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인진호

영지니 2008. 1. 23. 22:15

인진호(茵陳蒿)

起源

菊科(국화과;Compositae)식물인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b.)의 건조한 어린 싹 혹은 花期의 植株.


形態

다년생 초본 혹은 반관목으로 어린가지에는 柔毛가 난다.


잎은 2回羽狀全裂하고 裂片은 線形이며 너비는 0.3∼1mm이고 하부에는 대개 絹質의 털이 있으며, 중간부분 이상에는 거의 털이 없다.

頭狀花序가 가지 끝에서 배열되어 圓錐모양을 이루며, 總苞는 球形으로 길이와 너비는 약 1.5∼2mm이고 總苞片은 卵形이며 3∼4개의 층이 있고 膜質이며 털이 없고, 꽃은 黃色이며 모두 筒狀花가 되고 가장자리의 꽃은 雌性이며, 盤花는 양성이고, 수술은 5개로 꽃밥과 합생한다.

열매는 瘦果로 털이 없고 長圓形이며 冠毛는 없다.

分布

산비탈, 물가의 언덕, 광야에서 자란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냇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採取 및 製法

봄에 어린싹인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成分

esculetin-6. 7-dimethylether, capillene. capillon. capillin. seoparone, chlorogenic acid.등의 성분 함유

效能

맛은 쓰고(苦) 성은 미한(微寒)하다.

청열(淸熱),이습(利濕),이담(利膽)의 효능이 있고 급성간염,담낭염,황달,급창소양 등의 치료에 응용 된다.

(黃疸尿少, 傳染性黃疸型肝炎, 感冒發熱, 驚風).


藥理作用

B형 간염의 표면항원(HBsAG)의 억제효과가 높다.

간세포의 손상을 억제 담결석의 용해. 항병동 및 강압작용. 신생아의 용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 등이 있다.



인진(茵陳) 이야기

중국의 어느 마을에 매우 비쩍 마른 환자가 있었다.

어느날 그는 그 당시의 유명한 명의인 화타를 힘들게 지팡이에 의지해서 찾아갔다.

화타는 그 환자를 보자 금방 황달(黃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환자는 화타에게 치료를 부탁했지만 화타는 황달을 치료할 방법이 없다고 하여 그를 돌려 보냈다.

그는 하는 수 없이 죽기만을 기다리며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어느날 우연히 화타가 그때의 그 환자를 보게되었는데 그는 이상하게 얼굴색이 좋아진 것이 아닌가?

그래서 화타가 이상하게 생각하여 그에게 물어보았다.

"당신은 무슨 약을 먹고 나았습니다"
그러자 그가 대답하기를 "저는 어떤 약도 먹지를 않았습니다.

단지, 먹을 것이 없어 산에 있는 풀을 뜯어 먹었을 뿐입니다 "
그래서 화타는 그 사람과 함께 산으로 가서 그 풀을 확인해보니 쑥이 아닌가?

그래서 화타는 쑥이 황달을 치료하는 약일 것이라 생각하고 황달로 찾아오는 환자들에게 치료해 보았으나 별로 소용이 없었다.
이상하여 화타는 다시 그 사람을 찾았는데 "당신은 분명히 이 쑥을 먹었지요" 화타의 물음에 그가 대답하기를 "예 저는 틀림없이 쑥을 먹었습니다" 그러자 화타가 다시 묻기를 "그럼 언제 쑥을 먹었습니까"그 말에 다시 그가 대답하기를 "음력 3월에 먹었습니다"
그 말을 듣고 화타는 그 다음 해 봄에 그 쑥을 캐서 황달 환자에게 먹이니 효과가 정말로 좋았다.


결국 화타는 봄이 지난 쑥은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황달을 치료할 수 있는 쑥은 인진(茵陳)이라고 불렀는데 그 이유는?

'황달이 치료가 되지 않은 것은 오래된 쑥으로 인한 것이다'라는 의미로 '이유나 원인'을 뜻하는'인(因)'과 '오래된'을 뜻하는 '진(陳)'을 합해 '인진(因陳)'으로 했다가 다시 '인(因)'에 풀 초(艸)를 붙여 '인진(茵陳)'으로 이름을 지어 사람들로 하여금 쑥은 구분해서 써야됨을 알려준 것이다.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진쑥  (0) 2008.01.23
인진쑥은매우쓰다  (0) 2008.01.23
사철쑥 / 인진쑥  (0) 2008.01.23
인진쑥이란  (0) 2008.01.23
인진쑥  (0) 2008.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