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진쑥 학명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원산지 유럽, 아시아, 북미, 북아프리카, 남유럽 역사와 문화 쑥과(Artemisia)에 속하는 식물은 약 300여 종 에 이른다. 그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허브로는 써던우드(abrotanum, Southernwood), 쑥(absinthium, Common Wormwood), 타라곤(dracunculus, Tarragon), 약쑥(vulgaris, Mugwort) 등.. 약초와효능 2008.01.23
인진쑥은매우쓰다 인진쑥 매우 씁니다. 그러므로 체질적으로 열이 많으신 분이 아니면 설탕이나 꿀물을 조금 타서 쓴맛을 완화시켜 드셔도 됩니다. 하루에 2~3회 식전,식후 상관없이 드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체질에 맞고 본인의 증상에 맞다면 꾸준히 복용하셔야 효과를 보실수 있습니다. 보통 인진쑥은 .. 약초와효능 2008.01.23
인진호 인진호(茵陳蒿) 起源 菊科(국화과;Compositae)식물인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b.)의 건조한 어린 싹 혹은 花期의 植株. 形態 다년생 초본 혹은 반관목으로 어린가지에는 柔毛가 난다. 잎은 2回羽狀全裂하고 裂片은 線形이며 너비는 0.3∼1mm이고 하부에는 대개 絹質의 털이 있으며, 중간부분 이.. 약초와효능 2008.01.23
사철쑥 / 인진쑥 과명 국화과 학명 Artemisia capillaris Thunb. 일명 애탕쑥, 더위지기, 인진 생약명 인진후 원산지 한국,중국,일본,필리핀,네팔 이용부위 전초(뿌리 제외)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 30~100㎝ 정도 자라며 줄기 아래 부분이 목질화 되어 반관목이 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뿌리에서 자랄 때 흰.. 약초와효능 2008.01.23
인진쑥이란 인진쑥이란 <인 진 호(茵陳蒿)> 茵陳(Artemisia iwayomogi)은 국화과(Compositae) 쑥屬에 속하는 초본형 낙엽 관목으로서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 KITAMURA), 흰산쑥(Artemisia sacrorum subsp. manshurica KITAMURA.), 털산쑥(A. sacrorum subsp. manshurica var. vestita KITAMURA)이라고 불리우며 전국의 산야에서 자라는 식.. 약초와효능 2008.01.23
인진쑥 이명 마선(馬先), 인진호(茵陳蒿), 면인진(綿茵蔯) 인진은 봄철 산야와 우리의 식탁위에 올라오는 쑥을 건조한 것이다. 요즘에는 쑥의 이용 역시 다양해져서 목용통이나 생활용품에도 쑥의 향기를 이용한 제품을 많이 볼 수 있다. 한의약에서 쑥은 인진이라 하여 습열을 제거하고 황달을 .. 약초와효능 2008.01.23
쑥 식물명 : 쑥(쑥류) 과 명 : 국화과(Compositae) 학 명 : Artemisia ssp. 영 명 : wormwood, mugwort 한 명 : 艾, 艾蒿, 醫草 이 명 (생약명) : 애엽(艾葉). 인진호(茵蔯蒿, 청호(靑蒿), 한인진(韓茵蔯), 황화호(黃花蒿) 분 포 세계적으로 250여 종이 분포하며 북반구 건조지대에 특히 많은 종이 분포한다. 우리 나.. 약초와효능 2008.01.23
쑥 쑥 무엇인가? 부인병의 성약이며 만병을 고치는 쑥 쑥은 까마득히 아주 먼 옛날부터 사람보다 먼저 이 지구상에 존재하였으며, 말없이 인류에게 유익을 주고 있는 식물중에 하나이다. 인류는 쑥을 알게 모르게 오랜 옛적부터 식용으로 또는 약용으로 훌륭하게 사용하여 왔다. 봄철에 파.. 약초와효능 2008.01.23
쑥 허약체질 병후회복 자양강장에 효험 부인병의 성약이며 만병을 고치는 쑥 쑥은 까마득히 아주 먼 옛날부터 사람보다 먼저 이 지구상에 존재하였으며, 말없이 인류에게 유익을 주고 있는 식물중에 하나이다. 인류는 쑥을 알게 모르게 오랜 옛적부터 식용으로 또는 약용으로 훌륭하게 사.. 약초와효능 2008.01.23
인진쑥 민간에서 황달이나 간염. 간경화 등 간정병 치료에 흔히 쓰이는데 생즙을 내어 먹기도 한다. 또한 달여 먹기도 하며 오래 고아서 조청(인진고)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구내염, 비강염이나 입냄새가 날때 인진숙을 잘 게 썰어 담배처럼 말아서 하루 2-3대 피우되 연기를 받아 머금고 1-2분 있.. 약초와효능 2008.01.23