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 너머로 옆집을 넘겨다봤다. 할아버지가 날씨도 더운데 좀 쉬지는 않고 마당을 분주하게 왔다 갔다 하는 모습이 보였다. 얼른 담장을 휙 넘어서 갔더니 뭐라 한마디 하려고 입을 오물오물 하시는데 내가 먼저 선수를 쳤다. "할아버지 분무기 좀 주세요." "뭐? 분… 뭐?" "약 통요. 농약 통요." 담장 넘어 다닌다고 한소리하려던 할아버지는 그건 벌써 까먹고 농약 통 달라는 내 말을 반신반의 하느라 눈을 더 크게 뜨시더니 금세 회심의 미소를 짓는다. "어허~ 내일은 해가 서쪽에서 뜨겠네. 농약을 쳐? 히시기 타락했네? 어때? 농약 안치고 농사 못 짓겠지 응?" 농약이 아니고 우리 고추들 먹이려고 내가 보약 좀 달였다고 했더니 그건 또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린가 싶은지 "보약? 농약 아니고? 한의원에서 지었어? 그 노무 고추에 보약 달여 멕여 가지고 수지맞겠다. 츳츳"하고는 뒷간 선반에서 농약 통을 꺼내 주신다.
아뿔싸~ 할아버지 분무기는 몇 번이나 씻어내도 지독한 농약 냄새가 코를 찔렀다. 내 분무기는 10년이 더 지난 알루미늄 옛날 분무기인데 지난달에 오줌을 담아 관주(작물의 뿌리에 분무기 대롱을 꽂아 액비를 주는 농사법)를 하고는 씻는 것을 잊고 그냥 뒀었나보다. 고무패킹이 다 녹아서 쓸 수가 없다.
유기농으로 유명한 조한규 선생의 가르침과 독일 슈타이너선생의 역동농법에 맞춰 작전을 세운 것인데 100% 자신하고 있다. 어제가 보름인 것을 오랜 전부터 달력에 적어 두었다가 약을 뿌린 것도 이 때문이다.
액비는 잎을 통해 영양이 공급되는 것인데 보름날에는 생식생장을 하고 그믐에는 영양생장을 하므로 보름에 한방영양제를 액비에 섞어 뿌린 것이다. 보름에는 벌레들의 산란도 활발하다. 보름 전후 3일을 일몰 3시간 이내로 잡아 뿌려줘야 해충을 물리치는데 효과적이라고 두 분 선생들은 말하고 있다.
|
'병,해충,농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해충 및 생리장해 (0) | 2013.09.07 |
---|---|
은행잎·석회보르도면 역병 ‘끝’ (0) | 2012.07.21 |
살충제 “오후 4시께 공동살포” 효과적 (0) | 2012.07.21 |
진딧물 없애는 방법 (0) | 2012.06.12 |
병충해에 관하여 (0) | 2007.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