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진쑥이란
<인 진 호(茵陳蒿)> |
茵陳(Artemisia iwayomogi)은 국화과(Compositae) 쑥屬에 속하는 초본형 낙엽 관목으로서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 KITAMURA), 흰산쑥(Artemisia sacrorum subsp. manshurica KITAMURA.), 털산쑥(A. sacrorum subsp. manshurica var. vestita KITAMURA)이라고 불리우며 전국의 산야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이용해 왔고 더위지기는 예로부터 특유의 향기로 맛으로 인하여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전통적으로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을 인진이라 하여 이용하여 왔고,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는 한인진(韓茵蔯)이라하여 구분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그 독특한 향과 기능적인 점때문에 민간에서 더위지기를 많이 재배하고, 또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로 야생 인진을 채취하여 사용해왔으나 수요량의 증가에 따라 점차 재배화 추세에 있으며 최근에는 강원도 지방과 전라북도 진안지역을 중심으로 재배 농가가 늘어나고 있다.
인진을 이용한 가공품으로서는 인진엿, 편, 과립등이 있다.
성분으로는 정유, 방향족 oxycarbonic acid, esculetin 6-methylether, esculetin 7-methylether, 배당체인 scopolin등이 알려져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 esculetin 6-methylether(scopoletin)이 알려져 있다.
식물학적 개요
菊花科(Compositae)에 속한 多年生 草本인 사철쑥 및 더위지기, 비쑥 등 동속 근연식물의 연한 어린줄기와 잎(도내 재배종은 더위지기). 현재 국내에는 약 26종에 달하는 쑥종류가 보고되었음.
형태: 초장 30~100cm 에 달하는 낙엽관목. 8~9월에 개화, 10하~11상순에 결실
학명: 더위지기(Artemisa iwayomogi KITAMURA):향이 좋다.
사철쑥(Artemisa capillaris THUNB):향이 거의 없다. 비 쑥(Artemisa scoparia WALDST.et KITAIB)
의 의
연구기관(진안숙근약초시험장. 원광대의약자원연구센터)과 농업인단체(전북약초동호회)가 협력하여 발굴한 지역 특화작물 산. 학. 연 협력체계 확립 및 농가 소즉증대에 기여 깨끗한 환경에서 우리농가가 무농약으로 직접 생상한 신토불이 식품 실명제로 생산 공급하는 고품질의 우리 농산물 IMF 시대, 고품질 농산물을 주안 마진을 생략하고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직접 공급.
인진쑥 생김새
표면에는 세로줄 무늬가 있으며 자색 빛깔을 띠고 있다.
가지가 많으며 늙은 가지는 빛깔이 윤택하고 어린 쑥은 껍질에 회백색의 가는 털이 있다.
영양분은 잎사귀에 있으며 잎사귀자루의 길이는 1.5cm, 잎사귀조각은 2-3개 정도로 날개모양이나 손바닥모양으로 되어 있다.
인진쑥은 국화과에 속한 여러 해 살이 풀로 예로부터 사철쑥, 생당쑥, 더위지기풀로 알려져 왔다. 성질은 약간 차고 맛은 쓰고 매우며 독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