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바다] 별망둑

영지니 2008. 7. 27. 21:37
별망둑   
 

별망둑


점망둑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소]

●이름 : 별망둑
●학명 : chasmichthys golosus
●영명 : gluttonous goby
●일본명 : 도로메(泥目;ドロメ)
●방언 : 망둥어·꼬시래기

물고기 중 사람과 가장 가까이 사는 종들은 연안 갯벌이나 바위 해안에서 만날 수 있다. 대부분 크기가 작은 놈들이지만 나름대로의 생태적 특징을 갖고 있다. 이중 대 표적인 종이 망둥어류에 속하는 별망둑과 점망둑이다.

●이름
별망둑은 몸에 별처럼 흰점들이 많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점망둑은 깨알같이 작은 점들이 온몸에 흩어져 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이 종들이 사는 연안에선 그냥 망둥어·망둑이·망디·꼬시래기 등으로 구별없이 불리운다. 별망둑은 학명이 chasmichthys gulosus이다. 영어권에선 이 종의 닥치는대로 먹는 식성을 빗대어 '개걸스러운 망둥어'란 뜻의 gluttonous goby로 불린다. 일본명은 '도로 메(泥目;ドロメ)'이다. 점망둑은 학명이 c.dolichognathus이며, 영어권에선 '긴턱을 가진 많이 먹는 망둥어 '란 뜻의 longcher goby, 일본에선 '아고하제(顎沙魚;アゴハジゼ)라 불리운다. 우리나라는 이들 두 종의 외형상 특징을, 영어권에선 식성을 반영하여 이름을 지었음 을 알 수 있다.

●특징
별망둑은 체형이 원통형으로 가늘고 길며, 어체는 크고 종편되어 넓적한 형태를 띤다. 머리를 제외한 몸은 전체적으로 점액질이 많이 분비돼 미끈거린다. 녹청색·회 청색을 띠고 눈동자 크기의 흰점이 8∼12개의 가로띠를 이룬다. 등·꼬리지느러미는 어릴 때 약간 노랑색을 띠고, 흰점이 산재해 있거나 없는 개체 도 있다. 배지느러미는 좌우가 합쳐져 흡반형을 띤다. 꼬리지느러미 가장자리 윤곽은 흰색 또는 회색을 띠는 게 특징이다. 크기는 10∼15cm급이 흔하며 20cm까지 자란다. 점망둑은 별망둑보다 작은 망둥어류로 크기가 6∼7cm에 지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별망둑과 유사한 체형·체색을 갖는다. 하지만 별망둑은 녹청색이 약간 섞여 있는 반면 점망둑은 갈색·흑갈색을 띤다. 등·꼬리지느러미 위에는 흑갈색 점이 옆으로 줄지어 있어 경사진 줄무늬를 형성한 다. 꼬리지느러미 앞 꼬리자루에는 커다란 흑색점이 하나 있다.

두 종은 몸집에 비해 입이 큰 편이다. 영어권 이름에서 상징하듯 먹이에 대한 집착 이 매우 강하다. 배지느러미는 바위와 같은 기질에 앉기 편리한 흡반형이다. 가슴지느 러미의 윗줄기들은 분리돼 있어 새의 깃털처럼 보인다. 두 종 모두 등지느러미는 두 개로 돼있다. 제1등지느러미에는 6개의 가시, 제2등지 느러미에는 1개의 가시와 10개의 줄기가 있다. 뒷지느러미에는 1개의 가시와 9∼10개 의 줄기가 있는데 가시는 강하지 않고 유연하며 부드럽다.

●분류·분포
별망둑·점망둑은 농어목(目), 망둥어과(Gobiidae), 별망둑속(chamichthys) 에 속한다. 우리나라 동·남해안, 일본 혼슈우 동북지방 이남의 연안에 널리 서식한다. 특히 바위 조간대나 조수 웅덩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들이다. 별망둑과 점망둑은 외형상 매우 비슷한 점들이 많다. 그렇기에 같은 크기의 종들이 섞여 살고 있는 연안 조간대에선 육안으로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생태도 매우 유사하 여 덩치가 큰 별망둑과 몸집이 작은 점망둑은 가까운 사촌간이라 볼 수 있다.

이 두 종의 구분은 우선 성어의 크기로 가능하다. 별망둑은 10∼20cm급이 흔한 반 면 점망둑은 7∼8cm급이 대부분이다. 체형은 유사하지만 별망둑은 체측에 흰색 점만 있고 검은색 점이 없다. 반면 점망둑은 깨알같이 작은 검은색 점이 있어 육안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그 외 외부 형태적 특징인 지느러미의 색과 무늬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별망둑의 등·꼬리지느러미는 약간 녹청색 또는 황록색을 띠고 흰색점이 몇 개 있을 정도다. 하 지만 점망둑의 등·꼬리지느러미 바탕은 투명하며 갈색점들이 이어져 비스듬히 경사진 줄무늬를 이루는 게 특징이다. 또 체측의 비늘 수에서 차이가 있는데 별망둑이 85∼ 90개인데 비해 점망둑이 70∼80개로 차이가 있다.

●생태
별망둑과 점망둑은 수심 얕고, 바위·자갈이 많은 해안가에 사는 망둥어류 다. 이들이 살고 있는 바위 해안은 조석에 따라 수심이 크게 변한다. 대개 조수 웅덩 이로 되든지 수심이 50cm이하로 얕아진다. 때문에 수온의 변화가 매우 크고, 바람· 비·햇볕 등 환경 변화가 심하다. 별망둑과 점망둑이 이러한 연안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데는 다음과 같은 생태 적 특징이 있다. 모두 크기와 비늘이 작고, 점액질이 많아 몸이 미끈거린다. 이는 파도 가 거센 날이면 바위 틈이나 바위 아래 숨어 자신의 몸을 지켜야 되기 때문이다.

다음이 흡반형으로 변형된 배지느러미의 형태다. 이는 파도 등에 의해 물의 유동이 심한 바위 연안에서 자신의 몸을 기질에 붙일 수 있어 운동에너지를 절약케 한다. 이 러한 배지느러미의 변형은 망둥어류 외에도 뚝지(동해안 방언;신퉁이)나 학치 등의 어류 에서도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별망둑의 산란 생태를 통해서도 연안 환경 적응력을 알 수 있다. 산란 기가 가까워지면 각 지느러미의 가장자리에 옅은 녹색띠가 나타난다. 이때 암수가 만나 바위 아래에 보금자리를 마련한다. 바위 위에 알을 낳으면 주위에 있는 게·새우·불 가사리 등의 포식자들로부터 공격 받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후 수컷은 알이 부 화할 때까지 지키는 습성이 있다. 이때 가끔씩 가슴지느러미를 흔들어 수류를 일으킨 다. 신선한 해류가 발생 중인 알에 닿아 잘 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별망둑의 수정된 알은 곤봉형으로 장경이 3.75∼4.30mm(평균 4.01mm), 단경이 1.20∼ 1.45mm(평균 1.25mm)이다(<그림2-A>참조). 난황은 담황색이고 많은 유구를 갖고 있다. 점망둑의 수정란은 형태가 별망둑의 알과 유사하지만 크기가 조금 작은 편으로 평균 장경이 3.88mm, 평균 단경이 1.13mm이다. 조사에 의하면 점망둑의 수정란은 포 배기에서 부화까지 약 66시간이 걸린다. 수정부터 부화까지 약 3일이 소요된다고 추측 할 수 있다.

갓 부화한 별망둑은 몸 길이가 5.47mm이다. 입과 항문이 열려 있고 눈은 발달해 있 다(<그림2-B>참조). 부화 후 11∼12일 후 자어는 난황을 완전히 흡수하고 외부에서 먹이를 찾기 시작한다. 부화 후 33∼35일이 지나면 각 지느러미의 줄기가 완성되어 치 어기에 달한다(<그림2-C>참조). 75∼78일이 지나면 몸길이가 36.5mm로 성장하고 몸 에 성어와 닮은 무늬가 형성된다(<그림2-D>참조).

산란기는 4∼6월경이며 치어가 연안을 떼지어 다니는 것은 7∼8월 경이다. 어미는 연안 바위틈에서 살지만 새끼들은 포식자가 많은 바위 연안에 붙지 않는다.중층에 떠다 니며 일정 기간 성장한 후 어미 곁으로 돌아간다. 즉 자기 방어·도피능력을 어느 정 도 갖추기까지는 떼지어 떠다니는 부유생활을 하는 것이다. 점망둑의 초기 생활사도 별망둑과 거의 유사하다.

●성장·식성
어릴적 부유생활기엔 요각류등 플랑크톤을 주로 먹고 산다. 이후 바닥 생활로 전환한 후엔 대부분의 망둥어류들과 마찬가지로 닥치는 대로 먹는 강한 탐식성 을 갖는다. 성장이나 수명에 대한 조사 자료는 많지 않다. 다만 연안에 살고 있는 놈들의 크기 로 미루어 점망둑은 1년에 약 5cm, 별망둑은 약 7cm전후로 성장하는 것 같다.

●낚시
별망둑과 점망둑은 주 낚시대상어가 못된다. 몸집이 작아 일부러 낚겠다고 마음 먹지 않으면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종들이다. 그러나 필자의 기억으로는 이 종들처럼 낚시의 재미를 느끼게 해준 종도 드물다. 물론 어릴적 이야기다.

낚시 입문은 부산 자갈치시장에서 문절망둑(꼬시래기) 낚시로 시작되었다. 삼촌을 따 라 갯바위낚시를 갈 때면 조수웅덩이에서 이 종들을 낚는 재미에 시간가는 줄 몰랐던 기억이 생생하다. 파도가 넘실대는 갯바위 바깥쪽보다는 간조시에 만들어진 연못같은 조수웅덩이에서 조그만 채비로 망둥어들을 낚는 재미가 더 좋았는지 모른다. 적당한 크기의 바위를 건너다니며 바위 굴 앞에 채비를 내려 흔들다보면 어린 손에 굵은 입질 이 느껴졌다. 얼떨결에 올린 낚싯줄에 커다란(?) 별망둑이 물고 있을 때의 기억은 지 금도 생생하다.

어쩌다 커다란 검은머리가 보이면 이때다 싶어 미끼를 입근처 가까이 드리우곤 했다. 그러기 무섭게 덥썩 물어 대면 초등학생의 어린 눈에도 흥분 그 자체였다. 이밖에도 그물베도라치·노래미·가시망둑 등 여러 종들도 어린 시절의 좋은 친구들이었다.

지금도 연구실에 놓인 해수어항에는 이 두 종이 살고 있어 수십년간의 우정을 확인 하고 있다. 가족 단위의 출조가 많아진 요즈음 연안에서 이 어종들과 어린이들의 만 남을 마련해 주는 것도 좋을 성싶다. 조그만 해수 웅덩이 속에서 이들 별망둑과 점망 둑과의 만남은 결코 자연을 경시하지 않는 인격체로의 성장에 큰 전환점이 되리라 믿는다.

<표>별망둑과 점망둑 비교
별망둑 국명 점망둑
chasmichthys golosus 학명 c. dolichognathus
gluttonous goby 영명 longchin goby
도로메(泥目;ドロメ) 일본명 아고하제(顎沙魚;アゴハジゼ)
망둥어·꼬시래기 방언 망둥어·꼬시래기
10∼25cm 크기 7cm
·몸은 원통형이며 머리는 종편돼 있다.
·전체적으로 회색 또는 회녹색을 띠며 짙은 녹청색점과 흰색점이 산재돼 있다.
·꼬리지느러미 가장 자리는 옅은 황록색이며 반점이 없다.
·등·뒷지느러미는 회녹색으로 거의 반점이 없거나 흰점이 흩어져 있다.
·배지느러미는 흡반형이다.
·입이 매우 크다.
형태 ·체형은 별망둑과 매우 유사하다.
·몸은 바탕이 회백색이며 폭넓은 갈색 가로띠들이 있고, 작은 흑갈색점이 산재해 있다.
·등·꼬리지느러미 위에는 검은색 점들이 평행으로 가로띠 무늬를 나타내고 있다.
·꼬리지느러미 기저 위에 커다란 검정색 점이 있다.
·배지느러미는 흡반형이다.
·입이 매우 크다.
-제1등지느러미 (D1). Ⅵ
-제2등지느러미 (D2). Ⅰ, 10∼11
-뒷지느러미 (A). Ⅰ, 9∼10
지느러미줄기수 -제1등지느러미 D1. Ⅵ
-제2등지느러미 D2. Ⅰ, 10
-뒷지느러미 A. Ⅰ, 9∼10
동남부 연안의 조간대, 조수 웅덩이,일본 동북지방 이남 연안 분포 동남부 연안의 조간대, 조수웅덩이,일본 북해도 남부지방 이남의 연안
출처 : 일 묵 [一墨]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랑어  (0) 2008.07.27
[바다] 보리멸   (0) 2008.07.27
[바다] 벵에돔   (0) 2008.07.27
[바다] 벤자리   (0) 2008.07.27
[바다] 베도라치   (0)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