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돌가자미(도다리)

영지니 2008. 7. 27. 23:32
돌가자미(도다리)   
 

돌가자미


넙치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소>

●표준명 : 돌가자미
●방언 : 도다리, 돌가재미, 이시가레이
●學名 : Kareius bicoloratus
●英名 : Stone flounder, Hard-swelling dab
●日名 : 이시가레이(イシガレイ)

※유사어종
●표준명 : 넙치
●방언 : 광어
●學名 : Paralichthys olivaceus
●日名 : 히라메(ヒラメ)
●특징 : 정면으로 놓고 마주보았을 때 도다리를 포함한 가자미류와는 반대로 두 눈이 왼쪽으로 쏠려 있고, 이빨이 있고 입이 큰 것이 가자미류와는 다른 점이다.

●표준명 : 도다리
●방언 : 가재미, 도다리
●學名 : Pleuronichthys cornutus
●日名 : 메이타가레이(メイタガレイ)
●특징 : 일반 가자미처럼 두 눈이 오른쪽으로 쏠려 있되, 체고가 더욱 높고 매우 작은 둥근비늘이 있는 것이 다른 가자미류와 다른 점이다.

강가에서 낚시를 해 보면 길쭉하게 생긴 피라미, 통통하게 생긴 피라미, 노랑 피라미, 검정 피라미, 입 큰 피라미, 입 작은 피라미 등 엄청난 종류의 많은 '피라미'를 보게 된다. 이것은 강에서 물고기를 잡거나 구경하게 되는 우리들이 쏘가리·붕어·잉어·메기 등 주 대상어종을 제외한 기타 작은 물고기들을 몽땅 피라미라고 적당히 부르는 때문이다.

바다에 살고 있는 낚시 대상어 중에서도 이처럼 여러 종류의 물고기를 한 가지로 싸잡아 부르는 이름이 있다. 동해·남해·서해의 각 포구나 시장·횟집 등에서 불리우고 있는 '도다리'가 바로 그 고기인데, 도다리란 이름은 표준명이 도다리인 종 이외에 돌가자미·문치가자미·참가자미·층거리가자미·각시가자미 등 비교적 크기가 작은 가자미류들까지 모두 포함해 잘못 부르고 있는 사례가 많은 실정이다.

●이름
가자미류를 포함하는 붕넙치과(Pleuronectidae)는 몸이 측편되었다는 뜻의 'pleuron'과 헤엄친다는 뜻의 'nektes'란 그리스어의 합성어로 '몸이 납작하고 헤엄치는 무리'란 뜻이다. 또한 가자미류를 일컫는 일본명인 '카레이(カレイ)'는 '깨어진 한 조각'이란 뜻의 'かたわれい'란 단어에서 유래하였다는 설과 '심카라에이(からえ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카라에이'란 말은 '조선 남부 해역에서 많이 나고 가오리보다 맛이 있는 고기' 또는 '조선 근해에서 많이 나는 가오리와 같이 납작한 고기'란 뜻으로 해석된다.

이번에 소개하는 돌가자미는 서해안과 남해 추자도 등지에서 흔히 '도다리'라고 불리우며, 그외 지방에 따라서 돌가재미·세피가재미라고도 불리우는데, 일본명 그대로 '이시가레이(イシガレイ)라 부르는 곳도 있다. 이에 비해 진짜 도다리(Pleuronichthys cornutus)는 흔히 통칭되는 방언과는 달리, 그 크기와 습성·생태에 있어 다른 가자미류와 뚜렷이 구별되는 별개의 다른 종이며, 여러 종을 자주 접하는 어민들의 경우 한 눈에 구별할 수 있을 만큼 형태도 다르다(사진 참조).

아무튼 돌가자미는 학명이 Kareius bicoloratus이며 영명으로는 Stone flounder이다. 이같은 영명이나 일본명은 우리 나라의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돌가자미의 눈이 있는 쪽에 돌과 같이 단단한 골질판이 2~3줄로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는 특징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특징
옛부터 '눈을 자주 흘기면 가재미 눈이 된다'고들 하였다. 이처럼 가자미류의 특징은 넙치와 서대류와 마찬가지로 몸의 좌측이나 우측 어느 한 쪽에 두 눈이 쏠려 존재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눈이 존재하는 쪽 몸의 빛깔은 서식처와 잘 조화된 색으로 변화해 있으며, 반대로 눈이 없는 쪽은 대부분 흰빛이다.

눈의 위치는 분류 그룹을 구분하는데 큰 특징이 된다. '오른 눈 가자미, 왼 눈 넙치(광어)'라는 말처럼 가자미류는 몸의 오른쪽에, 그리고 넙치는 왼쪽에 두 눈이 위치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두 눈이 있는 몸체를 바로 놓고(흰 쪽을 바닥에 대고 등을 위로 향하게 놓은 모양), 그것을 정면으로 마주보았을 때 머리가 오른쪽을 향하면 도다리를 포함한 가자미류이고, 머리가 왼쪽을 향하면 넙치류로 보면 된다. 그러나 한 가지 가자미류 중에서는 예외가 있는데,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의 경우는 눈이 왼쪽으로 쏠려 있다. 이밖에 눈의 위치 외에도 넙치와 가자미류를 구별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특징은 입의 크기인데, 가자미류에 비하여 넙치는 입이 큰 편이다.

그 중에서도 돌가자미의 특징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눈이 있는 쪽 몸에 단단한 돌기물(골질판)이 3~4줄 줄지어 존재하는 점이다(사진 및 그림1 참조). 그리고 다른 종과는 달리 몸에 비늘이 없는 것도 큰 특징인데, 몸이 미끈미끈하게 느껴지는 것은 비늘이 없는 대신 점액을 많이 내기 때문이다. 돌가자미의 큰 특징인 골질판은 언뜻 보면 엷은 껍질에 덮여 있어 잘 보이지 않지만 타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띠고 있으며, 등쪽과 측선 위쪽 및 배쪽에 몇 개씩 줄지어 있고, 손으로 만지면 까칠까칠하게 느껴진다. 이 골질판은 또 눈이 없는 쪽 몸에도 있는 경우가 많다. 이밖에 돌가자미의 체색은 등쪽이 황갈색이고 그 위에 크고 작은 흰점이 흩어져 있으며 배쪽은 흰색이다. 배쪽에는 독특한 점이나 무늬가 없이 매우 깨끗한 흰빛을 띠므로 40~60cm급 대형 돌가자미를 뒤집어 놓으면 넙치(광어)와 비슷한 형태를 나타낸다. 그래서 일부 악덕 상인들은 큰 돌가자미를 넙치로 속여 팔기도 한다.

●분류·분포
돌가자미는 가자미목(目·Pleuronectida), 붕넙치과(科·Pleuronectidae), 돌가자미속(屬·Kareius sp.)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가자미목 어류는 8과 120속에 약 500종이 넘게 보고되어 있다. 이들은 대부분 한대와 온대 지방에 사는 분류군으로, 모두 바닥 생활에 알맞도록 적응·진화한 무리이다. 또 이들 중 많은 종들이 흰 살에다 맛이 좋아 중요 산업 종으로 우리의 식생활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현재 우리 나라에 서식하는 붕넙치과에 속하는 가자미류는 돌가자미와 도다리·참가자미·문치가자미·각시가자미·범가자미·술봉가자미 등 모두 23종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강도다리를 제외하고 모두 눈이 오른쪽에 모여 있는데, 대부분 가자미류의 알은 유구를 갖고 있지 않은 탓에, 눈이 왼쪽에 있고 알 속에 유구 1개를 갖고 있는 넙치과(科, Bothidae) 어류와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돌가자미는 돌가자미속에 1종이 기재되어 있고, 눈이 있는 몸쪽에 있는 골질판의 배열이 독특하여 다른 가자미류와 쉽게 구별된다. 그런데 일부 지방(부산 근처)에선 몸에 여드름 같은 조그마한 돌기가 많이 나 있는 줄가자미를 돌가자미라고 잘못 부르기도 한다.

한편 돌가자미와 도다리(표준명)의 형태적 차이점은 우선 체형과 비늘의 유무로 알 수 있다. 돌가자미의 체형은 체장이 최고의 약 2.5배 정도여서 긴 타원형을 띠며, 비늘이 없어 황갈색 및 녹갈색을 띤 눈 있는 쪽과 흰색을 띤 눈 없는 쪽 면의 모두에 점액질이 많이 분비되어 있다. 반면 도다리는 체고가 높아서 체장은 체고의 2배 이하로, 마치 마름모꼴에 가까운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몸에는 매우 작은 비늘(둥근 비늘)이 있다. 뿐만 아니라 몸 크기에서도 차이가 나는데, 돌가자미는 50~60cm 급이 흔할 정도의 대형급 가자미이며, 도다리는 30cm급이면 대형에 속하는 비교적 소형 가자미류 중의 일종이다.

형태가 비슷한 가자미류를 구별하는 데에는 형태와 눈의 위치, 비늘의 유무, 체색 외에도 알의 성질이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남해안과 동해안에 많이 서식하는 문치가자미와 참가자미는 외부 형태가 매우 유사하여 종 구분이 쉽지 않은데, 그들의 알을 받아 보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즉 참가자미의 알은 분리되어 표층에 떠오르는 분리부성란인데 비하여 문치가자미의 알은 분리는 되난 가라앉아서 기질에 강하여 점착하는 침성점착란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돌가자미와 도다리의 알은 모두 표층에 뜨는 부성란이지만, 돌가자미의 알은 유구가 없고 난막(卵模)에 무늬가 없는데 비하여 도다리의 알은 많은 유구를 가지며(발생과 더불어 1개의 유구로 뭉쳐짐) 난막에는 거북이 등껍질 무늬와 같은 균열이 있어 알로도 쉽게 구별이 가능해진다(이상 돌가자미와 도다리의 구분은 표<1> 참조 바람).

●생태
가자미·넙치·서대류는 해양에서 생활하는 물고기 중에서 독특한 서식 생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서식 생태에 따른 형태적 적응은 몸의 좌·우측 어느 한쪽에 두 눈이 모두 모여 있도록 되었다. 이런 바닥 생활이라는 특수 체질(?)로 말미암아 눈이 있는 쪽의 체색은 바닥의 모래나 뻘과 유사한 갈색 및 황색·황갈색·녹갈색 등 바탕에 희고 검은 점들을 많이 갖고 있으며, 반대로 눈이 없는 쪽, 즉 바닥에 대고 사는 몸쪽의 색깔은 대부분 흰 바탕이며, 종류에 따라 검은 점이나 노랑 무늬를 갖고 있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의 바닥 생활 환경에 대한 적응은 치어기(稚魚期)를 지나면서 나타나는데, 최초 알에서 깨어나 플랑크톤과 같이 바다의 표층·중층에 떠서 생활하는 자어기(仔魚期)에는 일반 어류와 마찬가지로 눈이 좌우에 하나씩 위치해 있다가 바닥으로 내려가기 전의 변태기(變態期)를 지나면서 한쪽의 눈이 다른 한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더불어 이 시기에 눈이 돌아가는 쪽에 색체도 나타나기 시작, 곧 바닥 생활로 들어가게 된다.

돌가자미는 수심 30~50m 정도 되는 깊은 연안의 바닥에서 주로 살아가며 하구나 강 어귀에도 자주 출몰한다. 어미가 되는 최소 크기는 암컷이 2세일 때 16.5cm 전후 크기이며, 수컷은 1세일 때 14cm 전후 크기이다. 산란기는 해역의 환경 조건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겨울철이 산란기로 알려져 있으나, 오호츠크해와 같이 북쪽 바다에선 5~6월이 산란기로 보고되어 있다. 암컷 한 마리가 갖고 있는 알 수는 체장 25cm인 경우 약 20만 개, 30cm인 경우 80만 개, 35cm인 경우에는 약 150만 개이다. 산란은 수심 30m 정도의 해역이나 그보다 조금 얕은 곳에서 주로 행해지며, 산란 수온이 5~10℃ 범위이다. 돌가자미가 가장 활발하게 산란 행위를 하는 때는 수조에서 관찰한 바에 따르면 주간에는 거의 산란을 하지 않으며, 해가 지고 나서 밤중(특히 자정에서 새벽 4시 사이)에 주로 이루어 진다. 알은 지름이 1.0~1.1mm이고 분리부성란(分離浮性卵)으로, 산란 직후 건강한 알은 물의 표면에 떠오르며, 알 속에 유구(油球)는 없고 난황이나 난막은 무색 투명하다. 발생 속도는 수온이 높을 수록 빠르며 수온 5℃일 때는 수정에서 부화까지 약 9일이 걸리며 15℃ 정도의 고수온에서는 약 3~4일만에 부화가 시작된다.

갓 부화한 돌가자미 새끼는 길이가 3mm 전후로 매우 작으며 배에 큰 난황을 갖고 있다. 이 때의 형태는 넙치류와 가자미류뿐만 아니라 참돔·돌돔 등 부유성란을 갖는 대부분 바닷고기의 새끼와 마찬가지로 눈과 입·항문 등이 거의 발달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나 표층에 떠 있다. 몸에 나타난 흑색점은 이들 자어의 좋은 분류 형질이 되는데, 돌가자미의 새끼는 머리 위쪽부터 몸의 등쪽 면을 따라 약 30개가 나타난다. 그리고 부화 후 5일이면 난황을 흡수하고 4.6mm 크기로 성장하며, 부화 후 15일경에는 체고가 점차 높아지기 시작하고, 10mm 이상으로 자라면 몸의 좌우 상칭 상태가 깨어지기 시작, 왼쪽의 눈이 위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부화 후 70~80일 사이에 왼쪽 눈은 완전히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변태를 완료하게 된다. 더불어 이 변태기를 지나는 동안 표층에 떠서 살던 부유성 생활로부터 저착성 바닥 생활로 전환하게 되는데, 바닥 생활로 들어가기 전까지는 많은 수의 새끼들이 사망하나, 일단 바닥 생활로 들어가면 안정된 환경에서 비교적 순조롭게 성장을 계속하여 봄이면 3~5cm으로 자란다.

●성장·식성
물고기의 성장은 어미가 가진 유전 형질 외에 외부 먹이와 수온·밀도 등의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겨울에 태어난 돌가자미 새끼는 만 1년에 약 10cm(지역에 따라서는 15~16cm), 2susdp 20cm(22~23cm), 3년에 30cm(26~27cm)로, 1년에 약 10cm씩 성장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후 나이를 먹게 됨에 따라 성장은 점차 둔해져서 6살이면 40cm 전후가 되는데, 그 성장 속도는 넙치와 마찬가지로 암컷이 수컷보다 조금씩 빠르다.

한편 표층 생활을 하던 어린 시기의 돌가자미는 요각류 등 작은 플랑크톤을 먹고 살다가 치어가 되어 바닥 생활로 들어가면 저서성 새우류 및 요각류를 주로 먹으며, 그 외에 새우류와 조개류를 먹는다. 그보다 더 성장하게 되면 갯지렁이류, 요각류, 새우류를 먹다가 미성어·성어가 되면 새우·게류, 까나리 등의 소형 어류, 조개·갯지렁이 등 주로 육식성을 나타낸다.

<표>돌가자미와 도다리의 비교
돌가자미 표준명 도다리
Kareius bicoloratus 학명 Pleuronichthys cornutus
돌가재미, 이시가레이, 도다리 방언 가재미, 도다리
Stone flounder, Hard-Swelling dab 영명 Flounder, Sole
이시가레이(イシガレイ) 일본명 메이타가레이(メイタガレイ)
☞체형이 타원형이며 체장은 체고의 약 2.5배이다. 눈과 입은 작으며 몸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비늘이 없다.
☞눈이 있는 쪽에 단단하고 큰 골판이 등, 측선위, 배 쪽에 줄지어 배열되어 있다. 눈이 없는 쪽에도 복부나 다른 곳에 같은 모양의 작은 돌기물이 있는 경우도 있다.
☞눈이 있는 쪽은 황갈색, 녹색이고 흰점이 등, 배 쪽 가장자리를 따라 산재한다. 눈이 없는 쪽은 흰색이다.
형태
☞체형은 체고가 높아 마름모꼴이다. 체장은 체고의 2배 이하이다. 눈과 입은 몸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비늘은 갖고 있으되, 매우 작은 둥근비늘이다.
☞눈이 있는 쪽 체색은 회색 또는 황갈색이며, 부정형의 암갈색 반점이 전면에 산재하여 있다. 눈이 없는 쪽은 흰색이다.
☞두 눈 사이에 2개의 골질돌기물이 있다.
60cm 크기 30cm
D. 65~75 등지느러미 D. 68~82
A. 45~55 배지느러미 A. 49~69
Vert. 34~35 척추골수 Vert. 35~37
직경이 1mm 전후이며 무색투명, 표층에 뜬다. 수정란 직경이 1.1mm 전후, 무색투명하고 작은 유구가 많다. 표층에 뜬다.
우리 나라 전 연해, 일본, 중국 연안, 사할린 연해 분포 우리 나라 전 연해(남해, 제주도), 일본 훗카이도 이남, 타이완, 중국 연해


'물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팍망둑/가시망둑  (0) 2008.07.27
돌돔  (0) 2008.07.27
독가시치  (0) 2008.07.27
달고기  (0) 2008.07.27
[바다] 복어(복섬)   (0) 200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