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생상황
무재배시 흔히 볼 수 있는 병해로 이른 봄부터 발생하지만 가을철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이 올 때 발생이 많다.
2. 병징
주로 잎에 발생하는데 흑갈색의 소형 둥근무늬가 형성되며 점차 확대한다. 병반은 조금 융기한 것 처럼 보이며 진전하면 회백색의 큰 둥근 무늬가 되며 그 표면에는 흑색의 가루(분생포자)가 생긴다.
그림 1. 무 검은무늬병의 병징
3. 병 원 균
긴 곤봉 모양의 곰팡이(Alternaria brassicae)의 일종으로 대체로 고온에서 잘 생육하지만 포자의 발아적온은 20℃내외이다. 습도가 높을 때 생육이 좋지만 비교적 건조시에도 잘 생육하는 균이다.
4. 전염방법 및 발병유인
가. 1차전염 : 포장에 남아 있던 병든 잎이나 종자에서 월동하여 전염원이 된다.
나. 2차전염 : 병반표면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바람에 날려 공기전염한다. 병원균은 노쇠한 잎을 주로 침해하므로 생
육후기에 비료기가 떨어지면 많이 발생한다.
표 1. 무 작형별 주요병해 발생정도
병 해 명 |
하우스재배 |
터널재배 |
봄 재 배 |
고냉지여름재배 |
가을재배 |
검은무늬병 노 균 병 흰녹가루병 무사마귀병 시 들 음 병 뿌리검은병 무 름 병 검은썩음병 세균성검은무늬병 모자이크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 ◎: 발생심함, ○: 중간, △: 발병약
5. 방제방법
가. 건전종자를 사용하거나 지오람 혹은 베노람 수화제로 0.3% 분의하여 종자소독을 한다.
나. 병든 잎을 일찍 제거하고 수확후 이병잔재물이 밭에 남아있지 않도록 유의한다.
다. 후기생육이 쇠퇴하지 않도록 충분히 균형시비해 준다.
라. 발병초기에 7~10일 간격으로 동 수화제, 타로닐 수화제, 만코지 수화제 각 500배액이나 프로피 수화제 400배액을
살포한다.
'무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 심기부터 수확까지 (0) | 2017.12.02 |
---|---|
무 병해-노균병 (0) | 2013.10.10 |
무 병해-뿌리혹병 (0) | 2013.10.10 |
무 열근현상 (0) | 2013.10.10 |
무 기근(가지뿌리,가랭이무) (0) | 201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