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기념물 제7호 다산 정약용 유적지 양수리에서 팔당댐 방향으로 약 3km 거리에 위치한 마재(마현부락)는 경기도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되어 있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산소가 위치해 있으며, 아울러 다산 정약용을 비롯한 4형제의 생가 터가 있는 곳이다. 마재는 그 모양이 혹처럼 불쑥 튀어나와 있어 마치 한강물을 지키는 파.. 그때그시절 2007.03.03
해미읍성-2 ⓒ 2006 꽁지머리 ⓒ 2006 꽁지머리 ⓒ 2006 꽁지머리 요즘은 복원공사가 한창 진행중이라 읍성 내부에 들어서면 중장비가 동원돼 땅을 파헤치고 있지만, 대부분 개방이라 나름대로 좋은 경험을 얻을수 있다. ⓒ 2006 꽁지머리 해미읍성의 입장료는 없다. 서산시 관공서 전화번호 중 지자체의 .. 그때그시절 2007.03.03
소백산 성혈사의 꽃살문 조용한 연못 ( 연꽃 봉오리 줄기를 주장자로 삼아 연잎위에 내려 앉은 동자승의 형상 ! ) 소백산 성혈사 나한전 성혈사 나한전 정면 3칸의 각칸 분합문 성혈사 어칸 분합문 수미산 팔해의 연지를 상징화한 듯한 화려한 꽃살창호 ↕ 연못속 ( 동자승,물총새,학,물고기,개구리,자라,게, 굴마.. 그때그시절 2007.03.03
최치원의 四山비명과 석조 문화재 (봉암사) 최치원의 四山비명과 석조 문화재 (봉암사)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 보물 제137호 희양t산문 개산조 智詵(824~882) 지증대사적조탑 기단부 (지대석 + 하대석 + 중대석 + 상대석 ) 지증대사적조탑 하대석 (하대면석에 사자상을 , 중대받침을 화려한 권운문을 조각) 지증대사적조탑 중대받침면석.. 그때그시절 2007.03.03
문화재 이야기 이산문화재도 통일의 그날 기다린다 현화사 석등·금동 반가사유상 등 국보급문화재 북녘고향 떠나 유랑 신세 남북으로 갈라져 애태우고 있는 것은 이산가족만이 아니다. 생물은 아니지만 ‘민족의 혼’이라는 문화재도 만날 날을 손꼽아 기다리는 것들이 있다. 이른바 ‘이산문화재’.. 그때그시절 2007.03.03
이숙번 묘, 물왕리풍경 물왕저수지 총면적은 58만㎡, 저수지를 이용하는 논의 면적은 866만 5000㎡, 담수량은 189만 4000톤, 만수 때 수심은 7.2m이다. 공식 명칭은 시흥군의 '흥(興)' 자와 부천군의 '부(富)'를 합한 흥부저수지인데, 이는 1946년 준공 당시에 몽리면적(저수지를 이용하는 논의 면적)이 시흥군과 부천군에.. 그때그시절 2007.03.03
평양에서 내려온 `국보`들..고려 태조 왕건 동상 지금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건무)에서는 ‘북녘의 문화유산-평양에서 온 국보들’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지난 6월 13일부터 일반에게 공개된 이번 전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북한이 소장하고 있는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문화재들 중 엄선된 90점의 유물들을 가져와 전시한 유.. 그때그시절 2007.03.03
남산 한옥마을에 가다. 남산 한옥마을 남산한옥마을은 순정효황후윤씨친가. 해풍부원군윤택영댁재실. 부마도위박영효가옥. 오위장김춘영가옥. 도편수이승업가옥과 전시관과 타임캡슐이 있다. 순서대로 올려 본다 1,순정효왕후윤씨친가. 전시관을 지나 맨 처음 들른 곳이여서 여유롭게 구경을 했다. 안채를 중.. 그때그시절 2007.03.03
경북 문경 봉암사의 문화유산 경북 문경 봉암사의 문화유산 보물 137호인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으로 통일신라 883년에 조성되었습니다. 탑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지만 스님의 사리를 모시는 부도탑이므로 스님의 무덤이라고 하겠습니다. 보물 138호인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비입니다. 보물 169호인 봉암사 삼층석탑.. 그때그시절 2007.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