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탄산과 토산[呑酸吐酸] |
○ |
탄산(呑酸)이란 신물이 명치 아래를 자극하는 것이며 토산(吐酸)이란 신물을 토하는 것이다[회춘]. |
○ |
습열(濕熱)이 위(胃)의 어귀에 있다가 음식을 먹으면 그 습열이 위에 머물러서 자극하여 소화를 장애하기 때문에 탄산이 된다. |
|
쌀과 고기를 그릇 속에 오랫동안 담아 두면 쉽게 시어지는 것과 같다[단심]. |
○ |
『내경』의 병기(病機)에는 신물을 토하는 것은 모두 열(熱)에 속한다고 하였고 |
|
상한론에는 토하는 데는 양명증(陽明證)이 있어도 설사를 시키지 못한다고 하였으며 |
|
잡병론에는 신물을 토할 때 심하면 신물이 명치를 자극하여 괴로움을 견디기 어려울 뿐 아니라 |
|
신물을 토하면서 위아래의 이가 시리고 텁텁하여 입을 다물지 못한다. |
|
이때는 맵고 성질이 열한 약을 쓰면 반드시 낫는다고 씌어 있다. |
|
만일 『내경』의 병기에 있는 법대로 열증으로 보고 치는 약을 쓰는 것은 잘못이다[동원]. |
○ |
탄산과 토산은 같지 않다. 토산은 식초와 같은 신물을 토하는 것이다. |
|
대개 평소에는 진액이 기를 따라 올라가지만 그것이 몰리고 쌓이면 울적(鬱積)이 된다. |
|
그것이 오래면 그 습에서 열이 생기기 때문에 간의 작용을 받아서 신맛이 된다. |
|
이것이 열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
|
신물이 저절로 나가지 못하여 폐와 위 사이에 잠복되면 토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넘어가지 않는다. |
|
이런 때에 피부가 풍한(風寒)을 받으면 속에 몰렸던 것이 더 몰렸던 것이 더 몰려서 신맛이 명치 밑을 자극한다. |
|
이때 피부를 따뜻하게 덥혀 주든가 향기롭고 성질이 열한 달임약이나 알약을 쓰면 역시 좀 풀릴 것이다. |
|
『내경』에서 열(熱)이라고 한 것은 그 기본을 말한 것이다. |
|
동원이 한(寒)이라고 한 것은 나중의 증상을 말한 것이다[단심]. |
○ |
간목의 맛은 시다. 음식물이 더워지면 쉽게 시어지는 것과 같다[하간]. |
○ |
『내경』에서 여러 가지로 신물을 토하는 것을 열에 속한 것으로 보았는데 |
|
오직 이동원만이 한이라고 주장한 것은 일면만 본 것이다. |
|
『하간』의 원병식(原病式)에는 신 것은 간목(肝木)의 맛이다 라고 하였다. |
|
화(火)가 성하여 금(金)을 억제하면 금이 목(木)을 억제하지 못하여 간목이 성하여지므로 시게 된다. |
|
그래서 열이 간에 있으면 입맛이 시다. |
|
그러므로 신물이 올라오는 사람은 찰지고 미끄러우며 기름기 있는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 |
|
그것은 기가 몰려서 잘 통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
|
반드시 기름기가 적은 밥과 야채를 먹으면 기가 잘 돌아간다[정전]. |
○ |
음식에 체했거나 유음(留飮)이 있어 신물이 생겨 명치 밑이 쓰리고 아프며 또한 신 데는 곡출환을 쓰는 것이 좋다. |
|
멀건 물만 토하는 데는 출령탕을 쓴다. |
○ |
담화(痰火)로 먹은 음식물이 내려가지 않고 하루나 반나절이 지나서 상한 신물을 토했는데 |
|
누렇고 냄새가 나는 것과 생목이 괴어 불안한 데는 사미수련환, 구미수련환, 청담환 등이 좋다. |
○ |
아침밥을 맛있게 먹었으나 그것이 저녁까지 소화되지 않고 명치 밑이 찌르는 듯이 아프며 신물을 토하는 것은 |
|
혈(血)이 허(虛)하고 화(火)가 성(盛)한 것이므로 |
|
사물탕에 진피(陳皮), 황금, 황련, 도인, 잇꽃(홍화), 삼씨(마자인), 감초 등을 더 넣어 쓴다. |
○ |
탄산증에 대변이 막혔으면 투격탕을 쓰고 대변이 잘 나가면 삼유환을 쓴다[입문]. |
○ |
탄산에는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야채를 먹으면 병이 쉽게 낫는다[정전]. |
○ |
탄산과 토산에는 수련환, 창련환, 창련탕, 황련청화환, 증미이진탕, 평간순기보중환, 또 한 가지 처방을 쓴다. |
○ |
한 농민이 10여 년 동안 유음(留飮)으로 신물을 토했는데 약과 침, 뜸 등으로 치료는 하였으나 낫지 않았다. |
|
대인(戴人)이 맛이 쓴 약을 써서 토하게 하였다. 그랬더니 갖풀 같은 담연을 2-3되 토하고 나서 곧 나았다[자화]. |
■ |
국출환(麴朮丸) |
|
중완(中脘)에 체한 음식물이 있거나 유음(留飮)이 있어 신물이 생겨 명치 밑이 쓰리고 아프며 |
|
또한 시고 혹 멀건 물을 토하며 썩은 내 나는 트림을 하는 것을 치료한다. |
|
약누룩(신국, 볶은 것) 120g, 창출(흙과 함께 볶은 것) 60g, 진피(陳皮), 사인(축사) 각각 40g. |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약누룩(신국)을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
|
한번에 70-90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정전]. |
■ |
출령탕(朮?湯) |
|
멀건 물만 토하는 것을 주로 치료한다. |
|
창출(흙과 함께 볶은 것), 곱돌(활석) 각각 8g, 적복령, 백출, 진피(陳皮) 각각 4g.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 |
사미수련환(四味茱連丸) |
|
담화(痰火)에 어혈(瘀血)을 겸해서 나는 탄산증을 치료한다. |
|
반하 60g, 진피(陳皮) 20g, 황련 40g, 오수유 4g, 도인 24알. |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약누룩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
|
한번에 100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
■ |
구미수련환(九味茱連丸) |
|
울적(鬱積)으로 나는 탄산으로 치료한다. |
|
창출, 황련, 황금(3가지 약을 다 흙과 함께 볶은 것), 오수유, 진피(陳皮), 길경, 백복령, 반하 각각 40g. |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약누룩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
|
한번에 20-30알씩 때때로 먹되 침으로 삼킨다[입문]. |
■ |
청담환(淸痰丸) |
|
탄산(呑酸)과 조잡증(?雜證)을 치료한다. |
|
창출 80g, 향부자 60g, 과루인, 반하 각각 10g, 황련, 황금 각각 20g. |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찻물로 먹는다[입문]. |
■ |
투격탕(透膈湯) |
|
중완(中脘)에 기가 막혀서 트림하고 탄산증이 있으면서 구역질하며 담연(痰涎)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
|
목향, 백두구, 빈랑, 사인(축사), 지각, 후박, 반하, 선귤껍질(청피), 진피(陳皮), 감초, 대황, 망초 각각 3.2g.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
■ |
삼유환(蔘萸丸) |
|
탄산과 저절로 설사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
|
육일산(六一散, 처방은 서문에 있다) 40g에 오수유 40g을 넣는다. |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밥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단심]. |
■ |
수련환(茱連丸) |
|
울적(鬱積)으로 생긴 탄산과 토산을 치료한다. |
|
오수유(더운물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진피(陳皮, 흰속을 버린 것), 황금(벽흙과 같이 볶은 것) 각각 20g, |
|
황련(벽흙과 같이 볶은 것) 40g, 창출 30g. |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약누룩(신국)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
|
한번에 60-70알씩 침으로 삼킨다[의감]. |
○ |
일명 인초환(咽醋丸)이라고도 한다[단심]. |
○ |
어떤 처방에는 황련 40g과 오수유 20g을 가루내어 알약을 만드는데 이것 역시 수련환이라고 한다[단심]. |
■ |
창련환(蒼連丸) |
|
탄산과 토산(吐酸)을 치료한다. |
|
황련 60g(여름에는 곱절 넣는다), 오수유(겨울에는 곱절 넣는다), 창출, 진피(陳皮), 반하, 백복령 각각 40g. |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蒸餠)으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
|
한번에 30-5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의감]. |
■ |
창련탕(蒼連湯) |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
|
창출,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진피(陳皮), 반하, 적복령, 약누룩(신국) 각각 4g, 오수유(복은 것), 사인 각각 2g, 감초 1.2g.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회춘]. |
■ |
황련청화환(黃連淸化丸) |
|
탄산(呑酸)을 치료한다. |
|
반하 60g, 황련 40g, 진피(陳皮) 20g, 도인 20알, 오수유 4g. |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약누룩(신국)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
|
한번에 100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
■ |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
|
탄산을 치료한다. |
|
반하, 진피(陳皮), 백복령, 산치자(치자, 볶은 것), 황련(볶은 것), 향부자 각각 4g, |
|
지실, 천궁, 창출 각각 3.2g, 백작약 2.8g, 약누룩(신국, 볶은 것) 2g, 감초 1.2g.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집략]. |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
비위(脾胃)에 화울(火鬱)이 쌓여서 담이 생겨 토하고 탄산과 조잡증(?雜證)이 된 것을 치료한다. |
|
이 약을 늘 먹으면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위기(胃氣)를 통하게 하고 담(痰)을 삭이고 |
|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며 열을 내리고 간(肝)을 억제한다. |
|
백출(흙과 함께 볶은 것) 160g, 향부자(동변에 3일 동안 담갔다가 볶은 것) 120g, 진피(陳皮) 100g, |
|
천궁, 지실,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약누룩(신국, 볶은 것), 찔광이(산사육) 각각 80g, |
|
반하(법제한 것) 60g, 산치자(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무씨(나복자, 볶은 것), 백복령, 생강(말린 것), 오수유 각각 40g, |
|
보리길금(맥아, 볶은 것) 28g, 선귤껍질(청피, 참기름을 발라 볶은 것) 24g, 사인(축사, 볶은 것), 감초(볶은 것) 각각 16g, 목향 12g. |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참대기름(죽력)과 약누룩(신국)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
|
한번에 1백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
|
이 처방은 탄산(呑酸), 토산(吐酸), 조잡증, 트림[噫氣] 등을 겸해 치료하는 약이다[의감]. |
※ |
또 한 가지 처방 |
|
어떤 사람이 명치 밑이 아파서[心痛] 성질이 열한 약을 지나치게 많이 먹고 나서 시고 쓴 검은 물을 토했는데 |
|
그것이 마치 썩은 나무버섯즙(木耳汁)과 같았다. |
|
그후 명치 밑이 아프던 것이 멎었으나 그로 인하여 자주 생목이 괴고 |
|
비괴[塊?]가 가슴에서부터 목구멍으로 올라와서 매우 괴로워하였는데 |
|
황련(볶은 것)을 진하게 달여 1-2숟가락씩 늘 먹고 나았다[회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