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제사는 4대까지 지낼까? 왜 제사는 4대까지 지낼까? 氣와 靈의 세계. 우리는 전통적인 관례로 4대조 이하 조상님들께 제사를 올린다. 왜 하필 5대조나 6대조가 아닌 4대조 이하일까? 거기엔 이유가 있다. 사람이 죽으면 그 기(氣)의 파장이 약 100년 동안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氣)의 파장이 변하지 않으므로 자기.. 생활속의예절 2017.10.09
명절 차례상 '간소'해야 '진짜'다 “차례상에 인스턴트 식품이나 열대과일을 올려도 되나요?” “복숭아나 ‘치’자가 들어간 생선은 올리면 안 되나요?” “홍동백서나 조율이시가 뭐죠? 꼭 지켜야 하나요?” 유교 전통과 예법을 연구하는 성균관 전례연구회가 매년 추석 명절마다 받는 질문들입니다. 그중에서 빠지지 .. 생활속의예절 2016.09.12
차례상에 '바나나·피자'..제사 모아서 드리면 불효? 전문가들 "조상기리는 마음이 중요…잘못 아니다" 벌초는 하는 게 후손 도리, 남에게 부탁해도 무방 추석이나 설, 제삿날이 다가오면 주부들은 차례상·제사상에 올릴 배와 사과 등 과일에 눈이 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대형 마트에 가면 사과 배와 함께 바나나와 망고, 파인애플 등 수입.. 생활속의예절 2016.08.24
추석상 차리는 방법 / 지방 쓰는 방법 / 홍동백서, 어동육서, 좌포우혜 지방 쓰는 방법 지방(紙榜)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써 종이로 만든 신주(神主) 규격 너비 6cm, 길이 22cm 정도가 좋으며 한지(백지)를 사용 위치 고위(아버지)를 왼쪽에 쓰고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쓴다. 관련정.. 생활속의예절 2016.02.16
제사와 차례의 차이 제사와 차례의 차이 -제사는 당자가 죽은 전날 자시부터 인시사이 즉 11:00-새벽05:00사이에지내고 차례는 추석이나 한식,설날 아침에 지냄. -제사는 당자와 그 배우자의 지방을 뫼시고 차례는 4대조까지의 선조의 지방을 다 뫼신다.(시제를 안 지내는 분들) -차례는 축문이 없다 . -차례는 아.. 생활속의예절 2015.04.18
제사 지내는 법 제사 지내는 법 1. 제사는 왜 지내는가? 어떤 종교는 제사를 지내라하고 어떤 종교는 지내지 말라한다. 종교관에 따라 지내고 안 지내는 것을 누가 뭐라 하겠는가, 그러나 종교는 “미지의 신에게 행복을 기원하는 신앙”이지만, 제사는 “나를 낳고 길러주신 부모님에 대한 자식 된 도리.. 생활속의예절 2015.04.14
시제 시제 [ 時祭 ] 분정-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퇴계종택-국립민속박물관 분야 의례 계절 겨울(음력 10월) 다른이름 시사(時祀), 시향(時享), 시제(3월)(時祭) 관련정일 한식(寒食) 목차 정의 유래 내용 정의 한식 또는 10월에 5대조 이상의 묘소(墓所)에서 지내는 제사를 관행적으로 일컫는 말.. 생활속의예절 2015.04.14
祭文 常識 維歲次[유세차];해의 차례가 이어 온다는 뜻이다. 干支 [간지];태세.월진.일진의 육십갑자를 말한다. 幾月某日 [기월모일];몇월,며칠이라는 뜻이다. 孝子 [효자];아들이라는 뜻이다. 敢昭告于[감소고우]밝혀서 고한다는 뜻이다. 朔 [삭];초하루라는 뜻이다. 顯考府君[현고부군];부모를 뜻하.. 생활속의예절 201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