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은 한국인의 최대 사망 원인이다. 한국인 4명 중 1명은 궁극적으로 암으로 숨진다. 그러나 암은 불치병이 아니다. 암환자 10명 중 4명은 진단 후 5년까지 살고 6명은 죽는다. 수년 전 국립암센터가 처음으로 공개한 암 생존율 조사 결과다.
5년이 중요한 이유는 ‘암 진단 후 죽느냐 사느냐’하는 기준이 되는 기간이기 때문이다. 의료계에서는 암 치료 시작 후 5년까지 산다면 이후 해당 암의 재발 위험이 없다는 뜻에서 완치로 본다. 그렇다면 죽은 6명과 산 4명의 차이는 무엇일까.
암 진단은 3~5년 주기로
가장 큰 차이점은 조기 발견 유무에 있다. 일찍 발견할수록 완치 가능성이 큰 반면, 3기 이상으로 진행된 암은 사망 확률이 높다.
환자가 스스로 증상을 느낄 정도가 되는 암의 크기는 대략 직경 3㎝로 이쯤 되면 부위를 막론하고 대부분 3기 이상이다. 증상이 나타난 뒤에 병원을 찾아 암 진단을 받게 되면 이미 늦었다는 뜻이다. 내시경이나 초음파, 자기공명 영상촬영(MRI)이나 컴퓨터 단층촬영(CT) 등 현대의학의 수단을 동원하면 0.5~1㎝의 조기 암 상태에서 발견할 수 있다. 아프지 않을 때 암이 있는지 확인하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암세포 부위 따라 증식 속도 달라
두 번째 차이점은 부위별 암세포가 어느 정도 악성이냐에 따른 것이다. 이번 조사에선 갑상선암의 예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1기에서 4기까지 망라해 5년 생존 확률이 93.3%나 됐기 때문이다. 독감의 사망률이 7~42%에 달하는 것을 감안하면 갑상선암은 독감보다 치료가 잘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암=불치병’이란 생각은 잘못됐다는 것이다.
이처럼 치료가 잘되는 이유는 갑상선이 목의 표면에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어 발견이 쉬운 데다 암세포 자체가 온순해 증식 속도가 느리고 조직 파괴도 적기 때문이다. 반면 췌장암은 8.4%만 5년 후까지 생존해 한국인의 10대 암 중 가장 예후가 불량한 암으로 밝혀졌다.
췌장암 다음으로 간암(생존율 10.5%)과 폐암(11.4%)이 뒤를 이었다. 췌장은 복부 깊숙이 위치해 전이가 빠르고 수술이 쉽지 않으며, 간과 폐는 혈관이 치밀하게 분포해 암세포가 쉽게 주위로 전파된다는 게 생존율이 낮은 이유다. 그러나 이런 암도 일찍 발견하면 완치할 수 있다.
간암 위험이 높은 간염 환자에게는 초음파와 혈액검사가, 폐암 위험이 높은 흡연자에게는 가슴 X선 검사와 저선량 나선형 CT검사 등이 권장된다.
암을 이기는 세 가지 마음가짐
이미 암을 앓고 있는 분이라면 서울대병원장을 지낸 한만청 박사를 참고하기 바란다. 그는 2001년 말기 간암을 이겨 낸 투병기를 책으로 펴내 화제를 불러일으킨 바 있다. 그는 세 가지를 강조했다.
첫째, 낙관적인 태도다. 생존율 5%. 진단 당시만 해도 그는 최악의 상황이었다. 그러나 그는 죽을 95%보다 생존할 5%의 확률을 믿었다. 투병 도중 들쭉날쭉 변덕을 부리는 검사 수치에도 일희일비하지 않았다.
둘째, 평정심을 유지해야 한다. 한 박사는 ‘암과 싸우지 말고 친구가 돼라’고 했다. 어차피 뿌리뽑을 수 없는 존재라면 성내지 않도록 잘 달래라는 뜻이다. 암세포와 더불어 평균 수명까지 살면 된다는 전략이다.
셋째, 의료진을 믿어야 한다. 최선의 치료를 위해선 만의 하나 부작용까지 감수할 수 있다는 신뢰를 보여 줘야 한다. 민간요법에 매달리는 것은 옳지 않다. 한 박사는 암에 좋다고 알려진 시중의 민간요법은 일절 거부했다고 한다.
암은 첨단 현대의학의 시대에도 여전히 완치를 거부하고 있는 난공불락의 난치병이다. 그러나 느리지만 생존율은 조금씩 향상되고 있다. 때론 백혈병의 글리벡처럼 획기적 신약이 등장하기도 한다. 진인사대천명의 자세로 치료에 임하는 것이 최선이 아닐까 싶다
'각종 항암 치료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과 싸우지말고 친구가 돼라 (0) | 2008.02.14 |
---|---|
암예방 7가지비법 (0) | 2008.02.14 |
암-알면이긴다 (0) | 2008.02.13 |
청국장·고구마·민들레 항암3총사로 떴다는데… (0) | 2008.01.31 |
각종 암에 좋은 선학초(짚신나물) (0) | 2008.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