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리공 몸의 수분을 뽑아내는 작용을 하는... 봄이나 가을에 뿌리를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후 그대로 쓰거나 식초로 볶아서 사용한다. 자리공은 독성이 있지만 그리 위태롭지 않다. 꽃은 그늘에 말린뒤 술에 담가 복용한다. 이수.소종작용을 한다. 대변및 몸의 수분을 뽑아내는 작용을 한다. 복수.. 약초와효능 2008.01.24
부추 부추의 효능 부추는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은 시고 맵고 떫으며 독이 없다. 날 것으로 먹으면 아픔을 멎게 하고 독을 풀어준다. 익혀 먹으면 위장을 튼튼하게 해주고 설정(泄精)을 막아준다. 부추는 일명 기양초(起陽草)라고 부르며, 이시진(李時珍)이 지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 약초와효능 2008.01.24
해방풍 산에는 산삼? 바닷가 나는 산삼이라고 할까요. 30년 이상바닷가 해방풍을 재배하면서 느낀점은 방풍은 중풍을 막아주고 어혈,기침, 가래를 없애는 데 탁월한 효력이 있는 약초로, 바닷가 파도가 들어 오지 않은 모래언덕에 순기비나무와 같이자라고 있으며 파도에 염분이 날아와 소금기.. 약초와효능 2008.01.24
한련초 줄기에 상처를 내면 먹처럼 까만 즙이 흘러나오는 풀이 있다. 한련초는 잎이나 줄기를 꺾으면 맑은 빛깔이 나는 진액이 흘러나와 30초쯤 지나면 까맣게 바뀐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한련초의 즙을 수염이나 머리칼을 까맣게 물들이는 데 썼다. 한련초는 우리 나라 중부와 남부지방의 논이.. 약초와효능 2008.01.24
토종약초 토종약초보기 (가) 갈대 금전초 꼭두서니 광나무 개별꽃 개머루덩굴 고수풀 가시오갈피 감나무 까마중 겨우살이 구지뽕나무 고본 골담초 곰보배추 고삼 까치수영 계뇨등 구룡목 강활 갯기름나물(식방풍) 가래나무 감국(봉래화) 개다래(목쳔료) 구기자 금은화(인동) 구골목(호랑가시나무).. 약초와효능 2008.01.24
선학초(짚신나물) 선학초는 우리 나라의 들이나 길옆에 흔히 자라는 짚신나물이다. 짚신나물은 야산이나 길가. 들판 등에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선학초(仙鶴草), 용아초(龍牙草), 황화초(黃花草), 탈력초(脫力草)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이 가운데서 용아초라는 이름은 이른 봄철에 돋아나는 새.. 약초와효능 2008.01.24
소루쟁이 소루쟁이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러서.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유럽 및 북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하고 습지 근처에서 자란다. 소리쟁이의 키 높이 30~80 cm이다. 줄기가 곧게 서고 세로에 줄이 많으며 녹색 바탕에 흔히 자줏빛이 돌며, 뿌리가 비대해진다. 뿌리잎은 대가 길고 .. 약초와효능 2008.01.24
곰취 곰취 비타민 C의 모든 결핍 증상에 효험이 크다. 기침, 가래, 감기, 숨가쁜 데에 효과가 있다. 성분과 약성 곰취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취나물로 다뤄지는 풀 가운데서는 가장 큰 잎을 가지고 있다. 줄기는 1m 정도의 높이로 자라며 3매의 잎을 가지고 있고, 나머지 잎은 모두 .. 약초와효능 2008.01.24
고본 두통, 발열, 해수, 가래, 콧물에 신효 고본(藁本)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전국의 깊은 산골에서 자생하고 있는데 특히 강원도 및 경상북도의 해발 600m이상의 고랭지대에서 주로 많이 자라고 있다. 여러 해살이 초본으로 초장은 40~80㎝정도 곧게 자라며 향기가 강한 약초이다. 잎은 .. 약초와효능 2008.01.24
민들래 민들레는 무엇인가? 위염을 다스리고 암세포를 죽이며 간은 보호하고 머리카락 은 검게하는 민들레, 우리 나라 천지에 깔려 있는것이 민들레이지만 사람들은 민들레가 그리 중요한 약재 인줄을 모르고 지낸다. 민들레는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중국, 일본, 인도, 유럽 아메리카의 인디언.. 약초와효능 2008.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