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누룩의 종류 전통 누룩 ‘만전향주곡’을 복원하면서 사용된 재료. 한약재와 연꽃 등 다양하다. 누룩의 역할과 효소제와의 차이 전통주 양조에 있어 제일 먼저 갖추어야 하고, 술의 성패(成敗)가 바로 이것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좋은 누룩을 장만하는 일은 술 빚는 사람에게 무엇보다.. 약차.약술 2016.07.31
전통량주법 전통주는 흙으로 빚은 독에서 익혀야 제 맛과 향이 난다. 전통적 양조기법의 우수성 우리 조상들은 다른 나라와는 차별되게 주식이 되는 쌀로 양조를 하는, 세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양조문화를 발전시켜왔다. 또한 같은 재료라도 그 가공방법을 달리 함으로써 맛과 향기, 색상, 도.. 약차.약술 2016.07.31
청주 청주 뜨는 모습. 사케는 청주이고, 전통주는 약주다? 프랑스 등 유럽의 와인 열풍에 이어 일본주 ‘사케’의 시장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라고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의 배경을 두고 전문가들은 일본 식당의 증가와 함께 막걸리시장의 활성화를 꼽고 있다. 국내의 막걸리 소비증가.. 약차.약술 2016.07.31
방향 흰꽃이 피어있는 듯한 백화주와 채주한 청주. 술을 빚는 이의 솜씨와 쌀의 처리방법에 따라 각기 다른 향기를 품어내 한동안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 가운데 하나인 장과 김치를 ‘썩힌 음식’으로 매도한 때가 있었으나, 이제 와서는 현대인들에게 최고의 건강식품이자, .. 약차.약술 2016.07.31
궁중음식 ; 너비아니구이 “소고기를 너붓너붓하게 썰어서 육질을 부드럽게 하여 굽는다.” 외국인에게 익숙한 우리음식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불고기는 김치와 함께 대표적인 한국음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오늘은 너비아니구이를 통해서 우리 조상들의 구이문화를 소개하고자 한다. 우리나.. 약차.약술 2016.07.31
반주 집에서 만든 향기 좋은 술을 천천히 식사와 곁들이다 나의 술빚기는 순전히 술을 좋아하시는 부모를 위한 작은 배려에서 시작되었다. 아버지의 술에 대한 욕심을 덜어내 건강을 돌보시도록 하자는, 아주 사소하고 소박한 생각이 내가 처음 술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이다. 처음에는 술 빚.. 약차.약술 2016.07.31
약주문화민족 각종 약주류와 재료들의 모습. “약주 한잔 하시겠습니까?” 세계에서 술을 약으로 인식하고 있는 나라나 국민은 드물다. 주지하다시피 술은 성인에 한하여 즐길 수 있는 기호음료인데, 유독 우리나라 사람들만이 술을 약주(藥酒)라고 하고, 이 약주를 반주(飯酒)와 손님 접대에 이용해 .. 약차.약술 2016.07.31
술제떡 백화주를 만들기 위해 먼저 밑술이 되는 떡을 빚는 모습 떡을 만들어 술을 빚는다 지금이야 술 빚는다 하면 너나 없이 쌀을 쪄서 만든 고두밥을 이용하여 술 빚는 것을 능사로 여기지만, 조선시대에는 그렇지 않았다. 바로 “술제떡”이라 하여 ‘백설기’를 비롯하여 떡을 만들어 술을 .. 약차.약술 2016.07.31
도소주 옛 문헌 [고사촬요]의 방식으로 도소주를 재현하는 모습. [고사촬요]에는 ‘오두거피, 대황, 거목, 완계, 천초, 계심 등으로 술을 빚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악한 기운을 몰아내는 술 술이란 성인들에 한하여 즐길 수 있는 기호음료라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데 어린 아이에서부터 노인.. 약차.약술 2016.07.31
매화주 화양입주법으로 양조한 매화주. 김홍도가 즐겨 했던 ‘매화음’ 술을 공부하다 보면 한동안 호기심에 빠져 물불을 못가릴 때가 있기 마련이다. 주방문(酒方文) 곧, 술 빚는 법을 어느 정도 알게 되면 눈에 띄는 모든 것이 술 재료로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게 될 때인데, 필자의 경우 그 시.. 약차.약술 2016.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