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바다] 밴댕이

영지니 2008. 7. 27. 21:27
밴댕이   
 

밴댕이


반지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소]

●표준명 : 밴댕이
●학명 : Sardinella zunasi
●영명 : big eyed herring, shad, scold sardine
●일본명 : 삿빠(サッパ)

'밴댕이 속', '밴댕이 소갈머리'란 말이 있다. 고집이 강하며 제 성질조차 이기지 못하고 쉽게 흥분하다가 쉽게 포기해버리는 성질을 가진 자를 일컬어 하는 말이다. 이렇게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붙어 있는 밴댕이란 이름은 사실은 알고 보면 몇몇 어종의 방언까지 포함하고 있다. 인천·안산을 비롯한 서해 지방에서는 '밴댕이젓', '밴댕이회'가 유명한데, 실제 밴댕이가 거래되고 있기도 하지만 경기도 지방에서 밴댕이라 불리우는 종은 사실은 밴댕이가 아니고 표준명이 '반지'라고 하는 다른 어종이다.

●이름
밴댕이는 학명이 Sardinella zunasi이며 지방에 따라 반댕이·빈징이·순뎅이·뒤파리·뛰포리·띠푸리·청띠푸리란 이름을 갖고 있다. 한편, 경기도 지방에서 밴댕이라 불리우는 종은 표준명이 '반지(학명:Septipinna taty)'라는 어종이 대부분 상품으로 취급되고 있다.

반지는 밴댕이와는 달리 멸치과(科, Engraulidae)에 속하는 어종이지만 그 형태가 밴댕이와 유사하고 연안 수산자원으로 옛부터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반댕이·밴댕이·고소어(자산어보)·반당이 등 밴댕이와 유사한 방언을 갖고 있는 종이다. 따라서 이 두 종은 지방에 따라 이름이 혼동하여 쓰이고 있다. 즉, 경기도·충청도에서는 반지를 대부분 밴댕이란 종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경남지방에서는 밴댕이를 띠푸리·띠포리란 방언으로 취급하고 있다.

밴댕이의 종명인 zunasi는 일본 큐우지방에서 전어의 새끼를 쓰나시(ツナシ)라 부르고 있는 것을 최초 명명자가 밴댕이를 처음 기재할 때 잘못 붙인 것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이와같이 옛부터 밴댕이·전어·정어리·이와치 등 청어과에 속하는 어종들은 서로 외부 형태가 매우 비슷하여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 비슷한 이름으로 혼돈하여 불리워 왔음을 알 수 있다.

영명은 '눈이 큰 청어'란 뜻인 big eyed herring 외에 shad, scold sardine 이란 이름을 갖고 있다. 일본명은 삿빠(サッパ)이며 어린 새끼는 지방에 따라 이 종의 종명인 주나시(ジュナシ)라고 부르기도 한다.

●특징
몸은 매우 납작한 편이며 배 정중선 위에 강하고 날카로운 모비늘(稜鱗)이 발달하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어시장에 나와 있는 밴댕이는 몸집이나 비늘, 체색 등으로 보아 멸치와 유사하지만 멸치보다 휠씬 납작하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긴 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몸은 전형적인 멸류의 색을 띠는데 등은 청흑색·청록색이며, 체측과 배는 은백색이다.

주둥이는 위턱보다 아래턱이 돌출되어 청어의 입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위턱은 약간 패어 있고, 아래턱과 혀 위에 한줄의 작은 이빨들이 발달해 있다. 비늘은 크고 얇지만 다른 유사한 어종에 비해서는 밀착되어 있는 편이다. 크기는 약 15cm 정도의 소형어에 속한다.

●분류·분포
밴댕이는 청어목(目, Clupeiformes), 청어과(科, Clupeidae)에 속한다. 청어과에 속하는 어종은 청어·전어·눈퉁멸·정어리·밴댕이를 포함하여 우리나라 연안에서 10종이 기재되어 있다. 이 종은 우리나라 서남해안 연안의 내만에 대량 서식하고 있으며, 일본 북해도 이남·중국·필리핀 연안에도 서식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종은 인천을 비롯한 경기도 지방에서 '밴댕이 젓갈'로 유명한 반지와 혼돈되고 있는 종이다. 밴댕이와 반지는 입 크기, 지느러미 위치, 체색 등의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다(그림1). 반지는 우리나라 서남해안, 특히 목포에서 인천 사이 해역에서 흔하며, 중국·동인도제도·인도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종으로 가슴지느러미 위 연조가 실모양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점, 뒷지느러미 기부가 등지느러미 기부보다 앞쪽에 위치하는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또, 밴댕이의 입이 작고 위쪽으로 향한데 비하여 반지는 입이 매우 커서 위턱 끝이 눈보다 훨씬 뒤쪽에 달하며 등이 회흑색, 배는 약간 누른빛을 띤 백색으로 체색으로도 밴댕이와는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어린 새끼 때에는 다른 청어·멸류와 마찬가지로 형태가 비슷비슷하여 구분이 힘들다. 특히 밴댕이의 새끼는 전어 새끼와 매우 유사한 외부 형태를 갖고 있다. 전어는 후기자어기(6mm 전후)에 몸의 꼬리부분 등쪽과 배쪽에 몇 개의 흑색 소포가 있는 것이 특징인데, 밴댕이는 이 시기에 등쪽에는 흑색소포가 없고 배쪽에만 나타나기 때문에 두 종의 어린 새끼를 구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런 분류 형질은 어디까지나 실험실 현미경 아래에서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만약 바다 위에서 청어·멸치과 어종들의 치어를 보았을 때에는 종 동정이 실로 어렵다.

식품 성분상으로는 밴댕이가 근육 100g당 단백질 16.3%, 지방 16.5%, 열량이 215Kcal로서 멸치(단백질 21.6%, 지방 1.8%, 열량 103 Kcal)보다 지방이 많고 열량이 높은 종임을 알 수 있다(수진원. 1990).

●생태
외해에 면한 내만 모래바닥에 많이 서식한다. 봄부터 가을까지는 수심이 얕은 만이나 하구 부근에 머물다가 겨울이 되면 수심이 20∼50m인 연안, 만 중앙부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밴댕이는 담수의 영향을 받는 하구 부근에 자주 출현하며 산란기는 6∼7월 사이로 알려져 있다.

산란기가 되면 하구 부근이나 연안의 얕은 곳으로 몰려나와 산란하는데 산란 시각은 오후 3시부터 5시 사이로 알려져있다. 암컷은 8.5cm, 수컷은 그보다 조금 작은 7cm 크기에 성숙하기 시작한다. 수정난은 구형 분리 부성난으로 지름이 1.8mm이고, 지름이 0.2mm인 유구를 한 개 갖고 있으며 난황에는 거품같은 무늬가 있다. 수정난은 수온 17℃ 전후에서 수정 후 약 45시간만에 부화한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이 2.7mm이며 항문이 꼬리 끝에 가까운 몸 후반부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부화 후 5일만에 전장이 5.6mm가 되면 난황을 흡수한다. 18mm 크기로 자라면 등·뒷지느러미가 완성되고 항문은 앞쪽으로 이동해 있다. 이 시기의 후기자어는 전어와 매우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으며 꼬리의 흑색소포가 배쪽에만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몸길이가 25mm로 자라면 치어기에 달하며, 등지느러미가 앞쪽으로 이동하여 성어와 거의 같은 위치에 자리잡으며 배쪽 정중선 위에는 모비늘이 출현한다(그림2). 27mm 크기로 자라면 등이 청록색을 띠며 거의 성어와 유사한 체형을 갖게 된다.

●식성·성장
밴댕이는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 플랑크톤 식성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갯지렁이·새우 등 육식성 먹이도 먹는다. 성장에 대해서는 자세한 자료가 없다.

●낚시
몸이 작고 입이 작은 밴댕이를 낚으려는 사람은 없다. 오히려 낚으려고 마음을 먹으면 만나기도 어려운 종일 수도 있다. 단지 연안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다보면 가끔 만날 수 있는데 특히 작은 바늘에다 곤쟁이·새우살 미끼를 쓰는 학공치낚시나 망상어낚시에서 손님고기로 낚을 수 있는 어종이다. 어쩌다 작은 입으로 미끼를 물었을 때는 반짝이는 몸매를 비틀며 올라와서는 밴댕이라는 별명에 맞게 몸을 떨다가 금새 숨을 거두고 만다. 그래도 바다의 표층을 활발하게 누비는 종답게 등이 푸르고 몸은 은빛이 강하여 깔끔한 외모를 한참동안 잃지 않는 점은 매력이 있다.

경남 지방에서 뛰포리라 불리우는 밴댕이는 주로 멸치와 함께 건어물점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5∼12cm 크기가 흔하며 납작한 형태로 쉽게 눈에 띄며 멸치와 마찬가지로 국물을 우려내는 재료로 쓰인다. 그러나 경기도에서 밴댕이 젓·밴댕이회로 유명세를 날리고 있는 종은 앞에서 설명한대로 반지라는 전혀 다른 종이다. 두 종을 같이 놓고 보면 밴댕이가 휠씬 더 날씬하고 예쁘다. 아무튼 밴댕이란 이름을 날리고 있는 반지 역시 서해안에서는 유명한 어종이 되었지만 자신의 이름을 찾기에는 소비자들에게 밴댕이란 이름이 너무 친숙해져 있어 안타까움을 더 한다.

밴댕이 표준명 반지
Sardinella zunasi 학 명 Setipinna taty
big eyed herring, shad, scold sardine 영 명
삿빠(サッパ) 일 명 쯔마리에쯔(ツマリエツ)
반댕이, 반징이, 순뎅이, 뒤파리, 뛰포리, 뛰푸리, 청띠푸리 방 언 반댕이, 밴댕이, 고소어(자산어보), 반당이
15cm 크 기 20cm
· 몸은 매우 납작한 편이며 등이 청흑색, 청록색이고 체측과 배는 은백색이다.
· 주둥이는 청어를 닮아 위턱보다 아래턱이 길고 입이 작다.
· 배지느러미가 등지느러미 아래에 위치하며 비늘은 크로 둥글다.
형 태 · 몸은 납작하며 등쪽은 흑회색, 배는 약간 노란빛을 띤 흰빛이다.
· 주둥이는 멸치와 닮아 위턱이 아래턱보다 길며 위턱 뒤끝은 눈보다 휠씬 뒤에 달한다.
· 배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보다 앞쪽에 위치하며 뒷지러미보다 등지느러미 아래에서 시작하여 꼬리에 이른다.
등지느러미(D). 17-19
뒷지느러미(A). 18-20
지느러미
줄기수
D. 13-14
A. 51-56
우리 나라 남서부 연안, 일본 북해도 이남, 동중국해, 필리핀 연안 분 포 우리나라 서남 연안, 중국 연안, 동인도 제도, 인도 연안
출처 : 일 묵 [一墨]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 베도라치   (0) 2008.07.27
[바다] 범돔   (0) 2008.07.27
[바다] 방어   (0) 2008.07.27
[바다] 쏨뱅이   (0) 2008.07.27
[바다] 쑤기미   (0)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