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213호 죽서루
자연을 그대로 이용해 집을 짓는다는 것은 요즈음 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건축방법이다. 그러나 이미 오래 전 우리 선조들은 자연을 범하지 않고 건물을 지음으로써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보존하는 방법을 택했다.
언젠가 어느 지인한테서 이런 말을 들었다. “환경, 환경하고 말들만 하고 입으로만 떠들 줄 알았지 과연 그런 사람들 정말 환경을 얼마나 생각하는 사람들인지 모르겠다. 어느 나라에서는 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차를 이용하지 않고 자전거를 타고 다닌다고 하더라. 차에서 배출되는 유독가스를 줄이려고 불편을 감수하는 그 정도 마음가짐이 있는 사람이 정말 환경을 이야기 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것 아니냐?”는 말이었다.
깎아지른듯 한 벼랑위에 서 있는 죽서루
예전에는 자동차가 없었으니 매연 같은 것은 걱정할 필요도 없었다. 지금처럼 기반공사를 한다고 마구 파헤치지도 않았다. 암벽을 깨내고 그것을 이용해 축대를 쌓거나, 자연석을 옮겨 정원석을 만드는 과시를 하지도 않았다. 그저 집을 지을 때는 지반이 단단한 바위 위라면 오히려 고마워했고, 흙이 단단하지 않으면 <지경다지기>라고 하는 작업방법을 통해서 땅을 단단하게 다져나갔다. 지경다지기란 커다란 돌이나 굵은 나무를 이용해 줄을 여러 가닥 묶어 그 줄을 잡아채 하늘 높이 올랐다가 떨어지면서 땅을 다져나가는 방법이다. 물론 거기에는 서로 호흡을 맞추기 위해 한사람이 북을 치면서 선창을 하면, 줄을 잡은 사람들이 뒷소리를 받아가며 일을 하는 멋까지 곁들인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자연과 친화적인 삶을 영위했던 것이 바로 우리네 선조들의 살아가는 방법이었다. 그러니 입으로 환경을 떠들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환경을 지키고, 자연과 하나로 동화되면서 살아오지 않았겠는가. 이러한 자연친화적인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건축물이 바로 보물 제213호인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 오십천 가 벼랑 위에 세워진 관동 제일루라는 죽서루다.
문화재 설명 서로 달라
「누(樓)란 사방을 트고 마루를 한층 높여 지은 다락형식의 집을 말한다. 죽서루는 고려 충렬왕 1년(1275)에 대학자 이승휴 선생이 세웠다. 그 뒤 조선 태종 3년(1403)에 삼척부의 수령인 김효손이 고쳐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름은 누의 동쪽으로 죽장사라는 절과 이름난 기생 죽죽선녀의 집이 있어 ‘죽서루’라 하였다고 한다.」 이상은 문화재청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죽서루에 대한 설명 첫 부분이다. 그러나 삼척 죽서루에 세워진 문화재 안내판에는 「이 누각이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고려 명종 때의 문인 김극기가 쓴 죽서루 시가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12세기 후반에는 이미 존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1403년(태종 3) 당시 삼척부사 김효손이 고쳐지었다.」고 적고 있어 다른 설명을 하고 있다. 전국에 문화재를 찾아다니다가 보면 간혹 이렇게 다른 문화재 안내가 되어 있어 당혹스러울 때가 있다.
우리나라에 있는 문화재이고, 같은 문화를 담당하는 사람들로 인해서 쓰여 졌을 설명이 이렇게 다르다는 점에서, 우리 문화재가 온전히 보존이 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밖에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소홀히 다룰 문화재도 아니고 보물에 대한 설명인데도 이렇게 다르다면 비지정 문화재라면 오죽할까 하는 우려가 앞선다.
자연적인 바위 그대로를 사용하여 기둥을 받친 죽서루는 누각을 받치고 있는 기둥들의 길이가 다르다
자연을 최대한 이용한 뛰어난 건축기법
죽서루는 절벽 위 암반을 기초석으로 이용해 건물을 지었다. 누 아래의 17개의 기둥 중에서 아홉 개는 자연적인 바위를 그대로 이용을 했다. 하기에 그 기둥의 길이가 다 다르다. 나머지 여덟 개의 기둥은 주춧돌을 놓고 기둥을 세웠다. 처름 죽서루를 보는 사람들은 왜 기둥이 그렇게 길이가 다른가 하고 의아해 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 선조들의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다. 그리고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친환경적인 건물을 지었다는 놀라운 점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죽서루는 자연주의 전통 건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관동제일루>라 하여도 이의를 달수가 없다.
죽서루 곁에서 내려다 본 오십천
경내에 심어진 오죽도 죽서루의 풍광을 빼어나게 하는데 한몫하고...
규모는 앞면 7칸, 옆면 2칸이지만 원래 앞면이 5칸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가운데 5칸 내부는 기둥이 없는 통 칸이고, 후에 증축된 것으로 보이는 양편에 기둥은 그 배열이 형식에 구애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죽서루에는 율곡 이이 선생을 비롯한 여러 유명한 학자들의 글이 걸려 있다. 그 중 <제일계정(第一溪亭)>은 현종 3년(1662)에 부사 허목이 쓴 것이고, <관동제일루(關東第一樓)>는 숙종 37년(1711)에 부사 이성조가 썼으며, <해선유희지소(海仙遊戱之所)>는 헌종 3년(1837)에 이규헌이 쓴 것이다. 이 밖에도 숙종, 정조, 율곡 이이선생 등 많은 분들의 시가 누각 안에 걸려 있다.
선사시대 암각화와 용문바위
죽서루, 그 보존상태도 관동 제일
고성부터 강원도 7번 국도 남쪽인 삼척까지 해안을 따라 내려가면서 찾아 본 많은 정자 중에서 가장 뛰어난 보존상태를 자랑하는 것도 역시 죽서루였다. 죽서루는 누각 주변 선사암각화와 신라 30대 문무왕이 동해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다가 어느 날 오십천으로 뛰어들어 죽서루 벼랑을 아름답게 꾸며 놓았다고 하는 용문바위 등을 포함해 담장을 둘러놓았다.
죽서루 경내는 깨끗하게 정리가 되어있어 보는 이들의 기분도 좋아진다. 여기저기 심어놓은 대가 바람에 나부끼며 잎이 부딪쳐 나는 바스락거리는 소리와 죽서루 밑을 흐르는 오십천, 그리고 암석 위에 자연스럽게 키 재기를 하고 있는 누각의 기둥, 이 모두가 관동제일루 죽서루의 멋을 더하고 있었다. 지금은 양양 하조대나 강릉 경포대보다 찾는 사람은 많지 않다고 하지만 이것은 죽서루가 바닷가가 아닌 내륙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죽서루는 관동제일이라고 하기에 조금도 부족함이 없다.
출처 : | 누리의 취재노트 | ||
'고궁.암자.정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삼척시 정상동 - 육향정 (0) | 2007.06.10 |
---|---|
오십천변 충혼의 성지에 세워진 봉황정 (0) | 2007.06.10 |
1600년 된 신비한 우물 (江華島 積石寺 甘露井).. (0) | 2007.05.13 |
창덕궁( 昌德宮,사적) (0) | 2007.05.13 |
경포호를 따라 정자 여행 (0) | 2007.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