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릅 가을부터 봄철사이에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하루 6~9g을 달여서 복용한다. 허약체질. 신경쇠약. 정신및 육체적 피로. 성기능저하 당뇨병 해열. 기침 등에 효험 1. 땃두릅나무는 두릅나무과의 높이 약 1미터 되는 잎지는 떨기나무이다. 뿌리 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줄기는 곧고.. 약초와효능 2008.01.24
비단풀 항암약초 비단풀 비단풀은 대극과에 딸린 한해살이 풀이다. 비단풀은 내금초, 점박이풀로도 불리고 지금(地錦),지면(地綿),초혈갈(草血褐),혈견수(血見愁), 오공초(蜈蚣草), 선도초(仙挑草), 등의 여러 이름을 가지고 있다. 비단풀은 칼에 베이거나 긁힌 상처에 그 생즙을 바르면 신기하다.. 약초와효능 2008.01.24
일엽초 일엽초 특징 고란초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로 습기있는 바위나 나무위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었고 버들잎을 닮은 잎이 하나씩 돋아난다. 약효 위암과 자궁암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질은평하고 맛은 쓰고달며 독이 없다. 간경.신경에 작용하며 열을 내리고 독.. 약초와효능 2008.01.24
우슬 우 슬 (牛膝) 월경통, 월경곤란 우슬산(牛膝散) <용법> 우슬, 계지, 작약, 도인, 당귀, 목단피, 연호색 각3g, 목향 1g을 1일분량으로 하여 400g의 물로 1/2의 분량이 되도록 끓여서 3회로 나누어 매번 공복시에 복용한다. * 본 처방은 비교적 체력이 있어 비대한 체질인 사람의 월경불순, 월경.. 약초와효능 2008.01.24
육종용 육종용 육종용은 버섯모양으로 자란 기생성 식물로 오리나무더부살이라 부른다. 육종용은 중국의 역대 황후들이 즐겨 복용했다는 묘약으로 자양강정에 정평이 나있고 오랫동안 복용해도 부작용이 별로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육종용은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느리고 부드러.. 약초와효능 2008.01.24
육종용 육종용은 열당과에 속하는 다년생 기생풀이다. 비늘 같은 잎이 뱀가죽처럼 빽빽이 달리며 황갈색이다. 전체가 굵은기생 식물이다. 봄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려 쓴다. 술에 담갔다가 비늘 같은 것을 벗겨 버린다. 성질은 달고 시고 짜며 따뜻하다. 한방에서는 보정, 강장, 중풍 등에 이.. 약초와효능 2008.01.24
천궁 천궁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천궁의 원산지는 중국 사천성 지방으로서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 생 식물로 뿌리는 토란과 비슷하며 한약의 특수 향기 냄새는 바로 이 천궁에서 난다. 맛은 맵고 따뜻하다. 천궁은 혈액순환을 활발하게하고 기운의 순행을 도와서 통증을 제거하는 .. 약초와효능 2008.01.24
와송 와송(바위솔) 무엇인가? 항암 효과 높고 피흐름을 좋게하는 바위솔 바위솔은 오래된 기와지붕 위나 깊은 산의 바위 위에 자라고 있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살이 찌고 버들잎 모양으로 줄기를 둘러싸고 무더기로 난다. 가을철에 작은 꽃이 줄기 끝에 이삭처럼 모여서 핀다. 지붕의 기와.. 약초와효능 2008.01.24
노봉방 암, 간경화, 간질을 고치는 말벌집 말벌집은 나무에 붙은 것도 있고 바위에 붙은 것도 있으며 땅 속에 든 것도 있는데 오래 된 무덤 속에 있는 것이 약효가 제일 높다고 한다. “폐에 이상이 생겨서 온 중풍이나 간질, 잘 낫지 않는 천식, 노인들 신경통이나 관절염 같은 데 왕벌집을 쓰면 .. 약초와효능 2008.01.24
속새 탈항이 만성이 되어 낫지 않는 증세의 치료에는 중국의 <삼인방>에서는 "속새를 양에 제한 없이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가루낸 후 항문에 대고 누른다." 식물 속새과의 상록 다년생 풀입니다. 전초를 아무 때나 뜯어서 그늘에 말립니다. 성분 전초에 규산17%, 카페산, 페놀라산, 수.. 약초와효능 2008.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