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와효능

취나물종류

영지니 2008. 1. 24. 21:56



취나물의 종류

과명:국화과

학명:Aster scaber THUNB

한명:동풍채근(東風菜根), 산백채(山白寀), 백지초(白之草)

 

취나물은 대부분 국화과에 속하며 100여종이나 되며 우리나라 자생종은 60여종이고 식용이 가능한 것은 24종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취나물은 참취, 개미취, 각시취, 곰취, 미역취, 가얌취, 수리취 등이 있는데 그중에서 참취가 향기가 독특하고 수확량이 많기 때문에 농가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취나물은 맛과 향기가 뛰어나고 탄수화물, 비타민 A 등 다양한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어 묵나물, 튀김, 부침용으로 이용되며 감기, 두통, 진통, 해독, 항암 등에 효과가 있어 한약재로도 이용된다.

 

넘취는 강원도 고산지대에서 알려지는 고급 산채의 이름으로 일부 식물도감에는 ‘한대리 곰취’로 명명돼 있다.

모양이 일반 곰취와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잎과 줄기가 크고 7~9월에 노란 꽃이 피는 등 희귀 식물로 알려져 있다.

 

 

참취

참취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취나물 또는 나물취라 불린다.

'취'는 우리나라의 산야에서 흔히 볼 수 있으나, 물 맑고 깨끗한 강원도 산야에서 자라는 취나물을 최고의 상품으로 꼽는다.

산야의 취나물 잎과 줄기는 솜털로 덮여 손으로 만지면 다소 꺼칠한 느낌이다.

'취' 중에서 식용으로 이용되는 것은 곰취와 참취가 있다.

산나물중에서 취나물의 생산량이 제일 많고 취나물이 식용으로 가장 많이 애용되고 있다.

산야에서 뜯은 그대로의 생채로 이용되는 것은 곰취와 참취인데, 독특한 향기로 입맛을 사로잡는다.

 

 

곰취

곰취는 지방에 따라 웅소나물이라 부르기도 하고 태소라고도 한다.

곰취는 국화과의 쌍떡잎식물로 잎이 발달한 다년초로서 산채류중세서 드물 게 날 것으로 먹을 수 있는 귀한 산나물의 하나이며, 히말라야로부터 중국, 시베리아동부, 한국, 일본에 널리 분포한다.

우리나에는 전국에 걸쳐 깊은 산중의 나무 밑이나 습하고 비옥한 토지 및 산골짜기 등의 계곡에서 자란다.



미역취

미역취는 주로 식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약리효과도 있어 한약재의 재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관상용으로서의 사용가치도 있어 화단, 생화 등 다용도로 개발가치가 유망시되는 작물이다.

개미취

벌개미취

 

바위취

 

단풍취

 

 리취

 

 

 

 

 


'약초와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란  (0) 2008.01.24
당귀  (0) 2008.01.24
애기똥풀  (0) 2008.01.24
줄풀  (0) 2008.01.24
작약꽃  (0) 2008.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