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초
전국의 깊은 산 산지 습한 곳 그늘에서 자라며 행복과 장수를 상징하는 꽃으로 이른봄 가장 일찍 새봄을 알려 주며 낮에 빛이 있어야만 윤기로 반짝이는 꽃잎을 펼쳐 낸다.
1~5월에(내륙:3~5월) 보통 원줄기 끝에 1개씩 화려하게 꽃을 피우고 잎은 어긋나며 세모진 넓은 계란형으로 2회 깃 모양으로 잘게 갈라진다.
뿌리는 복수초근이라 하여 강심배당체가 들어 있어 강심작용을 한다.
심장판막증에는 복풀(복수초),황기를 1 : 2의 비율로 섞어 가루내어 한 번에 6 ∼ 9g씩 하루 3번 먹는다.
심장병이 있어 가슴 두근거린 때는 복풀 말린 것 6g을 200ml 물에 넣고 끓인 물을 하루 3번 마신다.
황정
황정은 그 성질이 평(平)하고 맛은 달다.
주로 비경(脾經)과 폐경(肺經)에서 작용을 해 비장을 보하고 폐를 윤택하게 한다.
비장과 위장의 기허증(氣虛症)이나 온몸이 나른하고 무기력한 증상을 완하시킨다.
또, 폐질환에 의한 객혈이나 병후의 허약증에도 효과가 있고 특히 근육과 뼈의 무력증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며, 풍습에 의한 통증을 치료하기도 한다.
현대 약리학 연구에 의하면 황정에는 다당(多糖), 아미노산, 니코틴산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함유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성분은 인체의 영양상태를 개선하고 면역력과 혈관의 유연성을 높이는데에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들이다.
근래에 이르러서는 황정이 고혈압이나 관상동맥, 심장병, 백혈구 감소증, 재생불량성 빈혈 등의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그 치료에 응용되고 있다.
이는 심혈관 질병과 당뇨병에 대한 뚜렷한 예방과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신경을 자양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주목을 받고 있다.
강심작용이 있다.
(뿌리, 잎, 꽃, 열매를 다 쓴다)
황정은 노화방지 작용이 뛰어난 약재이다.
특히 구기자와 배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구기자는 간장, 신장을 보하고 정력을 복돋워주는 효능이 있다.
심장 판막증에는 15 ~ 20g을 물에 끓여서 먹는다.
노화방지와 머리칼을 검게 하려면 황정 50g, 구기자 50g을 끓여서 차처럼 수시로 마신다.
천궁
우리나라 한랭한 산간지방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강한 방향을 풍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60cm 정도이며 속이 비여 있다.
잎은 어긋 달리고 질은 두꺼우며 연녹색으로 2,3회의 날개깃 모양의 복엽이다.
갈라진 작은 잎은 난형이거나 약간 길쭉한 난형으로 깊게 갈라지고, 끝이 날카롭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줄기를 감싸안고 있다.
8,9월경에 가지 끝에 복산화서로 백색의 잔잔한 꽃이 평면으로 무리지어 총총이 핀다.
열매는 열리지만 성숙하지 않는다.
땅속에 있는 덩어리 형태로 된 줄기뿌리를 천궁이라 하고 약용으로 하는데 짙은 방향을 풍긴다.
한방에서는 보혈, 활혈, 정혈제로 부인병에 많이 쓰는 대표적인 약재이다.
또 진통, 진정제로도 효과가 우수하여 두통, 어지럼증, 빈혈 등에 쓰고 강장약으로도 효과가 뛰어나다.
천궁은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약으로 체내에 있는 악혈을 빨리 운반해서 없애고, 강한 살균작용으로 외과질환도 빨리 치유하며, 자궁수축 작용으로 산후에 피를 멎게 한다.
식물 전체에 쿠마린, 만니톨이 있고, 뿌리에 정유 1~2%(크니딜리디,네오크티딜리드, 리쿠스틸리드, 천궁산, 부틸푸탈리드, 천궁산에스테르 등)가 있다.
천궁의 크니딜리드 등은 천궁의 고유한 냄새 성분으로 점막충혈작용이 있습니다.
정유는 실험동물의 뇌를 약하게 마비시키고 혈압을 낮추고 운동마비 등을 일으키는 독성물질입니다.
중추신경장애를 정상으로 회복시킵니다.
이런 성질은 사람에게 있어서 진통, 진정작용으로 나타납니다.
혈압을 내리고 말초혈관을 확장시킵니다.
두통에는
쌀 씻은 물에 담갓다가 말린 것을 가루내어 꿀과 4 : 6 비율로 재웠다가 6 ∼ 8g씩 하루 세번 먹는다.
어지러우면서 머리가 아픈 신경쇠약증으로 오는 두통에도 좋다.
천궁, 천마를 같은 양으로 만들어 먹어도 좋다.
월경 과소증에는
천궁을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말려 가루내어 한 번에 8g씩 식전에 물에 타서 먹는다.
협심증에는
천궁 ' 잇꽃을 각 10 ~ 15g을 달여 하루 2 ` 3번 나누어 식후에 먹는다.
충농증에는
연근의 마디와 천궁을 약한 불로 말려 만든 가루를 한 번에 7g씩 매일 식후에 미음이나 끓인 물로 계속 먹는다.
'증상별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상별약초종류 (0) | 2008.01.23 |
---|---|
복령/황련/익모초 (0) | 2008.01.20 |
시호/별꽃/지치 (0) | 2008.01.20 |
속단/등대풀/쇠무릎 (0) | 2008.01.20 |
익지인/ 회향 / 석곡 (0) | 2008.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