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민물] 끄리

영지니 2008. 7. 27. 17:36
 끄리   
 

끄리


끄리의 수컷(위)와 암컷(아래)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소]

●표준명 : 끄리
●학명 : Opsariichthys bidens
●방언 : 치리·날피리·꾸리·밀치어
●일본명 : 고라이하스(コライハス)
●영명 : korean piscivorous chup

사람의 인상을 보면 대개 그 사람의 성격을 점칠 수 있다하여 관상학이 생겨났다. 물속에서 살아가는 물고기들도 대개 자신이 살고 있는 주위환경이나 생태적 습성에 맞추어 몸빛이나 생김새를 적응시켜 왔기 때문이 어종에 따라 각각 특징있는 생김새와 체색을 가지고 있다.

생김새는 맑은 호수나 강에서 빠르게 헤엄치는 피라미나 갈견이처럼 생겼으나 입이 무척 커서 한눈에 작은 물고기들을 포식하며 살아가는 종이란 것을 알아볼 수 있는 담수어가 있다. 아래로 크게 휘어져 다물고 있는 큰 입이 성질이 흉폭함을 나타내고 있는 끄리가 바로 그종이다.

●이름
끄리는 상당히 많은 방언을 갖고 있는 담수어 중의 하나이다. 지방에 따라서 바디끄리(수컷)·초끄리(암컷)·어해·어휘·날티·날피리·강치리·꽃날치·밀치어·꾸리·치리·칠어 등으로 불리우고 있다. 서유구의 「전어지」에서는 칠어(漆魚)로 나오며 ‘치리’나 ‘어희’로 부르기도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최, 1976). 옛부터 끄리는 치리란 이름으로 불리우는 곳이 많았고 생김새나 표층을 헤엄치며 작은 고기를 쫓는 모습을 보고 날치·날피리 등의 이름이 붙여졌던 것 같다.

학명은 Opsariichthys bidens이며 속명인 Opsariichthys는 ‘작은 물고기’를 뜻한다. 영명은 ‘korean piscivorous chup’, ‘notch jow’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끄리의 특징이나 입의 생김새를 강조한 이름을 갖고 있다. 중국에서는 끄리의 입 모양이 말과 비슷하다 하여 ‘마구어(馬口魚, Opsariichthys uncirostris bidens)’로 부르고 있다.

일본에는 우리나라의 끄리와 형태적 형질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 끄리가 있는데, ‘하스(ハス, O. uncirostris)’로 부르고 있고 우리나라의 끄리는 ‘고려의 끄리’란 뜻으로 ‘korai-hasu(コライハス)’로 부르고 있다(아종으로 취급하는 학자도 있다).

●특징
끄리의 특징은 뭐니뭐니 해도 갈구리 모양으로 휘어진 커다란 입이다. 입의 모양이 앞에서 보면 ‘凸’자형, 옆에서 보면 낫모양이나 갈구리모양(파도모양)으로 크게 휘어지고 매우 커서 위턱의 뒤끝이 눈에 이른다. 목은 매우 측편한 형이고 전체적인 모습은 피라미와 닮아 있으며, 눈이 작고 주둥이는 긴 편이다. 몸 빛은 등쪽이 암갈색, 배쪽은 은백색으로 맑은 수역의 표층·중층을 유영하는 피라미형의 전형적인 색체를 띠고 있다.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가 거의 같은 기점에서 시작되며 피라미·갈견이와 마찬가지로 뒷지느러미의 1∼4줄기가 길게 연장되어 다른 지느러미에 비하여 매우 길다.

●분포·분류
끄리는 잉어목(目), 잉어과(科, Cyprinidae), 황어아과(亞科, Leuciscinae)에 속한다(분류체개는 韓國淡水魚圖鑑(1990)에 따름). 끄리는 특징있는 입의 생김새를 제외하고는 전형적인 피라미형 어류라 할 수 있겠다. 피라미·갈견이 등과 함께 황어아과에 속하며 옆줄이 완전한 점(아가미 뒤에서 꼬리지느러미기부까지 끊어짐 없이 옆줄 구멍이 있음), 옆줄이 가슴지느러미 뒷부분 근처에서 크게 아래로 휘어져 내려가는 점, 입수염이 없는 점, 뒷지느러미가 큰 점 등의 공통된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런 특징 외에 끄리는 주둥이의 길이나 입의 생김새로 피라미·갈견이와 구별할 수 있다. 끄리는 피라미나 갈견이에 비해 주둥이(입 끝에서 눈 앞까지의 거리)가 긴 편이며 주둥이 끝에서 시작되는 입은 물결 모양으로 휘어져 눈 앞까지 이른다(<표 1> 및 <그림 1> 참조).

끄리는 큰 물에서 살아가는 어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낙동강에서 압록강에 이르는 서·남해안의 큰 강과 그 주변 수역에 널리 분포한다. 그밖에 만주·중국·대만에 서식하고 있다.

일본에는 ‘하스’라 불리우는 O. uncirostris가 있으며 외형적으로는 우리나라의 끄리와 거의 같다. 단지 측선 비늘수가 일본산은 50∼59개(45∼54개, 三方湖), 우리나라산은 43∼45개(정, 1977;46∼48, 최등 1990)로 우리나라산 끄리의 측선 비늘수가 적은 점이 차이이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일본산과 다른 종으로 취급해 왔지만 비늘수의 차이만으로 별종으로 취급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어 지역 개체군 또는 아종, 품종 수준에서의 재확인 작업을 거쳐 실제 다른 종인지 아니면 같은 종, 아종인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태
끄리는 큰 호수나 하천의 넓은 수역에서 활발히 헤엄치면서 살아가는 종으로 성질이 흉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끄리가 ‘큰 물에 사는 고기’로 알려져 있을 만큼 큰 하천이나 댐에서 주로 서식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먹이가 되는 작은 물고기들의 공급되는 대형 수면이나 그에 이어지는 하천 수계에서 성장·번식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태어난 지 3년이면 성숙하며(빠른 놈은 2년이면 성숙) 산란기는 지방이나 서식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주로 5∼7월 사이이다. 한여름에는 치어들을 볼 수 있다. 산란기가 되면 잉어과 어류에서 볼 수 있는 혼인색(婚姻色)과 추성(追星)이 나타나는데 수컷의 머리·배·각 지느러미 위에 옅은 적자색의 혼인색이 나타나고 등은 청자색을 띠며, 머리·꼬리자루·뒷지느러미 위에 수많은 적은 돌기 모양의 추성이 나타난다. 그외 산란기가 되면 수컷의 뒷지느러미는 크고 길게 연장된다.

수컷이 산란기에 이럼 형태, 체색의 변화를 수반하는데 비해서 암컷에선 이같은 변화를 거의 볼 수 없다(<그림 2> 참조). 암수의 형태는 산란기가 아니더라도 조금의 차이를 갖고 있는데 뒷지느러미의 크기나 기부 시작 위치가 다르다. 끄리 수컷의 뒷지느러미는 암컷보다 크며, 기부는 눕힌 등지느러미의 뒤끝보다 약간 앞쪽에 있는데 비해 암컷의 뒷지느러미 기부는 수컷보다 약간 뒤쪽에 위치한다.

끄리는 작은 물고기를 잡아 먹고 살기 때문에 성어의 유영은 매우 활발한 편이며, 놀랐을 때는 수면 위로 튀어오르는 습성을 갖고 있다. 산란장은 바닥에 잔자갈이 깔린 곳이다. 수컷들은 암컷을 차지하기 위하여 싸움을 벌이기도 하며, 이런 싸움에서 이긴 수컷은 조용히 바닥 근처에서 기다리고 있던 암컷과 만나 방란·방정하게 된다.

8월이면 크기가 4∼8cm정도인 끄리 새끼들이 피라미 새끼들과 섞여서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때는 이미 끄리 특유의 입모양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피라미 새끼와는 구별된다.

끄리는 하천에서 살아가는 물고기치고는 몸집이 큰 편이며 식성 또한 작은 물고기·수서곤충·새우류 등 움직이는 동물성 먹이를 포식하기 때문에 양어지에 튀어 들어갔을 경우에는 치어들을 닥치는 대로 잡아 먹을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식성·성장
끄리는 잉어과 어류 중에서 유일하게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종류이다. 붕어·잉어·초어·납자루·누치·마자 등 잉어과에 속하는 어류는 일부 어류를 먹기도 하지만 대부분 초식 또는 잡식성이고 성질이 온순한 편이지만 끄리는 성질이 급하고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독특한 식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식성의 끄리들도 알에서 깨어난 후 자치어기(子稚魚期)를 지날 때에는 플랑크톤 식성을 나타내어 주로 물벼룩을 먹는데 몸 길이가 7cm정도로 자라면 작은 물고기들을 잡아 먹기 시작한다. 18cm 이상의 크기에선 소화관 내부에서 확인되는 먹이 생물 중 90% 이상이 물고기일 정도로 육식성이면서도 어식성(魚食性)이 강하다. 이러한 식성의 특징은 끄리가 갖고 있는 독특한 큰 입과 그 생김새에서도 알 수 있다. 끄리는 물고기 외에 수서곤충·새우 등도 탐식한다.

끄리는 태어난 지 1년만에 8∼10cm, 2년만에 12∼15cm, 3년만에 18∼21cm, 4년만에 25∼28cm의 크기로 성장한다. 끄리의 성장은 먹이나 수온과 같은 환경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본산 끄리는 우리나라의 끄리보다 성장이 늦어 생후 1년만에 6∼7cm, 2년만에 12∼14cm, 3년만에 16∼20cm, 4년만에 22cm, 5년만에 24cm 정도로 자란다. 즉, 우리나라 끄리에 비하면 약간 소형이라 할 수 있겠다.

우리나라 수계에 서식하는 끄리는 20∼30cm급이 보통이며 30cm이상급도 흔한 편으로 하천에 살고있는 어종 중에서는 대형급이라 할 수 있겠다. 조선어류지(朝鮮魚類志, 1939)에 보면 봄철 4월경이면 압록강·대동강 하류에서 몸 길이 7∼9cm 정도인 새끼들이 채집되었던 반면 일본 비파호(琵琶湖)의 끄리는 1년만에 6∼7cm 정도밖에 자라지 못하여 지역간, 품종간에 성장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낚시
우럭낚시에서 낚이는 노래미, 감성돔낚시에서의 볼락·망상어·쥐치, 돌돔낚시에서의 흑돔과 같이 주 대상어종은 아니면서도 나름대로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어종을 ‘손님고기’로 취급하고 있는데, 끄리 역시 쏘가리를 주 대상어로 노리는 강 루어낚시에서 손님고기로 취급되어 온 어종이라 할 수 있다. 루어낚시의 최고 대상종은 역시 쏘가리라 할 수 있겠지만 끄리는 쏘가리 낚시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어종으로, 특히 쏘가리 산란기인 6, 7월에 쏘가리 대신 손맛을 더해줄 수 있는 어종이다.

끄리의 낚시 대상어로서의 맛은 독특한 몸놀림에 있다. 즉 성질이 급하기 때문에 일단 낚시에 걸려서 놀라게 되면 물속에서 움직임이 매우 강해지며 때로는 물위로 뛰어 오르기도 하여 그야말로 회이팅이 넘치는 어종이라 할 수 있다.

끄리낚시는 루어·털바늘낚시·대낚시 등으로 다양하개 즐길 수 있는데 생미끼를 사용할 경우에는 지렁이·미꾸라지·송사리 등의 새끼고기·구더기 등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양댐·충주댐과 같은 대단위 댐에서는 떼를 지어 회유하는 끄리를 쉽게 만날 수 있으며 한강·금강·임진강·영산강·낙동강 등지의 강계에서도 만날 수 있어 전문적인 끄리낚시에 대한 연구와 함께 조림·소금구이와 같은 요리법의 개발도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표1> 끄리, 피라미, 갈견이의 비교
국명 끄리 피라미 갈견이
학명 Opsariichthys bidens Zacco platypus Z. temmincki
영명 korean piscivorous chup common minnow dark chup
일본명 고라이하스(コライハス) 오이가와(オイカワ) 가와무쯔(カワムツ)
방언 치리·날피리·꾸리·밀치어등 피리, 불거지, 참피리등 산피리, 갈피리, 왕피리등
크기 30cm이상 20cm 20cm
형태 · 입이 대단히 크고, 다문 입은 물결모양(낫, 갈구리)이다.
· 몸은 측편되어 있다.
· 산란기의 수컷은 초록빛의 희미한 가로무늬가 있다.
· 눈은 작은 편이고 머리 중앙보다 조금 앞쪽에 위치, 주둥이가 길다.
· 옆줄비늘수는 40∼48개
· 입이 작다.
· 몸은 길고 측편된 편이며, 뒷지느러미가 크다. 가로무늬를 갖고 있다.
· 눈이 갈견이보다는 작은 편이고 붉은 점이 있다.
· 옆줄비늘수는 43∼46개
· 입이 작다.
· 체형은 피라미와 비슷하며 가로무늬가 없고 몸 옆면에 검푸른색의 세로띠가 있다.
· 눈이 큰편이다.
· 비늘이 작다.
· 옆줄비늘수는 52∼55개
분포 중국, 대만, 일본*, 우리나라 서·남해로 흐르는 강계 우리나라 전 하천, 중국, 일본, 대만 등 우리나라 전 하천, 일본 혼슈 중부이남, 중국, 대만
지느러미식 등지느러미(D).Ⅲ,7
뒷지느러미(A).Ⅲ,9
D.Ⅲ,7
A.Ⅲ,9
D.Ⅲ,7∼8
A.Ⅲ,9∼10
*일본의 하스(ハス)와 끄리는 분류학적 재검토 필요
출처 : 일 묵 [一墨]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물] 강준치   (0) 2008.07.27
[민물] 꺽지   (0) 2008.07.27
[민물] 누치   (0) 2008.07.27
[민물] 돌고기   (0) 2008.07.27
[민물] 동사리   (0)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