징 쏨뱅이는 볼락어와 마찬가지로 머리가 크며 머리에 날카롭고 짧은 가시가 많이 나있다. 또 머리가 클 뿐만 아니라 입도 크며 위턱보다도 아래턱이 조금 긴 편이다. 양턱, 입천장에는 섬모상 이빨대(齒帶)가 형성되어 있다. 몸 전체의 생김새는 볼락류 즉 볼락·불볼락(열기)·조피볼락(우럭)·개볼락 등과 비슷하고 담수어인 쏘가리와도 비슷하다. 체색은 그들이 살고 있는 주위환경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일반적으로 얕은 연안에 서식하는 것들은 흑갈색을 강하게 띄며 이보다 더 깊은 곳에 서식하는 것은 붉은 빛이 강한 경향이 있다. 체측에는 불규칙하나마 암갈색의 가로띠가 5줄 있고 이 다섯줄의 무늬 시작 부분은 등지느러미의 기저에서 희미하게나마 확인할 수 있다. 아가미 뚜껑 뒷가장자리에는 볼락류의 특징인 5개의 강한 가시를 갖고 있으며 앞서 서술한 머리의 가시는 코가시, 안전극, 안후극, 귀가시, 관극, 노정극 및 정극 등 이름을 갖고서 이들 종의 분류 특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등지느러미에는 매우 센 가시(극)와 줄기(연조)가 있는데 가시는 12개여서 13개의 가시를 갖고 있는 볼락속에 속하는 볼락·불볼락·조피볼락·개볼락 등과 뚜렷이 구분되고, 줄기는 11∼13개 범위이다. 항문 뒤에 위치한 뒷지느러미에는 3개의 가시와 5개의 줄기를 갖고 있어 볼락소에 속하는 무리와 비교할 때 가시수는 갖으나 줄기수는 적은 경향이 있다. 성어의 크기는 30의cm를 넘으나 낚시에는 20∼30cm 크기가 많이 낚인다. ●분포·분류 전 세계적으로 양볼락과(科, Scorpaenidae)에 속하는 어류로는 약 330여종이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8속(屬) 27종(種)이 기재되어 있다(한국어보도, 1997). 이중 볼락·볼볼락처럼 볼락아과(亞科)에 3속 19종이 있어 가장 큰 무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쏨뱅이는 쏨뱅이속(屬, Sebastiscus)에 속하며 같은 속에 속한 어류로는 붉감펭(S. alobofasciatus) 1종이 더 있다. 쏨뱅이속에 속하는 어종은 생김새나 습성이 볼락속에 속하는 어종들과 비슷한 점이 많지만 앞서도 기술했듯이 등지느러미의 가시수가 12개이기 때문에 그 수가 13개인 볼락·개볼락을 포함한 볼락속 어류와는 분류학상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한편, 쏨뱅이와 같은 속에 속하는 붉감펭과는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눈밑의 가시 유무, 체측의 무늬 형태로 구분된다. 즉 쏨뱅이는 눈의 아래쪽에 가시가 없으나 붉감펭은 1개의 가시를 갖고 있으며, 쏨뱅이의 체측에는 5개의 불규칙한 암갈색 가로띠가 있으나 붉감펭은 적황색 반점과 줄무늬가 체측에 산재하고 있어 외형으로도 구별할 수 있다. 쏨뱅이는 우리나라의 남해안, 제주도가 주 서식지이며 일본 각지 영안, 대만, 동중국 연안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큰 이동은 하지 않는다. ●생태 쏨뱅이는 한마디로 암초가 잘 발달한 연안에서 살아가는 정착성 어종으로 비교적 수심이 얕은 곳에서 흔하다.(같은 속에 속하는 붉감펭은 수심이 30∼100m정도 되는 깊은 곳에 분포하고 있다) 쏨뱅이는 볼락·조피볼락 등 볼락속에 속하는 어류들과 마찬가지로 어미 배속에서 알을 수정, 부화시킨 후 부화된 새끼를 낳는 난태생(卵胎生) 어류이기 때문에 암컷과 수컷은 교미를 하는 방법으로 번식을 시작한다. 수컷은 10월 경이면 완전히 성숙하여 10∼11월경에 암컷과 교미를 하게 된다. 쏨뱅이암컷과 수컷은 성숙하면 항문 바로 귀에 있는 생식기의 생김새로 구별해 낼 수 있는데 수컷은 돌기 모양의 교접기(交接器 또는 교미기)를 갖고 있다(그림1). 교미시 암컷의 몸속으로 들어간 수컷의 정자(精子)는 알이 완전히 성숙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11월경부터 수정(受精)된다. 암컷은 2세부터 어미가 되지만 대개 만 3세가 되어야 완전한 알을 가지며 몸길이가 11cm 이상되면 어미가 될 수 있다. 수컷은 암컷에 비해 좀더 빨리 성숙하며 대개 생후 1.5∼2.5년에 성숙한다. 체장이 14cm정도이면 45,000개, 18cm정도이면 85,000개의 알을 가지며, 새끼를 낳는 수는 2년어가 5,000마리, 3년어의 경우 13,000∼15,000마리이고 체장범위가 18∼26cm인 어미는 11,000∼94,000마리까지의 새끼를 낳는다. 배속에서 부화한 새끼가 수중세계로 나오는 시기는 대개 12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인데 해역에 따라 조금씩 달라진다. 쏨뱅이는 다회출산어(多回出産魚)여서 출산횟수가 최소한 3∼4회 된다고 하나 이 횟수가 새끼를 가진 어미의 나이와 관계가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어미몸속에서 최초 부화한 새끼 쏨뱅이는 전장이 약 2.7mm이지만 그후 자신이 가진 난황을 영양분으로 사용하여 3.5mm∼4.2mm정도로 성장한 후 어미 몸밖으로 나오게 된다(어미 배속에 있는 동안에는 태생(胎生)인 망상어와는 달리 어미로부터 직접 영양분을 공급받지는 않는다). 몸길이가 5.3mm가 되면 큰 머리에 막지느러미를 가진 형태로서 아가미 뚜껑위에 특유의 날카로운 극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눈위 두정부 등에도 날카로운 극이 발달하기 시작한다(그림2). 이 시기에 흑색점은 복강등쪽, 머리 윗부분과 꼬리의 배쪽 가장자리에 출현한다. 전장이 7.5∼8.0mm정도로 자라면 머리위의 큰 극은 톱니모양으로 되며 아가미 뚜껑위의 가시도 길게 발달하여 쏨뱅이 새끼다운 모습을 하나씩 갖추어간다. 어미 배속에서 갓 나온 새끼는 유영력을 갖고 있으며 크기가17mm정도로 성장할 때까지는 표층이나 중층에서 주로 서식한다. 전장이 20mm정도로 성장하면 연안의 얕은 암초밭에도 출현하며 그후 5∼7cm의 크기로 자라면 연안의 비교적 깊은 곳으로 이동해 간다. 성어는 주로 조류 소통이 좋은 수심 10∼100m 정도까지 퍼져 분포하는데 계절에 따라서 얕고 깊은 곳으로의 이동은 하나 회유성 어종과 같은 먼 거리의 회유는 하지 않는다. 쏨뱅이는 야행성이 강하여 해가 진 뒤에 취이 활동이 활발해 진다.. 또 볼락과는 달리 떼를 짓는 군집성이 약하여 큰 무리를 형성하지는 않는다. ●식성·성장 어미 배속에서 나온 새끼 쏨뱅이는 표층, 중층에서 생활하면서 입크기에 맞는 윤충, 요각류와 같은 플랑크톤을 주로 잡아먹는다. 크기가 4∼6cm정도의 치어는 게나 치어류를 먹기 시작하며 성어로 성장하면 강한 야행성을 띠면서 새우·게 등 저서동물과 어류를 먹으면서 육식성을 나타낸다. 위속의 먹이 성분을 조사해 본 결과 갑각류가 가장 많아 게류가 50∼60%, 새우류가 30%였고 그 다음이 연체동물, 어류 등이었다. 이 종의 성장속도는 그다지 빠르지 않은 편이다. 태어난지 1년이 지나면 7cm 전후, 2년후엔 14cm 전후이고 그후는 암컷과 수컷의 성장속도에 차이가 나기 시작하여 4∼5세에는 암컷이 22.6cm, 수컷이 19.3cm였다(일본자료). 대개 30cm정도까지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도에서는 30cm가 넘는 대형급이 자주 낚여오는데 이 경우에는 쏨뱅이의 심해형으로 알려졌던 유사종일 확률도 있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이런 성장속도를 감안한다면 쏨뱅이 20cm급은 상당히 대형급으로 취급해도 좋을 것 같다. 수명은 7년쯤이다. ●낚시 낚시대상어로서의 쏨뱅이는 얼마전까지 수산시장에서와 마찬가지로 잡어(?) 취급을 받았다해도 과언은 아니다. 쏨뱅이 낚시는 주로 볼락·열기낚시와 함께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남해 바다나 제주도 연안에서 외줄낚시로 항상 만날 수 있는 종이며 어민들은 연승낚시로 낚아내기도 한다. 정착성 어류인 만큼 쏨뱅이 소굴을 찾아내면 어깨와 허리에 파스를 붙일 정도의 마리수와 굵은 씨알을 낚을 수 있는 매력도 있다. 필자가 부산, 거제도 연안에서 외줄 낚시를 즐기던 시절에는 대형 쏨뱅이를 잡기위하여 맨 아래쪽 낚시에 통 미꾸라지를 끼워 내리는 동호인이 가끔 있었다. 쏨뱅이가 거친 암초밭에 대개 붙어 서식하는 특성을 고려한다면 아래쪽 낚시로 쏨뱅이를 노리고 위쪽 낚시에 새우를 끼워 볼락이나 열기(불볼락)를 노리는 것에는 일리가 있고 실제 효과도 있다고 판단된다. 한번쯤 바위에 바싹 붙어 있는 굵은 쏨뱅이를 낚아본 이들은 볼락보다 휠씬 큰 씨알에 매료되어 출조때마다 항상 이 종을 노리게 된다. 필자는 쏨뱅이뿐만 아니라 쥐치, 말쥐치, 황놀래기 등 당길 힘이나 손맛이 볼락보다 좋은 잡어에 더 흥미를 느끼고 있었는데 실제 10개의 바늘에 1∼2마리씩 물고 늘어질 경우에는 접어가 휠씬 더 재미있기 때문이다. 쏨뱅이 낚시는 갯바위에서 던질낚시나 민낚시로도 즐길 수 있지만 역시 배낚시에서 쉬게 즐길 수 있다. 배낚시의 경우 보통 바닥을 봉돌로 더듬어 나가면서 바닥지형을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하여야 하는 요령만 터득하면, 식성이 워낙 좋아 까다롭지 않은 낚시이다. 장비는 일반 볼락낚시 장비·채비면 무난하고 미끼도 새우·오징어·낙지살·미꾸라지·어류살 등 아무것이나 잘 먹는다. 쏨뱅이는 낚시대상어로서 뿐만 아니라 차세대 양식대상어로도 각광 받고 있을 정도로 활어나 선어로 가치가 높고 맛도 일품이다. 점차 좋아하는 인구가 늘면 자연스럽게 가치가 높아지고 인공적인 자원증강 대책도 나오게 될 것이다. 그러나 워낙 바위틈이나 해조밭에 붙어사는 습성이 강해서인지 한번의 외줄낚시에서도 항상 쏨뱅이를 만날 수 있을 정도는 되므로 아직은 즐겨봄직한 낚시라 생각된다. <표1> 쏨뱅이속 2종의 비교
|
출처 : | 일 묵 [一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