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권상(勞倦傷) |
○ | 황제가 묻기를 음(陰)이 허(虛)하면 속에서 열(熱)이 생기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
기백이 대답하기를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피로하면 몸의 원기(元氣)가 줄어들고 | |
음식물의 기(氣)가 부족해져서 상초(上焦)가 잘 작용하지 못하며, | |
하완(下脘)이 통하지 못하므로 위기(胃氣)가 더워지면서 그 열기가 가슴을 훈증하기 때문에 속에서 열이 난다고 하였다[내경]. | |
○ | 노권상도 내상(內傷)의 원인으로 된다. |
노권상은 음허(陰虛)한 것인데 음허는 몸 가운데 있는 음기와 음식물의 맛이 부족한 것을 말한 것이다[입문]. | |
○ | 기뻐하거나 성내는 것이 지나치거나 일상생활을 알맞게 하지 못하여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피로하면 다 기를 상한다. |
기(氣)가 약해지면 화(火)가 왕성하고 화가 왕성하면 비토(脾土)를 침범한다. | |
비는 팔다리를 주관하기 때문에 비토가 상하면 노곤(勞困)하고 열이 나며 힘없이 동작하고 말을 겨우 하게 된다. | |
또한 움직이면 숨이 차고 표열(表熱)이 있으며 저절로 땀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불안하다. | |
이런 데는 마땅히 마음을 안정하고 조용히 앉아 기운을 돋군 다음 | |
달고 성질이 찬약으로 화열(火熱)을 내리고 신 맛으로 흩어진 기를 거둬들이며 | |
달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중초의 기를 조절해야 한다[동원]. | |
○ | 지나치게 피로하면 기가 흩어져 숨이 가쁘고 또 땀이 나서 안팎으로 다 빠지므로 기가 소모된다[내경]. |
◆ |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
○ | 외감(外感)과 내상(內傷)을 감별하는 것은 모든 병에서 중요한 고리로 된다. |
이것을 잘 모르면 의사로서의 자격이 없다. | |
단계는 내상병은 다 원기(元氣)를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하면서 겸한 증을 보아 함께 치료할 것이다고 하였다. | |
단계는 이와 같이 대강 말하고 자세히 말하지 않았으므로 | |
내가 보충하여 말한다면 가령 내상병에 외감(外感)을 겸했을 때에는 보중익기탕을 쓰되 | |
봄에는 천궁, 방풍, 시호, 형개, 차조기잎(자소엽), 박하 등을 더 넣고 | |
여름에는 갈근, 석고, 맥문동, 박하를 더 넣고 승마와 시호는 본래의 양보다 곱절 넣으며 | |
가을에는 강활, 방풍, 형개를 더 넣고 | |
겨울에는 마황, 계지, 건강을 더 넣어 써야 한다[방광]. | |
○ | 혹 외감에 내상을 겸했거나 내상에 외감을 겸했거나 식적(食積)이 상한(傷寒)과 비슷한 것들을 잘 감별하여 치료해야 한다. |
○ | 만일 내상증상이 더 많이 나타나면 이것은 내상이 중(重)하고 외감이 경(輕)한 것이다. |
그러므로 이때에는 반드시 원기를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하되 | |
먼저 도씨보중익기탕, 십미화해산, 가미익기탕(3가지 처방은 다 상한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
○ | 만일 외상증상이 더 많으면 이것은 외감이 중하고 내상(內傷)이 경(輕)한 것이므로 빨리 발산시켜야 한다. |
이때는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삼소음(參蘇飮, 3가지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등이 좋다. | |
○ | 식적(食積)이 상한(傷寒)과 비슷한 데는 도씨평위산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
◎ | 오한의 감별[辨惡寒] |
상한 때의 오한(惡寒)은 비록 아주 센 불을 가까이 하더라도 잘 없어지지 않는다. | |
○ | ○ 내상 때의 오한은 좀 따뜻하게만 해주어도 곧 없어진다. 다만 풍한(風寒)을 싫어한다. |
◎ | 오풍의 감별[辨惡風] |
상한 때의 오풍(惡風)은 온갖 풍한(風寒)을 견디지 못한다. | |
○ | 내상(內傷) 때의 오풍은 문바람이라도 몹시 싫어하지만 바람이 들어오지 않는 방으로 옮기면 없어진다. |
◎ | 열나기의 감별[辨發熱] |
외감(外感)으로 열이 날 때에는 끊지 않고 계속 나다가 해질 무렵에 가서 더 세게 난다. 땀을 내거나 설사를 시키면 내린다. | |
○ | 내상으로 열이 나는 것은 때로 열이 났다 내렸다 하며 혹 스스로 옷을 벗으려 하고 또한 서늘한 것을 좋아한다. |
◎ | 신통(身痛)의 감별[辨身痛] |
외감 때에는 힘줄과 뼈가 아프고 혹 모든 뼈마디가 다 아프다. | |
○ | 내상(內傷) 때에는 단지 팔다리를 쓰지 못하고 맥없이 움직이며 나른하여 눕기를 좋아한다. |
◎ | 추워하는 것과 열이 나는 것의 감별[辨寒熱] |
외감 때에는 추워하는 것과 열이 나는 것이 같이 나면서 계속 심하게 나타난다. | |
○ | 내상 때에는 추워하는 것과 열이 나는 것이 약하게 나타나면서 간격을 두고 나타나며 꼭 같이 나타나지 않는다. |
◎ | 두통의 감별[辨頭痛] |
외감(外感)으로 머리가 아플 때에는 계속 아프다가 병이 전경(傳經)되거나 속으로 들어가면 멎는다. | |
○ | ○ 내상(內傷)으로 머리가 아픈 것은 때로 아팠다 때로 멎었다 한다. |
◎ | 기력의 감별[辨氣力] |
외감(外感) 때는 사기(邪氣)가 실하므로 힘이 난다. | |
○ | 내상 때는 정신이 흐릿하고 나른하며 기력이 약하여 피곤해하고 게을러진다. |
◎ | 손바닥에 의한 감별[辨手心] |
외감 때는 손등이 달고 손바닥은 달지 않는다. | |
○ | 내상(內傷) 때는 손바닥이 달고 손등은 달지 않는다. |
◎ | 번갈의 감별[辨煩渴] |
외감 때는 사기(邪氣)가 전경(傳經)되어 속으로 들어가면 몹시 갈증이 난다. | |
○ | 내상 때는 사기가 혈맥 가운데 있으므로 갈증이 없고 간혹 갈증이 나도 심하지 않다. |
◎ | 입맛의 감별[辨口味] |
외감 때는 비록 음식을 잘 먹지 못하나 음식맛은 안다. | |
○ | 내상 때는 비록 음식을 먹으나 맛을 알지 못한다. |
◎ | 숨쉬기의 감별[辨鼻息] |
외감 때는 코가 막히고 콧물이 흐르며 목소리가 탁하고 숨쉬기가 힘들다[癰]. | |
○ | 내상 때는 원만히 숨을 쉬지만 고르지 못하다. |
◎ | 말하는 것의 감별[辨言語] |
외감 때는 말소리가 높고 힘이 있으며 처음에는 가볍다가 나중에는 무거워진다. | |
○ | 내상 때는 말소리가 약하고 힘이 없으며 말하기 싫어한다. |
◎ | 맥상의 감별[辨脈候] |
외감 때는 인영맥(人迎脈)이 부긴(浮緊)하거나 홍대(洪大)하면서 삭(數)하다. | |
○ | 내상 때는 기구맥(氣口脈)이 몹시 긴성(緊盛)하거나 활(滑)하면서 빠르다. |
◆ | 노권상의 치료법[勞倦傷治法] |
○ | 『내경』에는 지나치게 과로한 것은 온(溫)하게 하고 허손(虛損)된 것은 보한다고 씌어 있다. |
과로한 것은 힘든 일을 지나치게 하여 편안치 못한 것인데 온하게 해야 한다. | |
온하게 한다는 것은 보양한다는 것이다. | |
다시 말하여 온하게 한다는 것은 음식을 고르게 먹고 일상생활을 알맞게 하며 욕심을 버리고 | |
생각을 덜하면서 안정하여 점차로 진기(眞氣)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 |
『예기(禮記)』에 씌어 있는 바와 같이 얼굴빛을 유순하게 하는 것이 바로 온(溫)하게 한다는 뜻과 같다. | |
그런데 동원(東垣)이 온(溫)하게 한다는 온(溫)자를 서늘한 것을 따뜻하게 한다는 온(溫)자라고 하면서 | |
성질이 더운약으로써 원기(元氣)를 보하고 화사(火邪)를 내리게 해야 한다고 하였으며 | |
또는 허손된 데는 보해 주라는 것을 허손에 따뜻하게 해주라고 고친 것이다. | |
또는 온이란 심한 열을 없앤다는 것으로서 『내경』의 말이라고 하였는데 | |
『내경』을 전부 참고하였으나 이러한 말이 없으므로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 |
또한 『내경』에는 형체가 부족한 데는 기를 온하게 하라고 하였는데 | |
그 온(溫)자도 역시 자양한다는 뜻이고 성질이 따뜻한 약을 말한 것은 아니다[기회]. | |
○ | 음식을 제때에 먹지 않거나 힘든 일을 지나치게 하여 비위(脾胃)가 허약하고 중기(中氣)가 부족한 데는 |
보중익기탕을 위주로 쓰면서 익위승양탕, 승양순기탕, 조중익기탕, 승양익위탕, 청신익기탕, | |
황기인삼탕(黃?人參湯, 처방은 서문에 있다), 삼출조중탕(蔘朮調中湯, 처방은 기침문에 있다), 인삼음 등에서 골라 쓴다. | |
○ | 노권상(勞倦傷)에도 또한 2가지가 있다. 순 육체적으로 과로하여 기(氣)를 상해서 땀이 없는 데는 보중익기탕을 쓴다. |
○ | 정신적 과로뿐 아니라 겸해 혈(血)도 상해서 땀이 나는 데는 황기건중탕을 쓴다. |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과로하여 기혈이 모두 상한 데는 쌍화탕을 쓴다(2가지 처방은 다 허로문에 있다). | |
○ | 지나친 성생활로 신(腎)을 상한 증과 노권상은 비슷하다. |
이것들은 다 내상으로 열이 나는 증이지만 노권상은 양기(陽氣)가 아래로 처진 것이므로 기를 보하여 끌어올릴 것이고 | |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신을 상한증은 양화(陽火)가 위로 올라간 것이므로 음을 불쿠어 아래로 내려가게 해야 한다. | |
즉 하나는 올라가게 하고 다른 하나는 내려가게 하는 것이므로 아주 다르다. | |
○ | 7정(七情)으로 기혈을 상하는 것이 음으로 상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
대체로 음식과 7정은 다 3초(三焦)를 막아서 폐와 위, 청도(淸道)를 훈증(熏蒸)한다. | |
폐는 기를 주관하는데 훈증하면 그로 말미암아 전화(傳化)작용을 하지 못하므로 기구맥(氣口脈)만이 긴성(緊盛)하며 토하고 설사한다. | |
비만과 복통 등도 역시 같으나 다만 음식에 체해 생긴 것은 음식을 싫어하고 | |
7정(七情)으로 생긴 것은 배불리 먹으려고만 하고 또한 음식을 싫어하지 않는다[입문]. | |
○ | 만일 기분이 들뜨고 마음이 산란할 때에는 주사안신환(朱砂安神丸, 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써서 진정시키면 낫는다[동원]. |
■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
힘든 일을 지나치게 하였거나 음식을 제때에 먹지 못하여 몸에 열이 나면서 답답하고 저절로 땀이 나며 나른한 것을 치료한다. | |
단너삼(황기) 6g, 인삼, 흰삽주(백출), 감초 각각 4g, 당귀, 귤껍질(陳皮) 각각 2g, 승마, 시호 각각 1.2g.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
○ | 어떤 처방에는 황기 6g, 인삼, 백출, 진피(陳皮), 당귀, 감초 각각 4g, 승마, 시호 각각 2g에 황백 1.2g을 더 넣어 |
신수(腎水)를 불쿠어 주며 잇꽃(홍화) 0.8g을 더 넣어 써서 심혈(心血)을 보하게 한다고 하였다[의감]. | |
○ | 비위(脾胃)가 허약하면 먼저 폐기(肺氣)가 끊어지므로 황기를 써서 피부를 보하고 |
피부(?理)를 막아서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해야 한다. | |
숨을 가쁘게 쉬는 것은 원기가 상한 것인데 이때는 인삼을 써서 보해야 한다. | |
그리고 심화(心火)가 비에 미칠 때에는 달고 성질이 따뜻한 감초(볶은 것)을 써서 | |
화열(火熱)을 없애면서 위의 원기(元氣)를 보(補)해야 한다. | |
만일 비위가 심하게 아프고 배가 몹시 땅길 때에는 이 약을 많이 써야 한다. | |
이 3가지 약은 습열과 번열을 없애는 좋은 약이다. | |
백출은 쓰고 달며 성질이 따뜻하여 위 속의 열을 없애며 허리와 배꼽 사이의 혈을 순조롭게 한다. | |
승마와 시호는 쓰고 성질이 평순하며 담박하여 위(胃) 속의 청기(淸氣)를 올라가게 하는 작용을 한다. | |
또한 황기와 감초는 달고 성질이 따뜻하여 청기를 위로 끌어올리고 흩어진 위기를 보하며 표(表)를 실하게 하고 | |
늘어진 대맥(帶脈)을 줄어들게 한다. | |
당귀는 혈맥을 조화시키며 귤홍은 가슴속의 기를 고르게 하며 양기(陽氣)를 도와 위로 올라가게 하며 몰린 기를 헤친다. | |
이것이 이 처방의 약효이다. | |
○ | 대체로 비위의 기가 부족한 증에 반드시 승마와 시호를 쓰는 것은 |
비위 속의 청기(淸氣)를 이끌어 양의 부분에 가게 하고 모든 경맥에서 음양의 기를 생겨나게 하기 때문이다. | |
그러므로 비위를 치료하는 약들은 흔히 승양보기(升陽補氣)라는 이름을 붙였다[동원]. | |
■ |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 |
내상(內傷)의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한다. | |
피를 많이 흘렸을 때에 기를 보하는 것은 옛사람들의 방법이다. | |
이 약은 먼저 위기를 고르게 하며 기를 생기게 하는 것을 도와주는 데 주로 쓴다. | |
백출 6g, 황기 4g, 인삼, 약누룩(신국, 볶은 것) 각각 3g, 당귀, 진피(陳皮), 감초(볶은 것) 각각 2g, | |
승마, 시호 각각 1.2g, 황금(생것) 0.8g.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
■ |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 |
내상의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한다. | |
봄철에는 음식맛이 없고 | |
여름철에 열이 있는 데도 도리어 추워하며 가슴과 배가 그득하고 답답하며 먹지 않아도 배부른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 |
황기 8g, 반하 4.8g, 초두구 3.2g, 약누룩(신국), 당귀, 진피(陳皮), 인삼 각각 2.4g, 승마, 시호, 감초 각각 1.6g, 황백 1.2g.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동원]. | |
■ |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
내상증과 혹 삭지 않은 설사를 하며 때로 흰곱[白膿]이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 |
황기 8g, 인삼, 창출, 감초 각각 4g, 진피(陳皮), 승마, 시호 각각 1.6g, 목향 0.8g.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 |
■ | 승양익위탕(升陽益胃湯) |
비위(脾胃)를 상한 증과 가을의 조(燥)한 기운과 습열이 조금 물러간 뒤에 입맛이 없고 몸이 무거우며 입이 마르고 | |
대소변이 고르지 못하며 혹 양기(陽氣)가 퍼지지 못해서 오슬오슬 추워하는 것을 치료한다. | |
황기 8g, 인삼, 반하, 감초 각각 4g, 강활, 독활, 방풍, 백작약 각각 2.8g, 진피(陳皮) 2g, | |
시호, 백출, 백복령, 택사 각각 1.2g, 황련 0.8g.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동원]. | |
■ | 청신익기탕(淸神益氣湯) |
내상(內傷)으로 비위가 허손(虛損)되어 음식맛이 떨어지고 나른하며 | |
습열(濕熱)이 성한 여름철에는 눈병이 생기며 때로 몸과 얼굴이 다 누렇게 되는 것을 치료한다. | |
인삼 4g, 생강 3.2g, 택사, 창출, 방풍, 오미자 각각 2.4g, 적복령, 승마, 백출, 백작약, 감초(생것), 맥문동 각각 1.6g, | |
황백, 선귤껍질(청피) 각각 0.8g.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동원]. | |
■ | 인삼음(人蔘飮) |
노권상(勞倦傷)으로 몹시 괴롭거나 힘을 너무 썼을 때에 이 약을 1-2첩 먹으면 내상(內傷)으로 열이 나는 병을 피할 수 있다. | |
황기 6g, 인삼, 백출, 진피(陳皮), 맥문동 각각 4g, 복신(茯神) 3.2g, 감초 2.8g, 오미자 20알.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필용]. | |
○ | 일명 보기탕(補氣湯)이라고도 한다[의감]. |
'동의보감,한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의보감 원문해석(잡병)-- 내상(內傷) 8 (0) | 2013.11.09 |
---|---|
동의보감 원문해석(잡병)-- 내상(內傷) 7 (0) | 2013.11.09 |
동의보감 원문해석(잡병)-- 내상(內傷) 5 (0) | 2013.11.09 |
동의보감 원문해석(잡병)-- 내상(內傷) 4 (0) | 2013.11.09 |
동의보감 원문해석(잡병)-- 내상(內傷) 3 (0) | 201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