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여러가지약초

영지니 2008. 1. 24. 20:30

미역취
 (국화과)


속명 : 일지황화. 두메미역취 .돼지나물

분포지 : 전국의 산과 들. 길가 초원 및 높은 산

개화기 : 7 - 10 월

꽃색 : 노란색

결실기 : 10 월

높이 : 35 - 85 cm 안팎

특징 : 대개 줄기가 하나로 곧게 나고 꽃이 많이 달린다.

용도 : 식용. 관상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 방법 :  봄 여름에 연한 잎을 삶아 말려 두고 나물로 먹는다.

 


(국화과)


분포지 : 제주도.울릉도와 남부. 중부 지방의 집 근처 습한 둑



개화기 : 2 - 4 월

꽃색 :  황백색

결실기 : 6 월

높이 : 40 cm 안팎

특징 : 긴 잎자루 끝에 둥근 잎이 우산 모양으로 달린다>

용도 : 식용. 약용. 관상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에 어린 잎을 데쳐서 초고추장에 무쳐 먹거나 쌈을 싸 먹고 여름에 잎자루 껍질을 벗겨 삶아 된장국을 끓여 먹거나 장아찌를 담가 먹는다.






참 취

(국화과)

 

속명 : 동풍채. 취. 백운초. 암취. 백산국. 나물채

분포지 : 전국의 산과 들. 대개 높은 산까지 흔히 자란다.

개화기 : 8 - 10 월

결실기 : 11 월

특징 : 뿌리줄기가 굵고 짧으며 끝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용도 : 식용. 약용. 관상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어린순이나 연한 잎을 삶아 말려 두고 나물로 먹는다.

 

 

 

 

곰 취
  

(국화과)

  

속명 : 북탁오. 능소. 마제엽. 웅채. 곰취나물

분포지 : 전국의 깊은 산 고원지대

개화기 : 7 - 9 월

꽃색 : 노란색

결실기 : 10 월

높이 : 1 - 2 m

특징 : 잎이 심장 모양이고 넓으며 잎자루에 자줏빛이 돈다.

용도 : 식용. 관상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초여름에 어린잎으로 쌈을 싸목고 연한 잎을 삶아 말려두고 나물로 먹는다.

 

 

씀바귀
(국화과)

 

속명 : 고채. 황매채. 고고채. 씸배나물. 고채아

분포지 : 제주도와 남부. 중부. 북부 지방의 들녘 논둑

개화기 : 5 - 7 월

꽃색 : 노란색

결실기 : 6 월부터

높이 : 25 - 50 cm

특징 : 잎을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용도 : 식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 살이 풀

먹는 방법 :  봄에 어린순과 뿌리를 살짝 데쳐 초장을 하여 먹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효 능 : 풀 전체를 창종. 진정. 최면. 건위. 식욕촉진 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봄철에 씀바귀 나물을 많이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 <본초강목>

씀바귀는 오장의 사기와 내열을 없애고 심신을 편하게 하며 악창을 다스린다.<본초강목>

씀바귀의 줄기나 잎에서 나오는 흰 즙액을 손등의 사마귀에 바르면 사마귀가 저절로 없어진다.

<의학입문>

 

 

 

참나물
(미나리과)


속명 : 대엽근. 산미나리

분포지 : 제주도와 남부. 중부. 북부 지방의 깊은 산 숲속

개화기 : 6 - 8 월

꽃색 : 흰색

결실기 : 9 월

높이 : 50 - 80 cm

특징 : 털이 없고 잎자루가 자줏빛이며 전체에 향기가 있다.

용도 : 식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 초여름에 연한 잎을 잎자루와 함께 생으로 쌈을 싸 먹거나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

효 능 : 풀 전체를 지혈. 양정. 대하. 해열. 경풍. 고혈압. 중풍. 폐염. 정혈. 윤폐. 신경통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간염. 고혈압. 해열에는 5월에 새로 나온 연한 참나물의 잎과 잎자루를 채취하여 즙을 내어 식사 전에 한 그릇씩 복용하거나 콩나물과 같이 즙을 내어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약초지식>

 

 

 

질경이
(질경이과)


속명 : 차전자. 차전초. 야치채. 하마초. 길짱구. 배부장이. 우모채.

분포지 : 각지의 길가 또는 빈터

개화기 : 6 - 8 월

꽃색 : 흰색

결실기 : 10 월

높이 : 90 cm 안팎

특징 : 원줄기가 없고 많은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퍼진다.

마차가 다니는 길바닥에 잘 자라는 데서 차전초라 한다.

용도 : 식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 여름에 연한 잎을 삶아 나물로 먹는다.

효 능 : 풀 전체 및 씨를 진해. 소염. 이뇨. 안질. 강심. 음양. 심장병. 태독. 난산. 지혈. 해열. 지사. 요혈. 익정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천식에는 질경이 전체와 쑥을 2대 1의 비율로 배합하고 여기에 감초를 약간 추가하여 달인 후 차 대용으로 마시면 효과 있으며, 이는 임질에도 효과가 있다..<민간약초>

 

 

아 욱
(무궁화과)

 

속명 : 로규. 규채. 아옥. 아욱나물. 규

분포지 : 농가에서 밭에 재배한다. 북부 온대및 아열대 원산

개화기 : 5 - 9 월

꽃색 : 연한 붉은색

결실기 : 8 - 10 월

높이 : 60 - 90 cm

특징 : 원줄기는 둥글고 가지가 약간 갈라진다.

용도 : 식용. 약용

생육상 : 한해 살이 풀

효 능 : 풀 전체 및 씨를 오림. 최유. 적체. 이뇨. 완하 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급채에는 아욱의 씨를 가루로 만들어 돼지기름에 개어 환을 지어 1회에 2돈씩 물과 먹으면 효과가 있다. <백통비방>


대소변 불통에는 아욱의 뿌리 2근과 생강 4냥을 함께 짓찧어 즙을 내서 두 번에 나누어 마시면 효과가 있다.<경험방>

   

어린아이의 입술이 터진 데는 아욱의 뿌리를 태워 재를 만들어 젖에 개어 바르면 효과가 있다<성혜방>  

 

타박상으로 허혈이 생긴데는 아욱 씨를 가루로 만들어 2돈씩 술에 타서 복용하면 풀린다.<침선>   

 

적리에는 아욱 씨를 가루로 만들어 2돈씩 1일 3회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경험방>

 

 

 

 

 

삼지구엽초
 (매자나무과)

속명 : 선령비. 조선음양곽. 양곽엽

분포지 : 남부. 중부. 북부지방의 깊은 산 숲속

개화기 : 5 월

꽃색 : 노란빛이 도는 흰색

결실기 : 7 월

높이 : 30 cm 안팎

특징 : 한포기에서 여러대가 나와 곧게 자라며, 가지가 세 개이고 잎이 세 개씩 아홉 개이므로

삼지구엽초라 한다.

용도 : 약용. 관상용

생육상 : 여러해 살이 풀

효 능 :  풀 전체를 강장. 이뇨. 장근골. 음위. 건망증. 강정제 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강장. 강정. 음위에 특별한 효과가 있으며 이것을 복용하면 정맥의 분비가 늘고 남근이 혈액량을 증가시켜 발기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뿐만 아니라 뇌와 부신의 작용도 원활히 해주고 건망증. 신경쇠약. 사지경련에도 효과가 있다.

땅에서 솟아나와 꽃이 피기 직전의 것이 약효가 좋다.

 

 

 

 

 

산마늘
 (백합과)

 

속명 : 맹이. 명이.산산.각총.명이나물

분포지 : 울릉도와 남부.중부 지방의 깊은 산 숲속

개화기 : 5 - 7 월

꽃색 : 흰색. 연한 자주색. 노란색

결실기 : 8 월

높이 : 40 - 70 cm

특징 : 마늘과 비슷한 향과 맛이 있다. 땅속에 약간 굽으며 갈색이 도는 비늘 줄기가 있다.

이 풀을 먹으면 목숨이 길어진다하여 명 이라고 한다.

용도 : 식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 살이 풀

먹는 방법 : 봄에 연한 잎을 생으로 초장과 함께 먹거나 된장에 장아찌를 담가 먹는다.

효 능 : 비늘 줄기를 강장.이뇨. 구충. 최유.해독.소화.건위.풍습 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산마늘의 잎과 부드러운 비늘 줄기를 상식하면 강장. 건위제가 되며,

봄에 채집하여 된장에 묻어 두고 동절기에 먹으면 장수의 비결이라고 한다. <식이요법>

 

 

 

 

봉선화
(봉선화과)

 

속명 :  금봉화. 봉숭아. 지갑초. 소홍도. 급성자.

분포지 : 흔히 관상초로 심는다. 말레이지아와 인도 및 중국원산

개화기 : 7 - 8 월

꽃색 : 붉은색.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 흰색

결실기 : 9 - 10 월

높이 : 60 cm  안팎

특징 : 털이 없고 육질이며 열매가 익으면 탄력있게 터진다.

용도 : 공업용. 약용. 관상용

생육상 : 한해살이 풀

효 능 : 씨와 잎을 요흉통. 소화. 타박상. 사독. 안산. 오식. 해독. 난산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독충 및 사독을 풀어 주는 데는 봉선화 잎의 즙을 바르거나 씨를 가루로 만들어 상처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약초지식>

 

 

 

 

냉 이
 (십자화과)

속명 : 대제. 지인채. 낭랑이집. 양근초. 구륜초. 나숭게. 나생이

분포지 : 전국의 집근처 텃밭이나 길가.

개화기 : 4 - 6 월

꽃색 : 흰색

결실기 : 6 - 7 월

높이 : 10 - 50 cm

특징 : 전체에 털이 있고 곧게 자라며 흰색의 뿌리는 땅속으로 곧게 들어간다.

용도 : 식용. 약용

생육상 : 두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에 어린순과 뿌리로 국을 끓여 먹는다.

효능 : 풀 전체 및 잎을 폐염. 이뇨. 회충 두통. 천식. 부종. 임질. 치통. 토혈. 해열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고혈압에는 냉이를 1일 20g 정도씩 달여 차 대용으로 장기간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약초지식>
빈혈에는 냉이의 즙 반 공기 정도와 술 한 공기를 혼합하여 약 3일 정도 공복에 마시면 효과가 있다.<신비방>
적리에는 냉이의 풀 전체를 말린 후 볶아서 가루로 만들어 1회 1돈씩 물에 타서 마시면 대단히 효과가 있다.<경험양방>
냉이는 간기를 통리하고 내장을 고르게 한다. 냉이 죽을 먹으면 피를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본초비요>

 

 

 

 

달 래
(백합과)

 속명 : 소근채. 단화총. 애기달래. 들달래

분포지 : 전국의 들녘. 밭둑이나 논둑

개화기 : 4 - 5 월

꽃색 :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

결실기 : 6 - 7 월

높이 : 12 - 30 cm 안팎

특징 : 전체에서 특이한 향기가 난다.

용도 : 식용. 관상용. 밀원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에 연한 새 잎과 땅속의 비늘줄기를 생으로 초장하여 먹는다.

효 능 : 비늘 줄기 및 풀 전체를 보익. 청혈. 지한. 중풍. 적백리. 안태. 이뇨. 부종. 양혈. 건뇌. 명안.. 골절통. 각종 곽란등에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장 카타르. 위암. 불면증 및 보혈 약으로서 풀 전체를 달여 마시면 효과가 있다.  

또한 독충에 물렸을 때 뿌리와 줄기를 짓찧어 국소에 붙이면 해독되며, 이것을 밀까루에 반죽하여 타박상에 붙이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약용식물사전>
정력증진의 보건 음료로서 비늘 줄기와 수염뿌리를 함께 물에 씻어 소주에 담근 다음 약 15일 경과 후에 매일 조금씩 마신다.

식도암. 자궁출혈. 월경불통에는 생뿌리를 먹거나 또는 태워서 먹는다.<약초의지식>

 

 


더 덕
(도라지과)

 

속명: 구두삼. 사엽삼. 양유. 유부인. 더덕나물. 백삼

분포지 : 전국의 산 나무 밑 그늘에 자생. 농가에서 밭에 재배하기도 한다.

개화기 : 8 - 9 월

꽃색 : 연한 녹색

결실기 : 10 월

높이 : 길이 2 m 안팎

특징 : 향기가 나고 줄기를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오고 땅속의 뿌리는 도라지 모양으로 굵으며 덩굴식물이다.

용도 : 식용. 관상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에 어린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으며 땅속의 뿌리는 껍질을 벗기고 양념하여 구워 먹거나 생으로 먹는다.

효 능 : 뿌리를 식용하고 천식. 보폐. 경풍. 한열.편도선염. 인후염. 거담. 건위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더덕은 거담약. 건위약으로 쓰며 또한 건위강장제로서 폐열을 없애고 폐기를 보하며 신과 비를 이롭게 한다.

1일 8g 정도를 달여서 복용한다. <약용식물사전>
더덕은 위와 폐기를 보하고 산기를 다스린다.

고름과 종기를 없애고  오장의 풍기를 고르게 한다.
이러한 증상을 다스리는 데는 희고 굵으며 신선한 더덕의 뿌리가 좋다.<본초강목>
음부가 가려운 데는 더덕을 가루로 만들어 물에 타서 마신다.<단방신편>

 

 



돌나물
 (돌나물과)

 

속명 : 화건초. 수분초. 돈나물. 석련화.

분포지 : 전국의 산과 들 약간 습기가 있는 바위틈이나 언덕

개화기 : 5-6월

꽃색 : 노란색

결실기 : 9 월

높이 : 15cm 안팎

특징 :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땅위로 뻗고, 마디에서 잎이 세 개씩 돌려나며 뿌리가 내린다.

용도 : 식용. 관상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 여름에 연한 잎과 줄기로 김치를 담가 먹거나 삶아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잔 대 - 사 삼
(도라지과)

 

속명 :  양유. 윤엽사삼. 백마육. 남사삼. 제니. 층층잔대 방치륜자채. 제니

분포지 : 전국의 산기슭 초원.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개화기 : 7 - 9 월

꽃색 : 청자색. 자주색

결실기 : 10 월

높이 : 40 - 120 cm

특징 : 뿌리가 굵고 전체에 털이 퍼져 있다.

용도 : 식용. 관상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먹는방법 :  봄. 초여름에 연한 잎과 줄기를 삶아 나물로 먹으며 뿌리를 먹기도 한다.

효 능 : 뿌리를 경기. 한열. 익담. 해독. 거담 등의 약으로 쓴다.

동속식물 : 털잔대. 수원잔대. 모시대. 나리잔대. 두메잔대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경이  (0) 2008.01.24
질경이  (0) 2008.01.24
질경이  (0) 2008.01.24
인진쑥  (0) 2008.01.23
인진쑥  (0) 2008.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