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함초

영지니 2008. 1. 20. 13:47

 

 

 

함초란 무엇인가


하늘에 바쳐 제사 지내던 신비한 식물

 

함초는 우리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 제주도. 울릉도. 백령도 같은 섬 지방의 바닷물이 닿는 해안이나 갯벌. 염전 주위에 무리지어 자란다.


우리말로는 통통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통통마디'라고 부른다.

중국의 옛 의학책인 (신농본초경)에는 맛이 몹시 짜다고 하여 함초.염초.라고 하였고. 또 몹시 희귀하고 신령스러운 풀이라 하여 신초 라고도 하였다.


일본에서는 백년쯤 전인1891년에 북해도 아께시마 만에서 처음 발견했으며 그 아름다움과 희귀성으로 인하여1921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였다.


함초의 효능은 3천 년 전인 중국 주나라 때부터 알려졌다.

주나라 임금이 한초를 하늘에 바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주례)에 나온다.


일본의 의성이라고부르는 가이바라의 (대화본초)에는 함초가 불로장수하게 하는 풀이라고 적혀 있으며 염초. 복초.삼지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함초는 생김새가 특이하다.






줄기는마디가 많고 가지는 두세 번갈라져서 마주 난다.


가지는 다육질로 비대하고 진한 녹색이며 잎은 없다.


키는 10~40센티미터쯤자라고 꽃은6~8월 가지 끝에 녹색으로 보일 듯 말 듯 핀다.


열매는 시월에 납작하고 까맣게 익는다.


함초는 봄부터 여름까지는 줄기와 가지가 진한 녹색이다가 가을이되면 진한 빨간색으로 단풍이 든다.


가을철 넓은 갯벌이 온통 빨간색 물감을 쏟아 부은 듯 함초. 나문재. 칠면초 같은 것으로 덮여 있는 풍경은 장려하고도 이국적인 아름다움을 풍긴다.


함초의 또 한 가지 특징은 식물학적으로 고생식물. 곧 원시식물의 형태를 고스란히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은행나무나 소철처럼원시식물에 가장 가까운 화석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함초는 지구상에서 기원이 가장오랜 식물로 모든 식물의 조상이 되는 식물이라 하겠다.


함초의 이런 특성 속에 아직 우리가 밝혀내지 못한 비밀이 숨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구상의 식물은 고생대. 곧 5억 7천만 년에서 5억 년쯤 전에 바다에서 육지로 올라와 여러가지 형태로 진화되어 오늘에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처음 식물이 바다에서 육지로 오라왔을 때는 잎이 없고 줄기와 가지뿐이었다는 것이 바위 틈에서나온 화석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가장 우수한 소금을 함유한 식물

 

함초는 우리나라의 어떤 의학책에도 약초로서의 효능이 적혀 있지 않은 풀이다.

 

함초는 육상 식물이면서도 바닷물 속에 있는 모든 미네랄 성분이 고도로 농축되어 있다.


소금기 많은 흙일수록 잘자라면서도 바닷물에 잠기면 죽는다.


흙 속에 스며든 바닷물을 한껏 빨아들여 광합성작용으로물기는 증발시키고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갖가지 미네랄 성분만을 고스란히 남겨 두는 생리를지녔다.


함초는 가장 우수한 품질의 소금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 가치를 귀히 여길 만하다.


함초를 뜯어서 먹어 보면 맛이 몹시 짜다.


짜되 쓴맛이 나면서 짠 것이 아니라 단맛이 나면서짜다.


짠 것을 먹으면 대개 목이 마르지만 함초는 아무리 많이 먹어도 갈증이 나지 않는다.


생명 체에 이로운 물질만 농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함초에 들어 있는 소금은 다른 어떤 소금보다도 생명체에 유익한 소금이라 할 수 있겠다.


소금은 음식을 소화하고 노폐물을 배설하고 처리하는 작용. 곧 신진대사 작용을 주관하는 물질이다.


소금기는 세포를 썩지 않게하고 뇌졸중과 뇌연화증을 예방하며 소화를 잘 되게 하고 조혈작용을 도와주며 노화를 막아 주는 등 생명유지에필수적인 작용을 한다.


요즘 짜게 먹는 것이 해롭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것은 화학염이나 정제염 같은 질이 나쁜 소금을 두고 하는 말이지 천일염 같은 질 좋은 소금을 두고 하는 말은아니다.


소금은 모든 생물이 목숨을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물질이다.


그러나 소금을주된 영양분으로 삼는 동식물은 없다.


짠 바닷물속에서 일생을 보내는 물고기도 매우 적은 양의소금을 몸 안에 지니고 있다.


그런데 한 가지 예외가 되는 식물이 있다.


함초는 지구상에서 거의유일히게 소금을 흡수하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소금을 비롯하여 칼슘.마그네슘. 철. 인 등 갖가지 미네랄과 효소를 흡수하면서 자라는 것이다.


좋은 소금을 올바르게섭취하면 으뜸가는 약이 될 수 있다.


함초에 들어 있는 소금은 바닷물 속에 있는 독소를 걸러낸 소금이다.


함초 말고 소금기를 흡수하여 몸에 저장하는 식물은 달리 없다.


북아메리카 해안의소금기 많은 습지에는 '스파르티나' 라는 풀이 무성하게 자라는데 이 풀은 소금을 빨아 들였다가잎과 줄기에 있는 특별한 기관을 통해서 내보낸다.


또 열대지방의 소금기 많은 개펄에서 자라는망그로브나무는 소금기를 잎에 저장했다가 잎을 떨어뜨린다.


이들 식물에 들어 있는 소금기는걸러지지 않은 그대로의 소금이지만 함초에 들어 있는 소금은 천일염 상태에서 생물체에 해로운성분은 모두 걸러내고 이로운 성분만 남아 있는 소금이라고 할 수 있다.


함초의 섬유질은 장의연동운동을 도와주고 소금기와 많 미네랄은 인체에 꼭 필요한 영양소가 된다.


함초는 인체에 부족하기 쉬운 미량원소를 보충해 주면서 숙변과 변비. 비만증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인식품이다.





함초는 갖가지 미네랄의 보고이다.

 

함초에는 다른 어떤 식품보다 미네랄이 많아 숙변을 제거하고 변비를 없애주는 효능이 탁월하다.


함초 100그램에는 칼슘 670밀리그램, 요드 70밀리그램 그리고 나트륨이 6.5퍼센트 소금기가 16퍼센트 식물성 섬유질이 50퍼센트쯤 들어있다.


칼슘은 우유보다 일곱배가 많고 철은 김이나 다시마보다 40배가 많으며 칼륨은 굴보다 세배가 많다.


이밖에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90여가지의 미네랄이 골고루 들어있다.


미네랄이란. 광물질을 말한다.


오늘날 갖가지 난치병은 미네랄 부족으로 인한 것도 적지 않다.


미네랄은 체온을유지하고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이루게 하며 삼투압을 유지하게 하고 배설과 해독 작용을 도우며 갖가지


효소를 활성화하는 등 아주 적은 양으로인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인체의 75퍼센트를 차지하는 물의 성질을 좌우하는 것도 바로 물에 녹아 있는 갖가지 미네랄이다.


미네랄을 다량원소와 미량원소로 나누는데 , 칼슘 인 유황 나트륨 염소 마그네슘 등을 다량원소라고 하며 인체의 3퍼센트쯤을 차지한다.


철 망간 요드 아연 몰리브덴 코발트 불로 크롬등을 미량원소라고 하며 인체의 0.5퍼센트쯤을 차지한다.


미량원소 중에서 가장 많은 칼슘도 인체 구성성분중에서 70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도 철분에 견주면 4백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철분보다 동은 20분의 1밖에 되지 않으며 요드는 우리 몸의 2백 80만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이렇게 적은 양인 요드도 몸에 부족하면 심각한 탈이 생긴다.


함초에는 현대과학을 밝혀내지 못한 극미량의원소들이 많이 들어 있으며 이들 원소들이 인체에서 생화학적 영양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한다.





숙변과 중성지방질을 제거한다

 

숙변은 소장에 끈적끈적하게 달라붙어 있어 웬만해서는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함초는 숙변과중성지방질을 분해하여 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혈액이나 혈관, 각 장기에 붙어있는 쓸모없는 지방질과 노폐물을 없애기 때문에 몸무게를 줄이는 데에도 효과가 크다.


함초를 먹으면 대개 숙변이 나오는데 빨리 나오는 사람은 일주일이나 2주일안에, 보통은 2~3개월이면 나온다.


함초가 숙변을 분해하고 장관을 자극, 수축시키기 때문에 대개 배가 살살 아프다가 까맣거나 흑갈색으로 끈적끈적한 기름 덩어리 같은 변이 나온다.


많은 사람은 한 광주리쯤 나오고 대개는 보통 때보다 2~3배쯤 많은 변이 나온다.

숙변이 나오고 나면 머릿속이 맑아지고 뱃속이 상쾌해지며 몸에 생기가 난다.


함초 속에 들어 있는 갖가지 미량 원소와 효소가 숙변을 없애고 몸속의 지방질을 분해하여 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바닷물 속에는 1백만분의 1쯤 되는 양의 효소가 들어있다.

이 효소는 바닷물 속의 갖가지 유기물을 분해하여 물을 정화하는 작용을 한다.


만약에 효소가 없다면 바다는 1년도 못되어 썩어버리고 만다.

바닷물 효소를 인위적으로 뽑아내기는 거의 불가능하지만 함초 속에 다량으로 농축 되어 있다.


함초에 농축되어 있는 바닷물 효소는 사람의 몸 속에서 작은 창자벽에 붙어있는 끈적끈적한 노폐물인 숙변을 분해하여 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숙변은 온갖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대부분이 중성지방질이며 음식이 소화되다 만 찌꺼기가 장벽에 달라붙어 썩은 것이다.


거의 모든 사람이 숙변을 지니고 있다.

숙변은 계속 썩으면서 독이 생기고 이 독은 장벽을 통해서 혈액속으로 흡수되어 피를 더럽힌다.

이것뿐 아니라 숙변은 장벽에 찰싹 달라붙어 다른 영양분의 흡수를 막는다.


장은 식물로 치면 갖가지 영양을 흡수하는 뿌리와 같다.


아무리 큰 나무라도 뿌리가 상하면 말라죽는 것처럼 사람도 숙변이 쌓여 있으면 건강할 수 없다.




놀라운 함초의 효능

함초는 숙변만 없애는 것이 아니라 풍부한 미네랄과 효소 섬유질 그리고 알칼로이드섭운, 소금기 등이 갖가지 질병을 퇴치하는 작용을 한다.


일본의 오하라산장 난치병연구소의 이토 소장은 함초가 갖가지 암, 축농증, 관절염, 고혈압, 저혈압, 요통, 비만증, 치질, 당뇨병, 갑상선염, 천식, 기관지염 등에 두루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했다.




함초의 효능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숙변을 분해하여 몸무게를 줄이고 변비를 치료한다.


한달에 8킬로그램까지 몸무게를 줄인 예가 있다.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양을 많이 먹어야 한다.


조금씩 먹으면 밥맛이 좋아져서 오히려 몸무게가 늘어난다.


혈액순환을 좋게하고 피를 깨끗하게 하며 혀로간을 튼튼하게 하여 고혈압과 저혈압을 동시에 치료한다.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속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질을 제거한다.


증혈작용이 뛰어나 빈혈증에도 특효가 있다.


축농증 신장염 관절염 등 온갖 염증에 효과가 있다,


함초는 염증을 치료하고 갖가지 염증과 관절염으로 인한 수종등을 치료 한다.


함초는 병원성 미생물을 죽이는 작용이 뛰어나 어떤 종류의 항생제로도 효과가 없는 염증질환에 효험이 있다.


먹는화장품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피부를 곱게 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기미 주근깨 여드름 같은 것이 없어지며 생리불순이나 생리통 등이 낫는다.


위장기능이 좋아진다.


함초는 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소화를 잘 되게 하며 변비 탈장 치질을 치료한다.


기관지천식과 기관지염을 치료한다


기관지점막의 기능을 좋게하여 기관지천식을 완화하거나 치유한다.


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춘다


함초 생즙을 복용하면 함초의 섬유질이 장에서 당질 섭취를 억제하고 췌장의 기능을 되살려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유한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짚신나물  (0) 2008.01.20
함초의효능  (0) 2008.01.20
소철  (0) 2008.01.20
머위  (0) 2008.01.20
  (0) 2008.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